KR20060130918A -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0918A
KR20060130918A KR1020050049254A KR20050049254A KR20060130918A KR 20060130918 A KR20060130918 A KR 20060130918A KR 1020050049254 A KR1020050049254 A KR 1020050049254A KR 20050049254 A KR20050049254 A KR 20050049254A KR 20060130918 A KR20060130918 A KR 20060130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ower member
height
support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4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0918A/ko
Publication of KR2006013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0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64Table leg assembly held in folded position by 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또는 걸상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실내 여건에 맞도록 조절하기 위해 수직으로 위치한 지지다리를 동일축 상에서 출몰되게 할 때 다리를 구성하는 상, 하부재의 출몰 조작을 간단하게 하면서 견고하게 정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한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의 중앙부에 동축상에서 상하로 출몰되는 상, 하부재로 된 지지다리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하부재에 형성된 통공과 상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 중 어느 하나를 고정구의 나선축에 의해 관통되게 하여 적당한 높이에서 지지다리를 고정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중공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되게 간받이를 설치하되 하부재에 결합된 상부재의 일측면이 통과되게 하부재의 내벽으로부터 간격을 유지되게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간받이에 상, 하부재의 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구의 나선축이 결합되는 나선공이 형성되며, 상기 간받이에 구비된 나선공의 하부측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내측면에 삽입 및 이탈되는 걸림돌기를 갖춘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의 일측에는 그 나선축의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 및 임의분해방지 기능이 있는 록킹볼트가 구비된 것이다.
책걸상, 높이, 조절, 지지다리

Description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Controller of height with table and chair}
도 1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를 갖춘 책상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높이조절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일부부품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대 20 : 하부재
21 : 상부재 20', 21' : 통공
30 : 간받이 31 : 나선공
40 : 하우징 41 : 걸림돌기
42 : 스프링 43 : 관통공
50 : 고정구 51 : 나선축
52 : 록킹볼트
본 발명은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 또 는 걸상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실내 여건에 맞도록 조절하기 위해 수직으로 위치한 지지다리를 동일축 상에서 출몰되게 할 때 다리를 구성하는 상, 하부재의 출몰 조작을 간단하게 하면서 견고하게 정지력을 발휘할 수 있게한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률적인 규격으로 제작된 책걸상을 사용할 때 그 규격에 부합되지 않는 사용자들의 불편을 방지하면서 주어진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게 된 다양한 종류의 책걸상이 보급되어 있다.
특히, 신체의 성장속도가 눈에 띄게 변하는 초, 중고등부 학생들이 사용하는 책상 및 걸상의 경우에는 통일된 규격의 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학년별 체격차에 의해 사용이 불편한 계층이 발생될 수 밖에 없었고, 체격에 따라 책걸상의 크기를 달리 구분되게 할 경우에는 막대한 예산이 소요됨으로 인하여, 각급 학교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걸상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책걸상의 높이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지지다리가 양측에 하나 씩 구비된 한 쌍으로 된 것이 제작공정과 조작의 편의성 및 동선확보에 유리하였으므로 대부분의 책걸상에 상기 한 쌍의 지지다리를 갖춘 구조의 제품이 채택되었다.
