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471Y1 - 환자 운반카 - Google Patents

환자 운반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471Y1
KR200180471Y1 KR2019990028277U KR19990028277U KR200180471Y1 KR 200180471 Y1 KR200180471 Y1 KR 200180471Y1 KR 2019990028277 U KR2019990028277 U KR 2019990028277U KR 19990028277 U KR19990028277 U KR 19990028277U KR 200180471 Y1 KR200180471 Y1 KR 200180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atient
elevating
slid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한
Original Assignee
최운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운한 filed Critical 최운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4Stationary fixed means, e.g. fixed to a surface or b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 운반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핸들로서 4바퀴(캐스터)의 동시 고정이 가능하게 하여 브레이크 작동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극대화시키고, 베드(bed) 또한 전동식으로 승강 및 좌.우이송, 그리고 기울기까지 자유롭게 조작가능케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환자 수송 및 중환자 및 응급환자등을 타 베드로 손쉽게 이송운반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운반카{A carriage car for a patient}
본 고안은 환자 운반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환자 운반카의 다리 하단에 설치된 4개의 바퀴(캐스터)를 레바로서 손쉽게 동시 고정할 수 있게 하고(즉, 바퀴에 설치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거나 해제시킬때 레바로서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함.) 베드(bed) 또한 승강 및 좌.우이송, 그리고 기울기까지 전동식으로 구성하여 자유롭게 조작가능케 하며, 상기 베드 작동에 따른 동력을 충전기에 의해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 운반카 이송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깔끔하고, 어떤장소에서든 환자 운반 및 이송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 운반카는 주로 병원이나 보건소 또는 소방소나 응급구조대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응급환자나 중환자등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응급환자나 중환자들을 이송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환자 운반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랐다.
즉, 통상 환자 운반카에는 하부에 4개의 다리가 설치되고, 다리 저면에는 각각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한 캐스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응급환자등을 급히 이송 운반하는도중 잠시 멈추고자 할 때 4개의 캐스터에 개별 장착된 브레이크장치를 모두 발로 밟아 고정시켜야만 안정적으로 운반카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통상 4개의 캐스터에 장착된 브레이크를 모두 밟아 고정시키려면 시간소요와 함께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통상 운반카를 끌거나 밀고가는 사람들이 4개의 캐스터중 자신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쪽의 1또는 2개정도의 캐스터브레이크만을 발로 밟아 고정시켜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한두개 정도의 브레이크만 작동시켰을 경우는(4개의 캐스터 각각이 360°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정지시 주위에서 조금만 밀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운반카가 회전 또는 전혀 예측하지 못한 부분으로 이송되어 간혹 환자들에게 충격을 주게 되는등의 위험한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던 것이다.
또 통상의 환자 운반카는 베드의 전.후부만이 조작에 의해 경사조절될 뿐 베드의 높낮이, 좌우측 경사조절 및 베드자체의 이송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여, 중환자나 응급환자를 중환자실이나 수술실 또는 응급실등으로 운반한 후 다른 베드에 옮겨 실을때 환자를 직접들어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면서도 어렵고, 또 환자를 직접 들어 옮기는 과정에서 환자에게 무리를 주기도 하여 병 또는 환자의 상태를 더욱 악화시키기도 하였던 것이다.
또한 수술실을 갖춘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 또는 개인병원의 실정을 보면, 수술환자를 실은 환자 운반카를 수술대기실에서부터 수술실 회복실까지 그대로 이송시켜가면서 수술 및 회복을 시키는데, 이경우 수술실은 무균실이 되어야만 하는데도 불구하고 환자를 수술실용 베드위로 옮기기가 어려워 환자가 실려있는 운반카를 그대로 수술실로 이송하여 수술시키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이면서, 수술부위의 부작용 발생과 회복을 더디게 하는 중대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환자 운반카에 대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특히 환자 운반카에 설치된 4개의 바퀴 상측에 각각 브레이크 작동링을 설치하고, 이들이 축과 연결간 및 레바와 연결설치되게 하여, 레바로서, 4개의 바퀴를(바퀴의 방향이 어느쪽으로 향해있던 간에) 동시에 고정시킬수 있게끔 함으로써, 매우 신속.간편하게 브레이크를 걸거나 해제시킬수 있게 하고,
또, 베드가 감속모타와 타이밍벨트 및 풀리, 그리고 스크류우로 이루어진 전동구조물에 의해 승강 및 좌우 이송, 그리고 경사조절까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중환자 및 응급환자를 이송운반할 때나, 무균처리된 수술실의 베드나 중환자실의 다른 베드로 이송 운반할 때 환자에게 작용하는 충격이 거의 없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우 위생적이고도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지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E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도 5의 F-F'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브레이크 장치만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임.
