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462Y1 -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462Y1
KR200179462Y1 KR2019990023972U KR19990023972U KR200179462Y1 KR 200179462 Y1 KR200179462 Y1 KR 200179462Y1 KR 2019990023972 U KR2019990023972 U KR 2019990023972U KR 19990023972 U KR19990023972 U KR 19990023972U KR 200179462 Y1 KR200179462 Y1 KR 2001794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disk
disc
hea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드림키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드림키친 filed Critical 주식회사드림키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4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4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94Warming devices using heat storage elements or materials, e.g. lava 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개의 열원용 디스크를 가열해두었다가 필요시 하나씩 꺼내어 조리하는데 사용하도록 한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필요한 수 만큼의 조리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여름철과 같이 무더운 날씨에도 주방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으므로 조리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소정 시간동안의 동시다발적인 열원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으므로, 요식업소 등과 같은 곳에서의 매출증대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A ROUND SHAPE DISK HEATING DEVICE}
본 고안은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소정 시간동안 가열된 복수개의 열원용 디스크를 제공하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열원으로는 숯을 사용하는 숯불장치, 전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가열하는 전기히터 또는 전자렌지,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렌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식당 등에서는 저렴한 비용과, 청결한 사용상태 등으로 인해서 가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가스에는 LNG와, LPG가 있다. 특히, 한식요리의 경우에는 즉석요리가 많기 때문에 대중식당의 각 테이블에는 가스형 조리장치가 가설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대중식당의 경우에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조리기기가 각 테이블 마다 비치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든다.
둘째, 조리기기가 많이 비치된 식당 등과 같은 곳에서도, 테이블 당 조리기기는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서로 다른 메뉴의 즉석 요리에 대한 주문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셋째, 점심시간에만 주로 찾아드는 손님을 맞이하는 빌딩가의 식당이나 구내식당에서는 동시다발적으로 조리기기가 사용되기 때문에, 점심시간에는 조리기기가 부족한 현상이 발생된다.
넷째, 여름철 등과 같이 무더운 날씨에는 복수개의 조리기기가 가동되기 때문에 주방에 근무하는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복수개의 조리장치로 인해서 주방공간이 비좁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굳이 테이블 마다 조리기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동시다발적인 필요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초기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는 조리장치가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동시다발적인 조리장치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이용하기에 간편할 뿐 더러, 초기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로드장치의 걸이용봉에 열원용디스크가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의 측면을 잘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크충진구 12 ; 가열장치
14 ; 배기구 16 ; 디스크로드장치
18 ; 디스크배출구 20 ; 열원용 디스크
22 ; 받침대 24 ; 배출용 가이드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소정 위치에 걸이용 홀을 가지고 있고, 열을 받으면 축적하였다가, 축적된 열을 발산하는 복수개의 열원용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열원용 디스크의 홀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걸이봉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상기 열원용 디스크를 외부로 하나씩 배출시키는 디스크로드장치와; 상기 각 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로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와, 상기 열원용 디스크 충진구 및 배출구를 가진 케이스를 포함하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는 열원용 디스크(20)를 내부로 유입하는 디스크충진구(10)와, 유입된 디스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12)와,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4)와, 유입된 디스크를 디스크배출구(18)를 통해 하나씩 배출하는 디스크로드장치(1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된 디스크(20)를 소정의 장소로 이동하기에 편리하도록 밑에서 받치는 받침대(22)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용 디스크(20)의 배출시 외부로 튀어 나오지 못하도록 한 배출가이드(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22)는 나무 등과 같이 열 흡수량이 적은 소재를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디스크량은 제조업체의 설계룰에 따라 변동가능한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90개의 디스크를 로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의 세부적인 구조 및 기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의 케이스의 내외면은 스텐레스 등과같은 금속이고, 그 사이에는 적어도 2겹이상의 단열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12)에 의해 가열된 열이 외부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한다.
상기 열원용 디스크(20)는 상기 디스크배출구(18)를 통해 배출된 시점부터 적어도 15∼30분 동안 어떠한 음식이라도 조리할 수 있는 열축적성을 가진 금속이면 되는데, 스테인레스의 일종인 SUS 430을 사용한다.
상기 가열장치(12)는 상기 열원용 디스크(20)를 자동으로 점화 또는 소화시켜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자동방식과, 사용자가 판독하여 수동으로 점화 또는 소화시켜 가열하는 수동방식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동방식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자동방식인 경우에는 부속케이블이 고온에 견디도록 냉각기 등을 추가로 설계해야하고,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는 회로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의 케이스 외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원용디스크를 가열하는 최대온도는 변동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600℃의 온도로 가열하고,상기 가열장치는 도면에서와 달리 정면 하단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가스형조리장치가 내는 화력이 12,000∼15,000 KCal인데 반해서, 상기 열원용디스크의 화력은 3만 KCal이므로, 상기 일반적인 가스형조리장치보다 신속히 조리된다.
