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049Y1 - 카트 - Google Patents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049Y1
KR200182049Y1 KR2019990027500U KR19990027500U KR200182049Y1 KR 200182049 Y1 KR200182049 Y1 KR 200182049Y1 KR 2019990027500 U KR2019990027500 U KR 2019990027500U KR 19990027500 U KR19990027500 U KR 19990027500U KR 200182049 Y1 KR200182049 Y1 KR 200182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support shaft
guide means
present
conveyo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감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익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익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익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7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the main load support being a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6Bumper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3Propulsion aids guiding, e.g. by a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bstract

본 고안은 카트에 관한 것으로, 가로부재를 갖춘 짐받이부와, 범퍼 및, 손잡이가 설치된 지지판을 갖추고서 중량물을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카트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의 중앙하단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카트{Cart}
본 고안은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짐받이 하부 중앙에 가이드수단을 부착하여 여러개의 카트를 중첩시킨 상태로 위치이동시킬 때 카트들이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비의 훼손과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이동시의 소음도 저감시키고 이동력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이용객의 출입이 잦고 중량(重量)의 휴대물을 많이 소지하게 되는 공항이나 버스터미널등지에서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카트는 대형슈퍼마켓이나 편의점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과 크게 다를 바 없는데, 이러한 카트는 대개 이용자가 휴대물을 실어 나른 다음 출구 또는 승강장 부근에 그대로 두고 가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이를 수시로 수거하여 사용위치로 원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수거할 때에는 여러개의 카트를 중첩시키고서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밀면서 이동시키게 됨에 따라 이용객이 상대적으로 많은 혼잡한 장소에서는 이동작업을 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이용객과 충돌할 위험이 많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다.
이에 따라 최근 새로 건설하고 있는 공항등에서는 카트를 수거하는 것까지는 작업자가 하도록 하고 이용객이 출입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을 구획하여 이 이동공간을 통해 카트를 원래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추세에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베이어시스템(1)의 중앙부에 요홈(3)을 형성하고, 이 요홈(3)에 금속으로 제조된 레일(4)을 돌출되도록 형성시켜, 카트(5)를 구성하는 전륜(6)사이에 상기 레일(4)이 위치하도록 정렬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시스템(1)상에 여러개의 카트를 중첩시킨 상태로 얹혀 이 컨베이어시스템(1)의 이동력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별로로 구획된 공간에 카트이동 전용으로 설치한 컨베이어시스템을 통해 카트를 이동시킨다 해도, 카트를 여러개 중첩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시스템에 의존해서 이동시키게 되면 컨베이어시스템의 이동속도로 인해 특히 곡선부에서는 카트간의 연결상태가 흐트러질 위험이 있고, 컨베이어시스템상에서 카트가 이탈되면 카트가 훼손될 염려가 있을 뿐 아니라, 이동시에 레일(4)과 전륜(6)간의 마찰로 인해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짐받이 하부 선단에 가이드수단을 부착하여, 여러개 중첩된 상태로 이동될 때 각각에 독립작으로 부착된 가이드수단이 컨베이어시스템 중앙에 설치된 레일내에 수용되도록 하므로써 컨베이어시스템에서 이탈되지 않고 이동경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비의 훼손과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가이드부에 로울러를 설치하여 컨베이어시스템을 따라 이동할 때 레일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이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카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가 컨베이어시스템에 올려져 있는 상태를 개략 도시한 부분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개략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개략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1 --- 컨베이어시스템, 2 --- 가이드수단,
3 --- 요홈, 4 --- 레일,
5,13 --- 카트, 6 --- 전륜,
7 --- 가로부재, 8 --- 짐받이부,
9 --- 후륜, 10 --- 범퍼,
11 --- 손잡이, 12 --- 지지판,
14 --- 하우징, 15 --- 지지축,
16 --- 끼움구멍, 17 --- 걸림홈,
18 --- 핀, 19 --- 나사부,
20 --- 체결부재, 21 --- 로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로부재를 갖춘 짐받이부와, 범퍼 및, 손잡이가 설치된 지지판을 갖추고서 중량물을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카트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의 중앙하단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수단이 설치되되, 이 가이드 수단이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하고서 하부 끝 부분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쌍의 끼움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하고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지지축 및, 상기 끼움구멍과 걸림홈에 끼워주도록 된 핀을 갖춘 구조로 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로 인해 이동중에 컨베이어시스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카트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축에는 로울러를 선택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동소음을 저감하면서 이동력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정면도로써,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로부재(7)을 갖춘 짐받이부(8)의 하부 각 모서리부에 전륜(6)과 후륜 (9)이 장착되고, 상기 짐받이부(8)의 앞쪽 선단에 범퍼(10)가 부착되며, 윗쪽에 손잡이(11)가 설치된 지지판(12)을 갖춘 카트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7)의 중앙하단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수단(2)이 장착되되, 이 가이드수단(2)은 하우징(14) 및, 이 하우징(14)에 수용된 지지축(1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은 도 5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하고서 하부 끝 부분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쌍의 끼움구멍 (16)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15)은 하우징(14)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하고서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홈(17)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멍(16)에 걸림홈(17)을 일치시키고서 핀(18)을 끼워주게 되면 이 핀(18)의 지지력으로 인해 하우징(14)에 지지축(15)이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 지지축(15)을 하우징(14)의 내부면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시키면서 임의의 위치에서 핀(18)을 끼워주게 되면 상기 지지축(15)의 돌출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15)의 하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나사부(19)가 형성되어 이 나사부(19)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부재(20)를 매개로 내부에 베어링이 내장된 로울러(21)를 선택적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장소에 따라 지지축 (15)만을 사용할 수 있고 지지축(15)에 로울러(21)를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카트(13)를 상기 지지축(15)이 레일(4)에 수용된 상태로 중첩시켜 컨베이어시스템(1)에 올려놓으면, 중첩된 각각의 카트들이 상기 지지축(15)을 매개로 이동경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컨베이어시스템(1)에서 이탈될 염려가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카트가 훼손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15)에 로울러(21)를 부착하게 되면 로울러(21)내에 끼워진 베어링으로 인해 아이들링상태에 있게 되어, 카트(5)가 이동할 때 레일(4)의 내벽면과 접촉되면서 로울러(21)가 회전되게 됨에 따라 이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찰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어 카트의 이동력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카트에 설치된 가이드수단 구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고안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슴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고안 카트에 의하면, 짐받이 하부 선단에 가이드수단을 부착하여, 여러개 중첩한 상태로 위치를 이동시킬 때 각각에 독립적으로 부착된 가이드수단이 컨베이어시스템 중앙에 설치된 레일내에 수용되도록 하므로써 컨베이어시스템에서 이탈되지 않고 레일을 따라 이동경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비가 훼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가로부재를 갖춘 짐받이부(8), 범퍼(10) 및, 손잡이(11)가 설치된 지지판 (12)을 갖추고서 중량물을 싣고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카트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7)의 중앙하단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수단(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2)이,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하고서 하부 끝 부분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쌍의 끼움구멍(16)이 형성된 하우징(14)과, 이 하우징(14)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하고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걸림홈(17)이 형성된 지지축(15) 및, 상기 끼움구멍(16)과 걸림홈(17)에 끼워주도록 된 핀(18)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핀(18)을 매개로 지지축(15)의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15)에 로울러(21)를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
KR2019990027500U 1999-06-30 1999-12-08 카트 KR20018204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146 1999-06-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146 Division 1999-06-30 1999-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049Y1 true KR200182049Y1 (ko) 2000-05-15