즉, 서로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다리를 동일축 상에서 상, 하로 출몰되게 상, 하부재를 결합하되 그 결합부의 중간부위에 정지력을 제공하는 고정수단을 설치한 구조로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책걸상에서 그 지지다리를 출몰되게 하면서 정지력을 제공하는 고정수단이 상, 하부재에 각각 형성된 통공을 결합부에서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고정핀 또는 돌기에 의해 관통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고정핀을 해제시켰을 때 상부부재와 이에 부착된 책상 천판의 자중에 의해 낙하되는 힘이 작용하게 되었고, 상기 자중을 인위적으로 상쇄되게 하기 위해 보조역할을 필요로 하였으므로 높이조절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핀의 결합구조와 정지력이 취약한 구조로 됨으로 인하여, 책걸상에 충격이 가해질 때 고정수단의 정지력이 임의로 해제되거나 고정수단에 손상이 발생됨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책걸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수단의 정지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고정수단을 해제하였을 때 일시적으로 안전성을 유지 할 수 있는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의 중앙부에 동축상에서 상하로 출몰되는 상, 하부재로 된 지지다리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하부재에 형성된 통공과 상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 중 어느 하나를 고정구의 나선축에 의해 관통되게 하여 적당한 높이에서 지지다리를 고정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의 중공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되게 간받이를 설치하되 하부재에 결합된 상부재의 일측면이 통과되게 하부재의 내벽으로부터 간격을 유지되게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간받이에 상, 하부재의 통공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구의 나선축이 결합되는 나선공이 형성되며, 상기 간받이에 구비된 나선공의 하부측 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부재에 형성된 통공의 내측면에 삽입 및 이탈되는 걸림돌기를 갖춘 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의 일측에는 그 나선축의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볼트가 구비됨으로써, 록킹볼트에 의해 고정구의 정지력이 증진됨과 아울러 고정구를 상, 하부재의 통공으로부터 이탈시킬 경우에도 걸림돌기에 의해 자중을 지탱하게되므로 안전성을 유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를 갖춘 책상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높이조절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일부부품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책걸상 높이조절장치는 책상의 천판(D) 또는 의자의 좌판을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의 바닥에 접촉되는 지지대(10)가 구비되고, 이 지지대(10)의 중앙부에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공체로 된 지지다리의 하부재(20)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그 하부재의 중공부에 책상의 천판(D) 또는 의자의 좌판을 지탱하는 상부재(21)를 동축상에서 상하로 출몰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재(20)에 형성된 통공(20')과 상부재(2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1') 중 어느 하나를 손잡이 기능을 하는 고정구(50)의 나선축(51)에 의해 관통되게 하여 적당한 높이에서 지지다리를 고정되게 되어 있다.
상부재(2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1')은 각 통공의 간격인 피치(P)를 일정하게 형성하며, 책상용 또는 의자용 등 용도에 따라 각기 그 피치(P)를 구분되게 한다.
상기 하부재(20)의 중공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게 간받이(30)가 설치되는데, 이 간받이(30)는 하부재(20)에 결합된 상부재(21)가 출몰될 때 그 일측면이 원활히 통과되게 하부재의 내벽으로부터 간격을 유지되게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간받이(30)에는 상, 하부재(21)(20)의 통공(21')(20')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구(50)의 나선축(51)이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나선공(31)이 형성되며, 이때 하부재(20)의 통공(20')과 간받이(30)에 형성된 나선공(31)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간받이(30)에 구비된 나선공(31)의 하부측에는 상부재(21)에 형성된 각 통공(21')의 간격인 피치(P)와 일치되는 거리(P')에 위치되게 관통공(4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는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상부재(21)에 형성된 통공(21')에 삽입 및 이탈되는 걸림돌기(41)를 갖춘 하우징(4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부재(21)에 형성된 각 통공(21')의 간격인 피치(P)와 간받이(30)에 상하로 위치하는 나선공(31)과 관통공(30)의 거리(P')는 P=P'를 만족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50)의 일측에는 그 나선축(51)의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볼트(52)가 결합되며, 이때 록킹볼트(52)의 선단부는 하부재(20)에 형성된 록킹홈(53)에 삽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볼트(52)는 사용자가 고정구(50)을 임의로 손쉽게 빼내어 분실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최소한의 방지목적도 포함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수공구인 드라이버 나 프라이어로 손쉽게 분해할 수 없게 렌치볼트로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책걸상 높이조절장치는 지지다리의 하부재(20)와 상부재(21)를 동축상에서 출몰 가능하게 결합하여 하부재(20)에 형성된 통공(20')과 상부재(2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1') 중 어느 하나를 일치되게 하면, 먼저 하부재(20)의 중공부에서 간받이(30)에 설치된 걸림돌기(41)가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관통공(43)을 통과하면서 상부재(21)의 또 다른 통공(21')(20')에 삽입되어 일차적으로 정지력을 제공하며, 상기와 같이 일차적인 정지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이미 일치상태에 있는 상, 하부재(21)(20)의 