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351Y1 - 로크 조립체 구조 - Google Patents

로크 조립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351Y1
KR200176351Y1 KR2019970040846U KR19970040846U KR200176351Y1 KR 200176351 Y1 KR200176351 Y1 KR 200176351Y1 KR 2019970040846 U KR2019970040846 U KR 2019970040846U KR 19970040846 U KR19970040846 U KR 19970040846U KR 200176351 Y1 KR200176351 Y1 KR 200176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assembly
locking groove
safety lever
flap door
stri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221U (ko
Inventor
조영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0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35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2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2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luggage compartments at the side of the vehicle, e.g. of buses or camper v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4Luggage compartment lids for buses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시 이용되는 로크에 관한 것으로, 플랩도어를 닫을 때 스트라이커와 로크 조립체와의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로크 조립체 하우징의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을 이루는 로크 조립체 하우징의 하면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부가 형성되며, 로크 조립체의 일측에 절곡부가 형성된 안전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레버의 절곡부는 걸림홈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안전레버의 일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안전레버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플랩도어의 스트라이커가 상기 걸림홈에 물릴 때 돌출부에 먼저 접하여 그 면에 가이드 되면서 걸림홈에 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조립체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크 조립체 구조
본 고안은 버스의 플랩도어 개폐시 이용되는 로크 조립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을 닫을 때 래치의 안전레버(70)를 밀어내고 스트라이커(80)의 걸림대가 걸림홈(55)에 삽입된 후 힘을 가하면 힌지(60)를 축으로 걸림홈부가 회전하여 스프링(65)의 복원력에 의하여 플랩도어가 닫히게 된다.
반대로 플랩도어를 열때는 안전레버(70)가 있어 문이 완전히 열리지 않는다. 그렇다고 안전레버(70)를 없애면 운행중에 플랩도어가 열릴위험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로크 조립체(40) 구조는 플랩도어를 열고 닫을 때 그 하중을 로크 조립체 하우징(75)이 모두 흡수하지 못하고, 로크 조립체(40) 전체가 그 충격을 받는다.
그래서 로크 조립체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고 래크 조립체(80) 장착 부위에 충격이 가해진다.
그리고 스트라이커(85)와 래크 조립체(80)가 물리는 공간이 너무 넓어 플랩도어를 열고 닫을때 단차조절을 해주지 못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로크 조립체의 구조롤 개선하여 플랩도어의 하중에도 버티고 충격을 흡수하며 내구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로크 조립체 하우징의 일측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을 이루는 로크 조립체 하우징의 하면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부가 형성되며, 로크 조립체의 일측에 절곡부가 형성된 안전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레버의 절곡부는 걸림홈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안전레버의 일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안전레버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플랩도어의 스트라이커가 상기 걸림홈에 물릴 때 돌출부에 먼저 접하여 그 면에 가이드 되면서 걸림홈에 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조립체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로크 조립체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스트라이크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로크조립체에 스트라이커가 물리는 구조
도 4는 본 고안의 로크조립체에 스트라이커가 물리는 구조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로크조립체 하우징 14 : 걸림홈
16 : 돌출부 18 : 안전레버
20 : 스트라이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스트라이커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로크조립체에 스트라이커가 물리는 구조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조립체 하우징(12)이 측면 패널의 일측에 설치되고, 이 로크 조립체 하우징(12)의 하부에는 걸림홈(14)이 형성되고, 이 걸림홈(14)을 이루는 하면의 로크 조립체 하우징(12)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부(16)가 형성된다.
로크조립체 하우징(12)의 일측에는 힌지를 설치하고, 이 힌지를 축으로 하여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전후 유동가능한 안전레버(18)가 설치된다. 이 안전레버(18)의 일단은 절곡되어 걸림홈(14)의 전면에 위치된다.
걸림홈(14)의 일단에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라이커(20)가 걸림홈(14)부에 물린후 누르면 걸림홈(14)부가 회전하여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플랩도어가 닫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용은 플랩도어를 닫으면 플랩도어의 일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20)가 로크 조립체로 이동하게 된다.
스트라이크의 일단이 로크 조립체 하우징(12)의 돌출부(16)에 먼저 접하여 이 돌출부(16)면에 스트라이크(20)가 가이드 되면서 안전레버(18)의 절곡부를 밀어내게 된다.
이 안전레버(18)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상향되면서 그 사이로 스트라이커(20)가 걸림홈(14)에 물리게 된다.
걸림홈(14)에 물린 후 플랩도어를 누르게 되면 걸림홈(14)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로크 조립체 하우징(12)의 일측에 형성된 압축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플랩도어가 닫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효과는 로크 조립체 하우징 부위가 가이드 역할을 하며 플랩도어의 단차를 유지시켜준다.
플래도어를 열고 닫을시 스트라이커가 먼저 로크 조립체 하우징에 접하여 일정거리 가이드 된 후 맞물리기 때문에 로크 조립체에 충격력 인가가 감소되어 로크 조립체의 내구성이 증가된다.
상기의 내구력 향상으로 주변 메카니즘의 수명이 연장된다.
플랩도어의 대형화에 따른 자체 무게의 하중을 스트라이커와 맞물려 있는 로크 조립체 하우징의 돌출부가 지지해 주어 처짐을 방지한다.