하단부에 브레이크패드(13)을 가진 캐스터(12)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베드(3)를 설치하여 중환자 또는 응급환자나 입원환자등을 이송 운반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환자 운반카에 있어서,
환자 운반카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12) 상부에, 중앙상면에 내부가 비어있는 슬라이더(23)를 가진 ''형으로 형성된 두개의 연결관(15)(15')와 연결고정된 브레이크 작동링(14)을 설치하고,
환자 운반카(1)의 하부 횡프레임(1') 내부에 주축(19)을 설치하되, 주축(19) 양끝부분은 횡프레임(1') 양끝단에 형성된 사각가이드(22)를 관통한 상태에서 유니버셜베어링(21)이 연결 설치되게 하며, 상기 사각가이드(22) 내부에 연결간(15)(15')에 형성된 슬라이더(23)를 삽입한 상태에서 사각가이드(22)와 슬라이더(23)를 관통하여 하단에 나사가 형성된 2개의 안내핀(25)을 압축스프링(24)과 함께 삽입 설치하되, 사각가이드(22) 내부양측벽면에 안내핀(25)이 관통되는 구멍을 가진 스프링 안착돌부(5)(5')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24)이 슬라이더(23)의 내부 천정면과 스프링 안착돌부(5)(5') 사이에 설치되게 하고, 또 사각가이드(22)와 슬라이더(23)를 관통하게 끔 주축 높이조절볼트(20)를 설치하여 유니버셜 베어링(21)과 연결설치되게 하며, 사각가이드(22) 내측벽면에는 주축(19)의 높이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세로로 장공(6)을 형성하고, 주축(19) 양끝단 부분에는 레바(17)와 연결간 가압용 베어링(16)을 설치한 레바 연결구(18)를 설치하여 레바(17)를 돌리면 연결간 가압용 베어링(16)이 연결간(15)(15')에 작용하여 연결간(15)(15')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브레이크패드(13)가 작용하게 되고, 레바(17)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압축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간(15)(15')가 상승되어 브레이크패드(13)를 해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환자 운반카(1)의 베드(3)는 저면에 고정사각프레임(4)과 승강 사각프레임(5)을 설치하여, 승강사각프레임(5)이 고정사각프레임(4)을 기준으로 승강가능하게 하되,
상기 고정사각프레임(4) 내부에는 충전기(41)와 함께 내부중앙부분에 감속모타(61), 주동 및 종동타이밍풀리(62),(62') 그리고 상기 종동타이밍풀리(62')의 축(63)에 베벨기어(64)를 설치한 전동식 구동장치(60)를 설치하여, 상기 베벨기어(64)가 스크류우(65) 하단의 베벨기어(64')와 맞물려 스크류우(6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수 있게 하고, 상기 스크류우(65)에는 상단이 승강사각 프레임(5)과 연결 설치되고, 볼슬라이드베어링(66)에 의해 안내되는 승강관(67)이 조립되어, 감속모타(61)가 정.역회전 하면 베드(3)를 지탱하는 승강사각프레임(5)이 승강하게 하고, 또 상기 승강사각프레임(5)이 승강시 수직으로 안정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승강관(67) 양측부에 크고작은 관(68)(68')이 서로 끼워져서 구성된 승강안정유도부(69)를 설치하였다.
