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601Y1 -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601Y1
KR200181601Y1 KR2019990026866U KR19990026866U KR200181601Y1 KR 200181601 Y1 KR200181601 Y1 KR 200181601Y1 KR 2019990026866 U KR2019990026866 U KR 2019990026866U KR 19990026866 U KR19990026866 U KR 19990026866U KR 200181601 Y1 KR200181601 Y1 KR 200181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starter motor
shock absorbing
splin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혁
Original Assignee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6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2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 F02N15/02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of the overrunn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16B43/002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reducing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습동하는 T스플라인과 피니언의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내재시켜 마모를 예방하고, 더 나가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실시 수단은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아마츄어 어셈브리와, 그 회전축의 선단에 연결된 피니언 어셈브리와, 상기 피니언 어셈브리의 단락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피니언 어셈브리는 T스플라인의 확장부 내주면과 피니언이 내단 외주면을 서로 롤러로써 접하도록 하되, 상기한 T스플라인의 확장부 내측측면에 단턱홈을 형성한 후, 완충부재를 끼워 피니언의 내단 끝단면이 접하였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Impact Absorption ASS'Y of Over Running Clutch for Starter Motor of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오버 런닝 클러치의 작동축과 피니언의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내장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아마츄어 어셈브리(1)와, 그 회전축(2)의 선단에 마련된 피니언 어셈브리(3)와, 상기 피니언 어셈브리(3)의 단락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4)와, 상기 레버(4)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 스위치(5)로 이루어 지는 바, 상기 레버(4)의 작동으로 피니언 어셈브리(3)가 전진하면 그 선단의 피니언(31)이 차량의 링기어(도시하지 않았음)에 치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피니언(31)이 엔진의 크랭크축에 축착된 링기어와 치합될 때 충격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충격은 시동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피니언(31)을 포함하는 피니언 어셈브리(3)는 물론 링기어를 포함하는 크랭크축에 마모 발생율을 높이게 되고, 마모가 커지면 내구성을 잃어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피니언(31)과 피니언축(30)의 사이에 오버 런닝 클러치기능이 없이 피니언의 회전 관성에 의해 피니언과 링기어가 치합되도록 구성한 타입이 있는데 이러한 타입에서는 스플라인(32)과 피니언(31)의 사이에 도 1 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완충용 러버(3a)(3b)를 개입시켜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버 런닝 클러치구조에서는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완충용 러버를 개입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그 구조를 보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T스플라인(32)과 피니언(31)을 연결하되, T스플라인(32)의 확장부(32a) 내주면과 피니언(31)의 내단(31a) 외주면을 롤러(33)로 상접하게 하고, 상기 롤러(33)는 T스플라인(32)의 확장부(32a) 외주연을 감합한 커버(34)의 내주연이 이탈을 막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피니언(31)의 내단(31a) 끝단면(31b)과 T스플라인(32)의 내측측면(32b)사이에 임의의 간격이 있어 간섭으로 인한 마모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습동하는 T스플라인과 피니언의 사이에 충격흡수부재를 내재시켜 마모를 예방하고, 더 나가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실시 수단은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아마츄어 어셈브리와, 그 회전축의 선단에 연결된 피니언 어셈브리와, 상기 피니언 어셈브리의 단락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피니언 어셈브리는 T스플라인의 확장부 내주면과 피니언이 내단 외주면을 서로 롤러로써 접하도록 하되, 상기한 T스플라인의 확장부 내측측면에 단턱홈을 형성한 후, 완충부재를 끼워 피니언의 내단 끝단면이 접하였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오버 런닝 클러치를 가진 스타터 모터의 일 예시도
도 2는 오버 런닝 클러치 기능이 없는 피니언의 단면도
도 3은 오버 런닝 클러치 기능이 없는 또 다른 피니언의 단면도
도 4는 오버 런닝 클러치 기능이 있는 피니언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니언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사용하기 위한 완충부재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사용하기 위한 완충부재의 또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사용하기 위한 완충부재의 또 다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아마츄어 어셈브리 2 : 회전축
3 : 피니언 어세브리 4 : 레버
5 : 마그네트 스위치 6 : 완충부재
31 : 피니언 32 : T스플라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로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아마츄어 어셈브리(1)와, 그 회전축(2)의 선단에 연결된 피니언 어셈브리(3)와, 상기 피니언 어셈브리(3)의 단락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4)와, 상기 레버(4)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 스위치(5)로 이루어 지는 것은 종래와 대동소이하다.