Family

ID=1957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500U KR200182049Y1 (ko) 1999-06-30 1999-12-08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0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4654B2 (ja) 三部材式薄型引き出しスライド
US6120075A (en) Portable extendable cargo deck
US7201243B2 (en) Storage carts
US6641236B2 (en) Cabinet with drawer retainer/locking system
CA2591504C (en) Cantilever pallet cart
CA2527077C (en) Storage carts
KR200182049Y1 (ko) 카트
US7051866B2 (en) Cafeteria tray accumulator
EP0151603A1 (en) A support assembly
JP2923463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キャリアローラスタンド
JP2929848B2 (ja) 棚設備
JPS58224844A (ja) 吊下げ搬送装置
JP2003182814A (ja) 台車装置
KR101175417B1 (ko) 대차 이동 피트의 추락 방지 방치
CN105236102A (zh) 一种地拖链小车
EP1226048B1 (en) Arrangement at a load carrier
CN220976517U (zh) 一种活动阻挡机构及堆垛机
EP4112378B1 (en) A kit comprising a multiple support device for wheel chocks and at least one wheel chock
CN213008301U (zh) 一种物流运输用手推车
JPH0635610Y2 (ja) 引出形機器の移動装置
JPH0613539Y2 (ja) 引出形機器の移動装置
EP0336773B1 (en) A container having horizontally removable side members
GB2450487A (en) Slidable loading bay buffer
JPH0522485Y2 (ko)
US6669035B1 (en) Indexing parts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