또한, 상기 가열장치(12)에는 최대화력을 설정하도록 공급되는 연료량을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연료는 가스이지만, 소정 온도의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목재, 석유, 전기 등과 같은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충진구(10) 및 디스크배출구(18)는 일측면에 경첩이 설치되어,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디스크의 충진 및 배출이 용이하도록 배출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상기 배기구(14)는 설정 온도이상으로 가열되거나, 내부청소 등의 목적으로 환기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건물외부와 연통된 덕트등을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기구(14) 근처에는 배기시 고온의 열 때문에 외부환경을 덮히지 못하도록 수냉식 냉각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로드장치(16)는 내부의 걸이용 봉에 상기 열원용디스크(20)의 홀에 끼워서 지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하나씩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도 2에서와 같이, 걸이용봉(30)은 한쌍(30a)(30b)이 열원용디스크 가열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되, 다른 쌍에 끼워진 인접한 열원용디스크(20)와 일부가 겹치도록 걸려있다. 이때, 상기 걸이용봉(30)의 재질은 고온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이면 되지만, 구리의 일종인 유산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열원용디스크 가열장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인 도3에서와 같이, 디스크충진구(10)는 소정의 각도로 개폐 가능하고, 열원용디스크(20)는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걸려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배출용손잡이(32a)를 잡아당기면, 배출용손잡이(32a)에 고정된 봉(32b)가 회동함과 동시에, 이에 고정된 가이드(32c)가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즉, 배출용손잡이가 일단에 있으면 상기 가이드(32c)는 제 1 걸이봉(30a)에 걸린 열원용디스크를 배출되게 하면서, 제 2 걸이봉(30b)에 걸린 열원용디스크는 배출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수행하고, 배출용손잡이를 타단에 놓으면 상기와는 반대로 동작하게 되어, 결국에는 배출용손잡이을 좌우로 움직일 때 마다 열원용디스크가 하나씩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접촉부(32d)는 나무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을 채용하여 열원용디스크(20)에 축적된 열이 배출용손잡이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열원용디스크 가열장치의 걸이봉은 디스크배출구 쪽을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별도의 동력 없이도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용손잡이를 잡아당겨 열원용디스크를 배출하기 위한 가이드(32c)는 일반적인 구조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러한 구조로는 기어를 이용한 구조, 체인을 이용한 구조, 모터를 이용한 구조이어도 무방하지만, 내부가 고온 상태이므로 기구적인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중심사상은 복수개의 금속성 디스크에 축열시킨 다음, 필요할 때마다 하나씩 배출하여 조리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로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로부터 유추가능한 변형실시예가 많으리라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하지만, 이로부터 유추가능한 변형실시예 또한 다음에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조리용 열원이 충분하기 때문에 동시다발적인 열원의 증가에도 대처할 수 있다.
둘째, 가스나 석유 등에서와 같은 가열시 냄새가 나지 않기 때문에 좀더 향상된 고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주방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보다 많은 고객에게 즉석 요리를 제공하여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소정 위치에 걸이용 홀을 가지고 있고, 열을 받으면 축적하였다가, 축적된 열을 발산하는 복수개의 열원용 디스크(20)와,
    상기 디스크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열하는 가열장치(12)와,
    상기 복수개의 열원용 디스크의 홀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걸이봉(30)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상기 열원용 디스크를 외부로 하나씩 배출시키는 디스크로드장치(16)와,
    상기 각 장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로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14)와, 상기 열원용 디스크 충진구(10) 및 배출구(18)와, 내부공기의 배기시 온도를 낮춰 배출하기 위한 수냉식 냉각장치를 가진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도록 한 연료량 조절밸브가 더욱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의 연료는 가스, 전기 등으로 구성된 집단 가운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용 디스크에서 발산되는 열을 조리용 음식으로 전달하기 위한 조리용기로써,탄소 소재인 카본이 주원료로 되는 디스크용 전용그릇과, 상기 열원용 디스크에서 발산되는 열을 최소로 흡수하는 받침대를 더욱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용 디스크를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 제어부를 더욱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봉은 유산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용디스크는 600℃의 온도로 15∼30분 동안 열을 발산하고, 상기 열원용디스크의 재질은 SUS 4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KR2019990023972U 1999-11-04 1999-11-04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KR2001794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484A KR20010045257A (ko) 1999-11-04 1999-11-04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84A Division KR20010045257A (ko) 1999-11-04 1999-11-04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462Y1 true KR200179462Y1 (ko) 2000-04-15

Family

ID=196184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84A KR20010045257A (ko) 1999-11-04 1999-11-04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KR2019990023972U KR200179462Y1 (ko) 1999-11-04 1999-11-04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84A KR20010045257A (ko) 1999-11-04 1999-11-04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452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0891A (zh) * 2019-11-23 2020-01-21 高嘉炜 一种具有多重散热结构的电烤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2686A (ja) * 1988-04-26 1989-10-31 Nippon Denso Co Ltd 発熱装置
KR0116941Y1 (ko) * 1994-09-14 1998-04-22 신건영 휴대용 레토느트 파우치(retort pouch) 가열기
KR200191921Y1 (ko) * 1998-03-26 2000-08-16 성용호 고기구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257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11752B (zh) 带有保温柜的烧烤装置
EP2680727B1 (en) Oven for grilling food
US20050034716A1 (en) Portable compact cooking appliance
US2290572A (en) Stove utility drawer
JP5980406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およびバーベキューグリルを用いた調理方法
US20230301461A1 (en) Stackable Cooking Apparatus
KR200179462Y1 (ko) 열원용 디스크 가열장치
KR200438301Y1 (ko)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JP2008119032A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を備えた流し台
KR100757857B1 (ko) 조리용 가스랜지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1880043B1 (ko) 인덕션 방식 고속 구이장치
CN217161841U (zh) 一种带烤盘启停结构的烧烤炉
KR101140260B1 (ko) 열기 유도형 주방용기
KR100626309B1 (ko) 그릴
JP7320424B2 (ja) 加熱調理器
JPS60256729A (ja) 複合レンジ
AP470A (en) Oven with electrical heating element.
CN220061844U (zh) 一种新型炉灶
KR102416459B1 (ko) 다기능 화덕그릴 오븐
KR200377057Y1 (ko) 조리용 가스랜지의 폐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CN216876062U (zh) 一种炉头可翻转的烧烤炉装置
KR200197438Y1 (ko) 조리기구
KR101917522B1 (ko) 이동식 맥반석 그릴
KR20100072142A (ko) 전열로 취반시스템의 전기 히터 전원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전열로 취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