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408Y1 -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408Y1
KR200177408Y1 KR2019970036756U KR19970036756U KR200177408Y1 KR 200177408 Y1 KR200177408 Y1 KR 200177408Y1 KR 2019970036756 U KR2019970036756 U KR 2019970036756U KR 19970036756 U KR19970036756 U KR 19970036756U KR 200177408 Y1 KR200177408 Y1 KR 200177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ear gate
locking device
groov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302U (ko
Inventor
홍춘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6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40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3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의 후방에 구비된 리어게이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어게이트(10)의 측면에는 러버범퍼(20)가 개재된 상태에서 플랜지에 걸림홈(31)이 형성된 스토퍼(30)가 설치되고, 이 리어게이트(10)의 하부에 구비된 차체필러(40)에는 내주면을 따라 수용홈(51)이 관통형성된 걸림기구(50)가 힌지결합되며, 이 걸림기구(50)의 수용홈에는 압축스프링(61)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착되면서 일측에 걸림홈(31)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걸림돌기(62)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작레버(63)가 구비된 록킹장치(60)가 힌지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의 주행중 잠금장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에 작업자의 손이 끼어 발생되는 부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A device for locking a rear gate of a cargo truck)
본 고안은 화물자동차의 후방에 구비된 리어게이트를 잠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식의 작동으로 걸리게 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자동차나 덤프트럭 등의 상부에는 적재함이 구비되어 있고, 이 적재함의 양측부에는 사이드게이트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리어게이트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리어게이트는 화물을 적재하고 그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차량의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높이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어게이트에는 측부에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적재함의 내부에 화물 등을 싣고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잠금장치를 잠그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종래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는 도1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게이트(100)의 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공(111)이 형성된 걸림장치(110)가 장착되고, 이 리어게이트(110)의 하부필러(120)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축회전가능하게 리어포스트(130)가 힌지결합되며, 이 리어포스트(130)의 내주면에는 탄성스프링(141)을 매개로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걸림고리(140)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포스트(130)를 상방향으로 축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고리(140)를 상부방향으로 당기고, 또한 상기 걸림장치의 관통공(111)에 삽입시키게 되면, 리어게이트(100)가 잠궈지게 됨과 동시에 일정한 높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리어게이트 잠금장치는 상기 걸림고리(140)를 상기 관통공(111)에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차량이 주행하는 도중에 관통공(111)과 걸림고리(140)의 마찰 또는 충돌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리어게이트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고리(140)를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잡아 당겨 상기 관통공(111)에 삽입시키거나 빼내게 되므로, 상기 걸림고리(140)와 관통공(111)의 사이에서 작업자의 손이 씹히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재함에 적재물의 승. 하차 작업을 완료한 후에 원 터치(ONE TOUCH)식의 작동으로 걸리게 하거나 해제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리어게이트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된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리어게이트의 측면에는 러버범퍼가 개재된 상태에서 플랜지에 걸림홈이 형성된 스토퍼가 설치되고, 이 리어게이트의 하부에 구비된 차체필러에는 내주면을 따라 수용홈이 관통형성된 걸림기구가 힌지결합되며, 이 걸림기구의 수용홈에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착되면서 일측에 걸림홈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걸림돌기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작레버가 구비된 록킹장치가 힌지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리어게이트 잠금장치를 장착하여,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적재물의 승. 하차 작업이 완료된 후에 록킹장치를 가볍게 밀어 걸리게 하거나 또한 손잡이를 작동시켜 잠금장치를 해제시키게 되므로써, 신속하게 리어게이트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되고 주행중 잠금장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에 작업자의 손이 끼어 발생되는 부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리어게이트 20 : 러버범퍼
30 : 스토퍼 31 : 걸림홈
40 : 차체필러 50 : 걸림기구
51 : 수용홈 60 : 록킹장치
61 : 압축스프링 62 : 걸림돌기