승강사각프레임(5)의 상단 좌우측에는 안내레일(51)(51')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레일(51)(51')에 베드(3) 저면이 연결설치된 슬라이더(31)를 설치하고, 승강사각프레임(5)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전동식구동장치(60)와 동일한 구성의 전동식 베드수평이동장치(60a)를 설치하여, 이 또한 스크류우(65a) 끝단에 설치된 베벨기어(64a')와 맞물려 스크류우(65a)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스크류우(65a)에는 베드(3)와 연결 설치된 이송관(67a)이 볼슬라이드베어링(66)에 의해 안내되게 하였으며, 베드(3) 양측 후미에는 베드(3)의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전술한 전동식 구동장치(60)나 전동식베드수평이동장치(60a)와 동일한 구성의 전동식 베드 경사조절장치(60b)를 설치하고, 이 또한 스크류우(65b) 끝단에 설치된 베벨기어(64b')와 맞물려 스크류우(65b)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수 있게 하며, 상기 스크류우(65b)에는 베드(3)와 연결 설치한 승강관(67b)이 설치되고 스크류우(65b) 하단에 슬라이더(31)와 연결 설치된 연결봉(31')에 힌지조립되어 베드(3)의 경사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환자 운반카(1)로 환자를 이송도중 잠시 세워 고정시킬때 레바(17)를 재껴주면 레바연결구(18)가 회전하면서, 레바연결구(18)와 일체로 된 베어링(16)이 연결간(15)(15') 중앙부를 눌러 가압시키게 되고, 이와 함께 연결간(15)(15') 양측단부에 고정설치된 브레이크 작동링(14)이 브레이크 패드(13)를 가압시킴으로써 캐스터(12)가 요지부동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또, 레바(17)를 원위치시키면 연결간(15)(15')이 압축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됨으로써 브레이크가 해제되게 되는 것이며, 오래도록 사용하는 과정에서 브레이크 패드(13)가 마모되면 연결간(15)(15')의 하강위치가 패드(13)의 마모량만큼 더 하강하여야 안정적인 브레이크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는 볼트(2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 주축(19)을 지지하는 연결관 가압용 베어링(16)을 브레이크 패드(13) 마모량만큼 하강시켜 주면 됨으로써, 매우 안정적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환자 운반카(1)의 전.후방 어느쪽에서든 레바(17)로써 4개의 바퀴를 동시 고정시킬수 있고, 또 발의 답력보다는 손으로 느끼는 감각이 더욱 민감하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매우 신속 간편하게 작용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이 매우 편리하여 안정적이고도 확실한 제동이 이루어질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환자 운반카(1)의 베드(3)를 승강 및 전.후 이송, 그리고 기울기까지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수술실이나 중환자실, 그리고 응급실에서 환자를 다른 베드로 옮기려 할때 매우 편리하고 손쉽게 이송 운반 할 수 있게 된다.
즉, 베드(3)을 승강시킬때는 전동식승강장치(60)를 작동시켜주면 되는데, 이는 감속모타(61)가 회전하면서 주동 및 종동 타이밍풀리(62)(62')를 회전시켜주고, 이어서 상기 종동타이밍풀리(62')가 베벨기어(64)를 회전시켜주게 되어 스크류우(65)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며, 이에 따라 승강관(67)이 볼슬라이드베어링(66)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하게 됨에 따라 승강사각프레임(5)과 베드(3)를 동시에 승강시켜주므로써 베드(3)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베드(3)를 수평이송시키고자 할 때는 전동식베드 수평이동장치(60a)를 작동시키면 되는데, 이 또한 설치위치만 다를 뿐 전술한 전동식승강장치(60)와 작동원리가 동일하고, 단지 베드(3)가 안정적으로 이송되게 끔 하기 위해 승강사각프레임(5) 상단양측에 설치된 안내레일(51)(51')을 베드(3)와 연결 설치된 슬라이더(31)가 타고 이송되게 함으로서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 베드(3)의 경사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전동식베드 경사조절장치(60a)를 작동시키면 되며,
이 또한 설치위치만 다를 뿐 전술한 전동식승강장치(60)와 구동원리가 같다.