통공(21')(20')을 통하여 고정구(50)의 나선축(51)을 삽입함으로써 간받이(30)의 나선공(31)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의 경우에는 지지다리의 하부재(20)와 상부재(21)를 적당한 정도로 출몰시킨 후 상, 하부재(21)(20)를 고정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며,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구(50)를 이탈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즉, 고정구(50)를 이탈시킨 상태에서 하부재(20)에 결합되어 있는 상부재(21)는 간받이(30)에 설치된 걸림돌기(41)의 작용에 의해 정지력을 유지하므로 인위적으로 책상의 천판(D)에 힘을 가하지 않는 동안에는 높이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상기 걸림돌기(41)에 작용하는 스프링(42)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질 때 상부재(21)의 통공(21')에 삽입되어 있던 걸림돌기(41)가 이탈됨으로써, 자유로 이 높 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는 책상 또는 걸상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이나 실내 여건에 맞도록 조절하기 위해 수직으로 위치한 지지다리를 동일축 상에서 출몰되게 할 때 다리를 구성하는 상, 하부재의 출몰 조작을 간단하게 하면서 고정수단의 정지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고정수단을 해제하였을 때 안정적으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10)의 중앙부에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중공체로 된 지지다리의 하부재(20)를 수직으로 설치하되 그 하부재의 중공부에 책상의 천판(D) 또는 의자의 좌판을 지탱하는 상부재(21)를 동축상에서 상하로 출몰되게 결합하여 하부재(20)에 형성된 통공(20')과 상부재(21)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21') 중 어느 하나를 고정구(50)의 나선축(51)에 의해 관통되게 하여 적당한 높이에서 지지다리를 고정되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20)의 중공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위치되게 간받이(30)를 설치하되 하부재(20)에 결합된 상부재(21)의 일측면이 통과되게 하부재의 내벽으로부터 간격을 유지되게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간받이(30)에 상, 하부재(21)(20)의 통공(21')(20')을 관통하여 삽입된 고정구(50)의 나선축(51)이 결합되는 나선공(31)이 형성되며, 상기 간받이(30)에 구비된 나선공(31)의 하부측에 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되 그 일측에 스프링(42)의 탄성에 의해 상부재(21)에 형성된 통공(21')에 삽입 및 이탈되는 걸림돌기(41)를 갖춘 하우징(40)이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2. 상기 고정구(50)의 일측에는 그 나선축(51)의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 및 임의분해를 방지하는 록킹볼트(52)가 구비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20050049254A 2005-06-09 2005-06-09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60130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254A KR20060130918A (ko) 2005-06-09 2005-06-09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254A KR20060130918A (ko) 2005-06-09 2005-06-09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0918A true KR20060130918A (ko) 2006-12-20

Family

ID=3781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254A KR20060130918A (ko) 2005-06-09 2005-06-09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09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1444A (zh) * 2017-04-01 2017-08-2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高度调节装置及冰箱
KR102009705B1 (ko) 2018-12-27 2019-08-12 (주)야흥금속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01444A (zh) * 2017-04-01 2017-08-2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高度调节装置及冰箱
KR102009705B1 (ko) 2018-12-27 2019-08-12 (주)야흥금속 프레임 높이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4093B2 (en) Chair riser assembly
US9936801B1 (en) Transformable balcony table
CN100559991C (zh) 可调节高度的桌子
KR20060130918A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2210396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US20130152833A1 (en) Adjustable desk
KR20090121953A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334197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
KR200411812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걸상
KR102637329B1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KR100404497B1 (ko) 책,걸상높이 조절장치
KR100935526B1 (ko) 높이조절식 책걸상
KR100586464B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2342067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37544Y1 (ko) 교구용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60624Y1 (ko) 발받침이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200243683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KR20090015215A (ko) 가구의 높이 조절장치
KR200276484Y1 (ko)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20050078730A (ko) 높이, 간격, 길이 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책걸상
KR200256076Y1 (ko) 책상 및 걸상 높낮이 조절구
KR200309599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200315695Y1 (ko) 높이조절 구조를 가지는 책걸상
KR100666507B1 (ko) 높이 조절장치
KR20090132054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