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684Y1 -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 - Google Patents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684Y1
KR200177684Y1 KR2019990024370U KR19990024370U KR200177684Y1 KR 200177684 Y1 KR200177684 Y1 KR 200177684Y1 KR 2019990024370 U KR2019990024370 U KR 2019990024370U KR 19990024370 U KR19990024370 U KR 19990024370U KR 200177684 Y1 KR200177684 Y1 KR 200177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support
long groove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기
Original Assignee
김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기 filed Critical 김창기
Priority to KR2019990024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6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6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레일을 받치는 지주의 형상이 수평위치에서 비대칭형상으로 만들어진 경우 시공할 때 지주의 정렬이 보다 간편하게 될 수 있도록 한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30)와, 이 지주(3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핸드레일(40)로 구성된 난간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4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장홈(42)을 형성하고, 지주(30)의 상단부에 용접되고 상기 핸드레일(40)에 형성된 장홈(42)에 끼워져 고정되는 브래킷(50)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Location structure of supporter for guardrail}
본 고안은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레일을 받치는 지주의 형상이 수평위치에서 비대칭형상으로 만들어진 경우 시공할 때 지주의 정렬이 보다 간편하게 될 수 있도록 한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난간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층계, 다리, 마루 등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10)와, 이 지주(1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사람의 손으로 잡기에 적당한 높이에 설치되는 핸드레일(12)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난간은 지주(10)가 수평위치에서 비대칭의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시공할 때 이 지주(10)의 위치가 일정하게 되도록 조정하면서 시공하여야 되는데,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비숙련자가 시공하는 경우 지주(10)의 위치가 뒤틀리면서 시공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난간 지주가 수평위치에서 비대칭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경우 시공할 때 지주를 일정한 형태로 정렬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는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와, 이 지주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핸드레일로 구성된 난간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장홈을 형성하고, 지주의 상단부에 용접되고 상기 핸드레일에 형성된 장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브래킷을 구비하여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가 제공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난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30 : 지주 40 : 핸드레일
42 : 장홈 50 : 브래킷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30)와, 이 지주(3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핸드레일(40)로 구성된 난간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4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장홈(42)을 형성하고, 지주(30)의 상단부에 용접되고 상기 핸드레일(40)에 형성된 장홈(42)에 끼워져 고정되는 브래킷(50)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핸드레일(40)에 형성되는 장홈(42)은 예컨대, 역(逆) '凹'자 모양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브래킷(50)은 밴드형태의 강판을 절곡하여 중앙에는 지주(30)가 용접되는 용접부(52)를 형성하고, 그 양측에는 볼트(70)(72)에 의해 상기 장홈(4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플랜지부(53a)(53b)를 형성하며, 용접부(52)와 플랜지부(53a)(53b)의 사이에는 'V'자 모양의 절곡부(54a)(54b)를 형성하여 이 절곡부(54a)(54b)가 상기 장홈(42)의 내측벽면에 밀착되면서 측면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막아주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53a)(53b)에는 드릴의 센터를 보다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체결공(55a)(55b)을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브래킷(50)의 폭은 상기 장홈(42)의 폭보다 다소 작은 폭으로 하여 브래킷(50)을 장착할 때 옆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핸드레일과 같이 지주(30)의 상단부에 브래킷(50)이 일정한 형태로 용접된 상태에서 브래킷(50)에 형성된 플랜지부(53a)(53b)를 핸드레일(40)의 하부에 형성된 장홈(42)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 플랜지부(53a)(53b)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55a)(55b)을 통해 전동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핸드레일(40)에 구멍(90)을 가공한 다음 볼트(70)(72)로 체결하게 되면, 지주(30)가 브래킷(50)에 이미 용접되어 있는 상태로 있기 때문에 지주(30)가 핸드레일(40)에 일정한 형태로 고정된다.
즉, 지주(30)가 수평위치으로 비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브래킷(50)에 의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핸드레일과 같은 본 고안은 수평위치으로 비대칭의 형상으로 된 지주를 계단이나 다리 등에 설치할 때 핸드레일에 형성된 장홈과 브래킷에 의해 지주를 일정한 형태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건축물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지는 지주(30)와, 이 지주(3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핸드레일(40)로 구성된 난간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40)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장홈(42)을 형성하고, 지주(30)의 상단부에 용접되고 상기 핸드레일(40)에 형성된 장홈(42)에 끼워져 고정되는 브래킷(50)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
KR2019990024370U 1999-11-09 1999-11-09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 KR200177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370U KR200177684Y1 (ko) 1999-11-09 1999-11-09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370U KR200177684Y1 (ko) 1999-11-09 1999-11-09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684Y1 true KR200177684Y1 (ko) 2000-04-15

Family

ID=1959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370U KR200177684Y1 (ko) 1999-11-09 1999-11-09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6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293B1 (ko) * 2015-07-15 2017-07-10 김현구 핸드레일 난간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293B1 (ko) * 2015-07-15 2017-07-10 김현구 핸드레일 난간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157A (ko) 해체 가능한 전면 비계
KR102157134B1 (ko) 조립식 난간구조물
KR200393014Y1 (ko) 핸드레일용 계단 난간 구조물
KR200177684Y1 (ko) 난간 지주의 위치결정구조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JP3737888B2 (ja) 防護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20110006315A (ko) 각도조절가능한 교량 점검 통로용 포스트 및 이를 이용한 교량점검통로
JP2951900B2 (ja) 床支持構造
KR102246719B1 (ko) 난간 연결구조
JPH0740010Y2 (ja) 建築用外装パネルの取付装置
JP2511211Y2 (ja) 枠組足場の妻面用手摺枠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JPH0415881Y2 (ko)
JPH0637124Y2 (ja) 廊下構造
JPH1162215A (ja) 仮設足場用手摺わく
JPH10299204A (ja) 階 段
JPH0810628Y2 (ja) 建築現場用開口部包囲組立体
JPH052738Y2 (ko)
JP2000027135A (ja) 防護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960004051B1 (ko) 건물의 신축 및 철거용 조립식 패널구조물
JP2001011826A (ja) 土止め用パネルに装着されるフェンス
KR200176715Y1 (ko) 건축용 거푸집의 조립구조
JP2004150161A (ja) 足場用圧縮部材および足場の連結構造並びに連結方法
KR200166982Y1 (ko) 지중구조물 조립용 바닥판
JP4116471B2 (ja) 建物付設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