다만, 이 경우는 베드(3)가 경사조절될 때, 경사각도에 따라 스크류우(65b)및 승강관(67b)의 기울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스크류우(65b) 하단만 연결봉(31') 하단에 힌지고정된점만 차이가 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베드의 승강조절, 경사조절, 수평이송조절을 리모콘으로 연결 조작하면 되고, 이 경우 리모콘 조작방식이나 구성은 통상적인 기술수단이므로 언급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환자 운반카에 레바로 작동하는 브레이크장치와, 베드 승강 및 전후진, 그리고 기울기까지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환자 운반시 매우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고, 또 중환자나 응급환자등을 타베드로 이송운반할 때 매우 편리하며, (수술실이나 회복실, 중환자실에서는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음) 이에 따라 신뢰성을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종합병원, 소방서, 보건소등등에서 응급환자 또는 중환자 수송용으로 사용되는 환자 운반카를 구성함에 있어서,
    환자 운반카(1)의 하부에 레바로 4바퀴 동시 고정이 이루어지게한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하고, 상부의 베드에는 승강 및 전후진, 그리고 기울기 조절장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카
  2. 1항에 있어서;
    환자 운반카의 하부에 설치된 캐스터(12) 상부에, 중앙상면에 내부가 비어있는 슬라이더(23)를 가진 ''형으로 형성된 두개의 연결관(15)(15')와 연결고정된 브레이크 작동링(14)을 설치하고,
    환자 운반카(1)의 하부 횡프레임(1') 내부에 주축(19)을 설치하되, 주축(19) 양끝부분은 횡프레임(1') 양끝단에 형성된 사각가이드(22)를 관통한 상태에서 유니버셜베어링(21)이 연결 설치되게 하며, 상기 사각가이드(22) 내부에 연결간(15)(15')에 형성된 슬라이더(23)를 삽입한 상태에서 사각가이드(22)와 슬라이더(23)를 관통하여 하단에 나사가 형성된 2개의 안내핀(25)을 압축스프링(24)과 함께 삽입 설치하되, 사각가이드(22) 내부양측벽면에 안내핀(25)이 관통되는 구멍을 가진 스프링 안착돌부(5)(5')를 형성하여, 압축스프링(24)이 슬라이더(23)의 내부 천정면과 스프링 안착돌부(5)(5') 사이에 설치되게 하고, 또 사각가이드(22)와 슬라이더(23)를 관통되게 끔 주축 높이조절볼트(20)를 설치하여 유니버셜 베어링(21)과 연결설치되게 하며, 사각가이드(22) 내측벽면에는 주축(19)의 높이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세로로 장공(6)을 형성하고, 주축(19) 양끝단 부분에는 레바(17)와 연결간 가압용 베어링(16)을 설치한 레바 연결구(18)를 설치하여 레바(17)를 돌리면 연결간 가압용 베어링(16)이 연결간(15)(15')에 작용하여 연결간(15)(15')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브레이크패드(13)가 작용하게 되고, 레바(17)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압축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간(15)(15')가 상승되어 브레이크패드(13)를 해제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카
  3. 1항에 있어서;
    환자 운반카(1)이 상부베드에 승강 및 전후진, 그리고 기울기 조절장치를 구성하는데, 이는 베드(3)의 하부에 고정사각프레임(4)과 승강사각프레임(5)을 설치하여 승강사각프레임(5)이 고정사각프레임(4)을 기준으로 승강하게 하고,
    상기 고정사각프레임(4) 내부에는 충전기(41)와 함께 내부 중앙부분에 감속모타(61), 주동 및 종동타이밍풀리(62)(62'), 그리고 상기 종동타이밍풀리(62')의 축(65)에 베벨기어(64)를 설치한 전동식구동장치(60)를 설치하여, 상기 베벨기어(64)가 스크류우(65) 하단의 베벨기어(64')와 맞물려 스크류우(6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상기 스크류우(65)에는 상단이 승강사각프레임(5)과 연결설치되고, 볼슬라이드베어링(66)에 의해 안내되는 승강관(67)이 조립되어, 감속모타(61)가 정.역회전하면 베드(3)을 지탱하는 승강사각프레임(5)이 승강하게 하고, 또 상기 승강사각프레임(5)이 승강시 수직으로 안정적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승강관(67) 양측부에 크고작은 관(68)(68')이 서로 끼워져서 구성된 승강안정유도부(69)를 설치 구성하여 베드(3)의 승강작용이 이루어지게 한 구성과;
    승강사각프레임(5)의 상단좌우측에 안내레일(51)(51')을 설치하여, 상기 안내레일(51)(51')에 베드(3) 저면이 연결설치된 슬라이더(31)를 설치하고, 승강사각프레임(5)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전동식구동장치(60)와 동일한 구성의 전동식 베드 수평이동장치(60a)를 설치하여 이 또한 스크류우(65a) 끝단에 설치된 베벨기어(64a')와 맞물려 스크류우(65a)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수 있게 하며, 상기 스크류우(65a)에 베드(3)와 연결설치된 이송관(67a)이 볼슬라이드베어링(66)에 의해 안내되게 하여 베드(3)의 수평이송이 이루어지게 한 구성과;
    베드(3) 양측 후미에는, 전술한 전동식 구동장치(60)와 동일한 구성의 전동식 베드 경사조절장치(60b)를 설치하고, 이 또한 스크류우(65b) 끝단에 설치된 베벨기어(64b')와 맞물려 스크류우(65b)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하며, 상기 스크류우(64b)에 베드(3)와 연결설치된 승강관(67b)이 설치되고, 스크류우(65b) 하단이 슬라이더(31)와 연결설치된 연결봉(31')에 힌지 조립되어 베드의 경사조절이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운반카.