이때,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한 피니언 어셈브리(3)를 T스플라인(32)의 확장부(32a) 내주면과 피니언(31)이 내단 외주면을 서로 롤러(33)로써 접하도록 하되, 상기한 T스플라인(32)의 확장부(32a) 내측측면(32b)에 단턱홈(32c)을 형성한 후, 완충부재(6)를 끼워 피니언(31)의 내측 끝단면(31b)이 접하였을 때, 상기 완충부재(6)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완충부재(6)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접시 모양의 금속제 와셔(6a)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은 외주면이 두께 방향으로 굴곡진 웨이브 와셔(6c)로, 혹은 도 8에서와 같은 고무재질의 링(6b)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단턱홈(32c)의 내경(D)은 피니언(31)의 내단 끝단면 직경(d)보다 약간 크게 하고, 상기한 완충부재(6)의 직경은 상기한 피니언(31)의 끝단면(31b)에 접할 수 있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아마츄어 어셈브리(1)의 작동으로 레버(4)가 회동하면 피니언 어셈브리(3)가 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T스플라인(32)이 피니언(31)과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서 피니언(31)의 끝단면(31b)이 T스플라인(32)의 확장부(32a) 내측측면(32b)에 닿더라도 단턱홈(32c)에 끼운 완충부재(6)에 닿기 때문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되며, 반복적으로 접촉되더라도 마모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피니언의 내측 끝단면의 폭이 좁아 완충부재의 삽입이 어려웠던 오버 런닝 클러치 구조에 있어서, T스플라인(32)의 확장부(32a) 내측측면(32b)에 단턱홈(32c)을 형성한 후, 완충부재(6)를 내재시키므로써 충격을 흡수하고, 그에 따라 마모가 예방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고장없이 수명이 오래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아마츄어 어셈브리(1)와, 그 회전축(2)의 선단에 연결된 피니언 어셈브리(3)와, 상기 피니언 어셈브리(3)의 단락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4)와, 상기 레버(4)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 스위치(5)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스타터 모터에 있어서,
    상기한 피니언 어셈브리(3)는 T스플라인(32)의 확장부(32a) 내주면과 피니언(31)이 내단 외주면을 서로 롤러(33)로써 접하도록 하되, 상기한 T스플라인(32)의 확장부(32a) 내측측면(32b)에 단턱홈(32c)을 형성한 후, 완충부재(6)를 끼워 피니언(31)의 내단 끝단면(31b)이 접하였을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완충부재(6)는 접시 모양의 금속제 와셔(6a)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완충부재(6)는 고무재질의 링(6b)으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완충부재(6)는 외주면이 두께 방향으로 굴곡진 웨이브 와셔(6c)로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KR2019990026866U 1999-12-02 1999-12-02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KR200181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866U KR200181601Y1 (ko) 1999-12-02 1999-12-02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866U KR200181601Y1 (ko) 1999-12-02 1999-12-02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601Y1 true KR200181601Y1 (ko) 2000-05-15

Family

ID=1959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866U KR200181601Y1 (ko) 1999-12-02 1999-12-02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6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90A (ko) * 2000-07-24 2002-01-31 에릭 발리베 자동차용 스타터모터의 오버런닝클러치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590A (ko) * 2000-07-24 2002-01-31 에릭 발리베 자동차용 스타터모터의 오버런닝클러치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190B2 (en) Structure of engine starter equipped with planetary gear speed reducer
US20070068765A1 (en) One-way clutch and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using the same
US5905309A (en) Starter with shock absorbing device
KR200181601Y1 (ko)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용 오버 런닝 클러치의 충격흡수구조
US4360094A (en) Gear structure for a manual transmission for an automobile
KR100412376B1 (ko) 수동 변속기용 동기장치
JP4305411B2 (ja) スタータ用トルク伝達装置
CN2934635Y (zh) 棘轮式单向离合器
US8567364B2 (en) Starter equipped with planetary speed reducer and shock absorber
KR200154271Y1 (ko) 시동전동기의 슬리브 메탈
CN220701294U (zh) 一种三轮车自动双离合发动机换挡结构
JP4532451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20040038059A (ko) 자동차용 스타터모터의 오버런닝 클러치
JPS59203869A (ja) スタ−タ
KR100360658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 장치
KR101755835B1 (ko) 진동 절연 댐퍼 풀리
JPH03164563A (ja) 内燃機関の逆回転防止装置
JP2590444Y2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装置
KR100448782B1 (ko) 자동변속기의 주차기구
CN1888412A (zh) 棘轮式单向离合器
KR100769422B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변속기구 장치
KR100620822B1 (ko) 수동변속기
KR20220062924A (ko) 등속조인트의 틈새 저감기구
JPS6034528A (ja) スタ−タ用オ−バランニングクラッチ
JPH11182390A (ja) スタータ用起動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