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360B1 -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 Google Patents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360B1
KR102220360B1 KR1020190091523A KR20190091523A KR102220360B1 KR 102220360 B1 KR102220360 B1 KR 102220360B1 KR 1020190091523 A KR1020190091523 A KR 1020190091523A KR 20190091523 A KR20190091523 A KR 20190091523A KR 102220360 B1 KR102220360 B1 KR 10222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patient
main footrest
auxiliary frame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828A (ko
Inventor
박성영
정일호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91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37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t least one swivelling wheel, e.g.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81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 stee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전동장치를 갖는 메인발판과; 상기 메인발판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장치의 구동력으로 지면에 구름접촉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캐스터와; 상기 메인발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발판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캐스터의 이동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핸들과; 상기 메인발판의 전방에 연장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응급환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배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량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협소한 통로 또는 공원, 축제, 경기장과 같이 인파가 많아 통행이 불편한 장소에서 긴급을 요하는 환자 또는 물품을 후송차량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Electric Kickboard for patient transport}
본 발명은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협소한 통로 또는 공원, 축제, 경기장과 같이 인파가 많아 통행이 불편한 장소에서 긴급을 요하는 환자 또는 물품을 후송차량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송차량은 응급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동안 환자의 바이탈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도로를 따라 신속하게 이송하고자 하는 차량이다.
이러한 후송차량은 건물 안으로 차량 진입이 불가하며, 진입할 수 있는 도로라 하더라도 축제와 같이 많은 인파가 몰리는 장소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후송차량이 인파를 뚫고 환자를 이송하기에는 주변에 관리자 또는 스테프 등 후송차량의 유인과 인파의 통제를 위해 많은 인원 소요되며 시간으로 매우 급박한 상황이라 실질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환자의 후송시간이 지연될수록 환자의 골든타임(golden time)을 놓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관 또는 시설에서 사용되는 시설관리용 전동카트의 뒤에 배드트레일러를 연결하여 이송하는 경우가 있다.
많은 인파가 있는 장소에 비해 전동카트의 체격이 크고 몰리는 인파에 의해 인사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환자를 이송하는 배드트레일러가 전동카트의 뒤에 있어서 앞을 막는 인파가 환자를 후송하는 전동카트로 인지하지 못해 환자 이송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 경우 응급환자를 이송하기 보다는 장애인 또는 몸이 불편한 노약자가 간편하가 조작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일인용 이동카트로 응급환자를 이송과는 전혀 차이가 있다.
특허문헌 2는 장기 입원환자에 대해 자세를 자유자제로 바꿀 수 있도록 배드와 휠체어로 트랜스 되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KR 10-2016-0133191 A KR 10-2001-0050998 A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킥보드에 응급환자 이송을 위한 배드를 구성하여 차량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협소한 통로 또는 공원, 축제, 경기장과 같이 인파가 많아 통행이 불편한 장소에서 긴급을 요하는 환자 또는 물품을 후송차량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장치를 갖는 메인발판과; 상기 메인발판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장치의 구동력으로 지면에 구름접촉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캐스터와; 상기 메인발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발판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캐스터의 이동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핸들과; 상기 메인발판의 전방에 연장되는 보조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응급환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배드에 의해 가려진 전방주시 및 센싱하여 상기 조향핸들에 구비된 제어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전방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카메라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패널에는 사이렌 또는 음성으로 응급환자의 후송을 알리는 스피커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조프레임의 상부에는 후송차량의 컨테이너 높이까지 상기 배드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수단의 단부에는 상기 배드가 안착되며, 상기 배드를 전/후진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를 갖는 배드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협소한 통로 또는 공원, 축제, 경기장과 같이 인파가 많아 통행이 불편한 장소에서 긴급을 요하는 환자 또는 물품을 후송차량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장치(110)를 갖는 메인발판(100)과; 상기 메인발판(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장치(110)의 구동력으로 지면에 구름접촉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캐스터(120)와; 상기 메인발판(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발판(100)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캐스터(120)의 이동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핸들(200)을 포함하는 것으로 통상의 전동킥보드와 기본 구성은 동일하다.
상기 메인발판(100)의 전방에는 보조프레임(300)이 연장 설치되거나, 상기 메인발판(100)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보조프레임(300) 및 메인발판(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캐스터(120)가 상기 메인발판(100)과 보조프레임(300)을 따라 전/후 하단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300)의 상부에는 응급환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배드(4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발판(100)에 사용자가 올라선 상태에서 조작하여 상기 보조프레임(300)에 구비된 배드(400)에 응급환자를 눕혀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프레임(300)의 전방에는 상기 배드(400)에 의해 가려진 전방 주시 및 센싱하여 상기 조향핸들(200)에 구비된 제어패널(210)을 통해 사용자가 전방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카메라(31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패널(210)에는 상기 센서카메라(310)에 감지된 신호를 상기 제어패널(210)의 모니터에 제공하여 조정하는 사용자가 응급환자 또는 배드(400)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전방 일부분을 대신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패널(210)에는 사이렌 또는 음성으로 응급환자의 후송을 알리는 스피커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응급환자를 이송하는데 있어서, 전방에 위치되는 안파에게 응급환자의 이송을 알릴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보조프레임(300)의 상부에는 후송차량의 컨테이너 높이까지 상기 배드(4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3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320)은 숏업소버, 실린더 등의 유/공압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320)의 단부에는 상기 배드(400)가 안착되며, 상기 배드(400)를 전/후진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420)를 갖는 배드판(4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의 작동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축제 또는 경기장 등 인파가 많은 장소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일반적인 전동카트의 전폭에 비해 킥보드에 탑승하는 사용자의 전폭이 더욱 좁아서 인파가 많은 장소 또는 폭이 좁은 통로에 인파의 방해 없이 응급환자가 있는 곳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보조프레임(300)에 설치된 배드(400)에 응급환자를 눕혀 안전밸트(430)를 환자를 안전하게 보호한 후 사용자가 메인발판(100)에 탑승하여 운전하여 인파를 유유히 피해 후송차량까지 신속하게 이동한다.
이때, 상기 배드(400)는 응급환자 이송시 환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승강수단(320)의 높이를 최하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송차량까지 이송된 후 상기 승강수단(320)의 상승으로 후송차량의 컨테이너 높이만큼 상기 배드(4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320)의 단부에 구비된 배드판(410)의 가이드부재(420)를 따라 상기 배드(400)를 전방으로 이송시켜 후송차량의 컨테이너에 배드(400)와 함께 응급환자를 안전하게 들여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협소한 통로 또는 공원, 축제, 경기장과 같이 인파가 많아 통행이 불편한 장소에서 긴급을 요하는 환자 또는 물품을 후송차량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메인발판
110: 전동장치
120: 캐스터
200: 조향핸들
210: 제어패널
220: 스피커모듈
300: 보조프레임
310: 센서카메라
320: 승강수단
400: 배드
410: 배드판
420: 가이드부재
430: 안전밸트