KR2019990028277U 1999-12-15 1999-12-15 환자 운반카 KR20018047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783A KR100397747B1 (ko) 1999-12-15 1999-12-15 환자 운반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783A Division KR100397747B1 (ko) 1999-12-15 1999-12-15 환자 운반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471Y1 true KR200180471Y1 (ko) 2000-05-01

Family

ID=196259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277U KR200180471Y1 (ko) 1999-12-15 1999-12-15 환자 운반카
KR10-1999-0057783A KR100397747B1 (ko) 1999-12-15 1999-12-15 환자 운반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783A KR100397747B1 (ko) 1999-12-15 1999-12-15 환자 운반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04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17B1 (ko) 2008-09-24 2009-05-11 광주광역시 남구 환자 이동 장치
KR101272389B1 (ko) 2010-07-05 2013-06-07 주식회사 로보피아 운반 도우미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921A (ko) * 2002-03-14 2003-09-19 이영철 환자이송장치
KR100619432B1 (ko) * 2004-06-17 2006-09-19 박신택 환자 이송 침대
KR100999486B1 (ko) 2010-08-09 2010-12-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베드의 회전축 및 캐리어의 동력축 착탈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전축을 고정하는 능동형 복합 캐리어
KR102109929B1 (ko) * 2018-04-30 2020-05-12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선반
KR102220360B1 (ko) * 2019-07-29 2021-02-2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CN114287750A (zh) * 2021-12-31 2022-04-08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可移动的换药药品及器械存放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4355A (en) * 1977-12-08 1979-08-14 Stryker Corporation Cadaver transport
US4175783A (en) * 1978-02-06 1979-11-27 Pioth Michael J Stretc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817B1 (ko) 2008-09-24 2009-05-11 광주광역시 남구 환자 이동 장치
KR101272389B1 (ko) 2010-07-05 2013-06-07 주식회사 로보피아 운반 도우미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747B1 (ko) 2003-09-13
KR20000012623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6042B2 (en) Ambulatory care chair
US5090072A (en) Patient lifting device
EP0875229B1 (en) Mobile ventilator cart
US8650676B2 (en) Patient lift and transfer device
US6834402B2 (en) Combination bed mover and patient transfer apparatus
US8910326B2 (en) Wheelchair lift transfer device
US4682377A (en) Device for transferring immobile persons
EP1981461B1 (en) Combination ambulance cot and chair
US20190008710A1 (en) Wheelchair Lift-Transfer Device
US20060162069A1 (en) Lifting and transfer apparatus
JPH0984832A (ja) 運搬装置
JP2008131961A (ja) スライド式ベッド
US11173084B2 (en) Sit-to-stand wheelchair
KR200180471Y1 (ko) 환자 운반카
JP2017196408A (ja) 車椅子とカーシートとの結合機構
US5456335A (en) Patient lifting device
US20060248649A1 (en) Combination Wheelchair/Gurney
US5421639A (en) Lifting device for invalids
CN113262119A (zh) 一种平稳可靠的卧床病人转移装置及转移方法
RU2364384C1 (ru) Тележка-подъемник для больных
JPH11318997A (ja) 多機能ベッド
KR100893189B1 (ko) 탈부착형 이동식 들것
US20070118990A1 (en) Wheel Chair to Assist in Lifting a Fallen Patient
JPH10263019A (ja) 介護ベッド
JPH0721028U (ja) 難歩行者用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