63 : 조작레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를 도시한 확대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게이트(10)의 측면에는 러버범퍼(20)가 개재된 상태에서 플랜지에 걸림홈(31)이 형성된 스토퍼(30)가 설치되고, 이 리어게이트(10)의 하부에 구비된 차체필러(40)에는 내주면을 따라 수용홈(51)이 관통형성된 걸림기구(50)가 힌지결합되며, 이 걸림기구(50)의 수용홈에는 압축스프링(61)에 의해 일방향으로 밀착되면서 일측에 걸림홈(31)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걸림돌기(62)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작레버(63)가 구비된 록킹장치(60)가 힌지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리어게이트(10)의 양측부에는 상부측방향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러버범퍼(20)가 개재된 상태에서 대략 ⊂자 형상의 스토퍼(30)가 장착되며, 이 스토퍼(30)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30)의 하부플랜지에는 걸림홈(31)이 관통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게이트(20)가 설치되는 차체필러(40)에는 힌지축을 매개로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대략 ⊂자형상의 걸림기구(50)가 장착되며, 이 걸림기구(50)의 몸체에는 중간쯤에 일정크기의 수용홈(51)이 관통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51)의 내주면에는 힌지축을 매개로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록킹장치(60)가 장착되어 있으되, 이 록킹장치(60)의 일측에는 걸림홈(31)의 하측방향으로 부터 걸릴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턱이 형성된 걸림돌기(62)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측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작레버(6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록킹장치(60)의 힌지축에는 록킹장치의 몸체를 하측방향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압축스프링(61)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리어게이트(10)를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조작레버(63)를 손으로 잡고 가볍게 상향시키게 되면, 이 조작레버의 걸림돌기(62)가 하부측으로 회동하면서 스트퍼(30)의 걸림홈(31)으로부터 이탈되면서, 리어게이트(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어게이트(10)를 잠금하는 경우에, 상기 걸림기구(50)를 스토퍼(30)에 대고 가볍게 밀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62)가 스토퍼(30)의 경사면과 접촉하게 되며, 이때 리어게이트(10)에 약간의 힘을 가하게 되면 걸림돌기(62)가 스토퍼의 걸림홈(31)을 타고 천천히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안착되므로, 상기 리어게이트(10)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62)는 걸림홈(31)에 안착된 상태에서 압축스프링(61)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밀착되므로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기구(50)의 내주면이 리어범퍼(20)에 밀착되므로, 이 리어벌퍼(20)가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에 의하면, 화물자동차의 적재함에 적재물의 승. 하차 작업이 완료된 후에 걸림기구를 스토퍼에 가볍게 밀어 걸리게 하거나 또한 조작레버를 작동시켜 잠금장치를 해제시키게 되므로써, 신속하게 리어게이트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되고 주행중 잠금장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에 작업자의 손이 끼어 발생되는 부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리어게이트(10)의 측면에는 러버범퍼(20)가 개재된 상태에서 하부플랜지를 따라 걸림홈(31)이 관통형성된 스토퍼(30)가 보울팅결합되고, 이 리어게이트(10)의 하부에 구비된 차체필러(40)에는 내주면을 따라 수용홈(51)이 형성된 걸림기구(50)가 힌지결합되며, 이 걸림기구(50)의 수용홈에는 압축스프링(61)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밀착되면서 일측에 걸림홈(31)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걸림돌기(62)가 형성됨과 동시에 타측에는 손으로 잡고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된 조작레버(63)가 구비된 록킹장치(60)가 힌지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KR2019970036756U 1997-12-12 1997-12-12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KR200177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756U KR200177408Y1 (ko) 1997-12-12 1997-12-12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756U KR200177408Y1 (ko) 1997-12-12 1997-12-12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302U KR19990024302U (ko) 1999-07-05
KR200177408Y1 true KR200177408Y1 (ko) 2000-04-15

Family

ID=1951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756U KR200177408Y1 (ko) 1997-12-12 1997-12-12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4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302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565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KR10032083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진동 방지 구조
US4256331A (en) Passive safety belt arrangement for vehicles
KR20180091463A (ko) 차량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US20060237973A1 (en) Momentary inertial latching device
KR100376439B1 (ko) 해치백 차량의 테일게이트 잠금장치
US3525687A (en) Hinge mechanism for positioning a vehicle deck lid
KR100887852B1 (ko) 도어 열림 방지장치
KR200177408Y1 (ko)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KR100535008B1 (ko) 이동구속장치를 갖춘 승합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KR1026343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일체형 도어 래치 어셈블리
KR100716819B1 (ko) 화물차의 사이드게이트 개폐장치
KR19990011126U (ko) 화물자동차의 리어게이트 잠금장치
JPS5934538Y2 (ja) 緊急時ロツク装置
KR101983664B1 (ko)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KR100392001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래치
KR0182898B1 (ko) 화물차의 사이드게이트 잠금장치
KR100364266B1 (ko) 화물차의 적재함 캐치 어셈블리
KR100613237B1 (ko)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JPS5911918A (ja) スライドドア型車のスライドドア開扉抑止装置
KR101964243B1 (ko) 차량의 측면 충돌에 의한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열림 방지 장치
SU1093598A1 (ru) Дополнительное управл емое ст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блокировки откидывающихс кабин водителей груз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KR100428392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유동 방지구조
JP2971452B1 (ja) 貨物自動車のステップ装置
KR200170600Y1 (ko) 사이드게이트의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