Claims (1)

  1. 로크 조립체 하우징(12)의 일측에 걸림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4)을 이루는 로크 조립체 하우징(12)의 하면이 외측으로 길게 돌출부(16)가 형성되며, 로크 조립체 하우징(12)의 일측에 절곡부가 형성된 안전레버(18)를 설치하고, 상기 안전레버(18)의 절곡부는 걸림홈(14)의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안전레버(18)의 일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안전레버가 상하로 유동가능하게 형성되어 플랩도어의 스트라이커가 상기 걸림홈(14)에 물릴 때 돌출부(16)에 먼저 접하여 그 면에 가이드 되면서 걸림홈(14)에 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 조립체 구조.
KR2019970040846U 1997-12-26 1997-12-26 로크 조립체 구조 KR200176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46U KR200176351Y1 (ko) 1997-12-26 1997-12-26 로크 조립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846U KR200176351Y1 (ko) 1997-12-26 1997-12-26 로크 조립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21U KR19990028221U (ko) 1999-07-15
KR200176351Y1 true KR200176351Y1 (ko) 2000-04-15

Family

ID=1951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846U KR200176351Y1 (ko) 1997-12-26 1997-12-26 로크 조립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3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095B1 (ko) * 2009-05-21 2012-01-04 주식회사 리한도어 자동차용 후드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221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630B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with split housing
JP2008163704A (ja) 引戸の閉鎖緩衝装置
KR200176351Y1 (ko) 로크 조립체 구조
KR100663944B1 (ko) 미닫이식 창호의 업다운 메카니즘
CN113833369B (zh) 车辆用门把手装置
CN211923875U (zh) 用于车辆的门锁组件及具有其的车辆
KR100251970B1 (ko) 버스 정비용 플랩도어 래치구조
KR100456872B1 (ko) 퓨얼필러도어의 결합구조
KR10087967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가능한 작동 글래스 설치 구조
KR0112404Y1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 완충용 스토퍼
KR100250705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구조
KR100789225B1 (ko) 도어록용 래치볼트
KR0119442Y1 (ko) 씽크대문용 힌지의 판스프링
KR0138797Y1 (ko) 버스 엔진정비용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KR100216814B1 (ko) 자동차 도어의 첵커 구조
KR0126198Y1 (ko) 마이크로버스의 스윙도어용 센터링크
US20010020790A1 (en) Latch mechanism
KR200148201Y1 (ko) 대문 열림방지용 로킹장치
KR0134157Y1 (ko) 브이씨알의 도어 개폐장치
KR970006042Y1 (ko) 버스용 플랩도어의 록킹장치
KR100276106B1 (ko) 자동차 도어래치 내장형 도어 열림경고등 스위치
KR20010048220A (ko) 연료 주입구 도어 힌지장치
KR100552185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힌지 장치
KR100588675B1 (ko) 차량의 작동력 증대구조를 갖는 도어체커 설치구조
JPH10315770A (ja) スライドドア移動制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