Claims (5)

  1. 전동장치(110)를 갖는 메인발판(100)과;
    상기 메인발판(10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장치(110)의 구동력으로 지면에 구름접촉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캐스터(120)와;
    상기 메인발판(1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메인발판(100)에 탑승하는 사용자가 캐스터(120)의 이동 방향을 조향하는 조향핸들(200)과;
    상기 메인발판(100)의 전방에 연장되는 보조프레임(300)과;
    상기 보조프레임(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응급환자가 누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배드(40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300)의 전방에는,
    상기 배드(400)에 의해 가려진 전방 주시 및 센싱하여 상기 조향핸들(200)에 구비된 제어패널(210)을 통해 사용자가 전방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카메라(3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패널(210)에는,
    사이렌 또는 음성으로 응급환자의 후송을 알리는 스피커모듈(22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300)의 상부에는,
    후송차량의 컨테이너 높이까지 상기 배드(4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수단(32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수단(320)의 단부에는,
    상기 배드(400)가 안착되며, 상기 배드(400)를 전/후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420)를 갖는 배드판(4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수단(320)은 실린더를 포함하는 유/공압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드(400)는,
    응급환자 이송시 상기 승강수단(320)의 최하 높이의 위치에서 후송차량까지 이송되고, 상기 승강수단(320)의 상승으로 후송차량의 컨테이너 높이만큼 상승된 후, 상기 배드판(410)의 가이드부재(420)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어 후송차량의 컨테이너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1523A 2019-07-29 2019-07-29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KR10222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523A KR102220360B1 (ko) 2019-07-29 2019-07-29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523A KR102220360B1 (ko) 2019-07-29 2019-07-29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828A KR20210013828A (ko) 2021-02-08
KR102220360B1 true KR102220360B1 (ko) 2021-02-25

Family

ID=7456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523A KR102220360B1 (ko) 2019-07-29 2019-07-29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3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32Y1 (ko) * 2004-07-26 2004-10-15 장여훈 이동 재활치료 차량
WO2012141591A1 (en) * 2011-04-15 2012-10-18 Noorenz B.V. Transport vehicle and vehicle frame for such a transport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2633B1 (en) 1999-10-12 2004-09-21 Takano Co., Ltd. Stretcher
KR200180471Y1 (ko) * 1999-12-15 2000-05-01 최운한 환자 운반카
KR20140102440A (ko) * 2013-02-14 2014-08-22 정양자 이동식 전동 스태커
KR20160133191A (ko) 2015-05-12 2016-11-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송용 보조로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32Y1 (ko) * 2004-07-26 2004-10-15 장여훈 이동 재활치료 차량
WO2012141591A1 (en) * 2011-04-15 2012-10-18 Noorenz B.V. Transport vehicle and vehicle frame for such a transport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828A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203B1 (en) Patient chair lift
WO2004096627B1 (en) Transport chair for a patient
JP2007511400A (ja) 積載物地表運搬用操縦装置
JP5116767B2 (ja) 改良した昇降運搬装置
US6325168B1 (en) Lift transit vehicle
NL2014714B1 (nl) Nestbaar vervoermiddel.
US9713560B1 (en) Wheelchair with a lift assistance device
KR101840650B1 (ko) 화물 운반용 전동 카트
KR102220360B1 (ko) 환자 이송용 전동킥보드
US20190167497A1 (en) Wheelchair with integrated transfer device
WO1997019887A1 (en) Lift device
WO201003189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pelling a wheelchair
KR101463242B1 (ko) 장애물 극복 유닛을 갖는 휠체어
US20060120837A1 (en) Wheelchair elevator
FR2956973A1 (fr) Chariot brancard adapte pour le transport d'un patient alite dans toute l'enceinte d'un hopital ou d'une clinique.
JP4393901B2 (ja) 担架
KR102383506B1 (ko) 휠체어바퀴 후방이동기구
ITRE20120027A1 (it) Dispositivo montascale
JP2011092446A (ja) 移動補助装置
JP2004223019A (ja) 車椅子自動車移載装置
US20240139050A1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Having A Skirt Barrier
KR101427150B1 (ko) 휠체어용 승강장치
CN214806110U (zh) 一种转移辅助轮椅
CN212439184U (zh) 一种躺坐两用病人转运车
KR20240059387A (ko) 환자용 침대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