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261Y1 -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261Y1
KR200176261Y1 KR2019970042544U KR19970042544U KR200176261Y1 KR 200176261 Y1 KR200176261 Y1 KR 200176261Y1 KR 2019970042544 U KR2019970042544 U KR 2019970042544U KR 19970042544 U KR19970042544 U KR 19970042544U KR 200176261 Y1 KR200176261 Y1 KR 200176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clamp structure
tra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876U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2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29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2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탈장착성을 용이하게하여 조립 및 정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는 차체 일측에 마운팅되어 배터리(1)가 안착되는 트레이(10)와, 상기 트레이(10)의 양측에 힌지설치되어 일측으로 회동하며 상측으로 개구된 소정 깊이의 설치홈(25)을 구비하고 이 설치홈(25)에 수직하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21)이 천공된 양 지지체(20)와, 상기 양 지지체(20)의 설치홈(25)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며 관통공(21)에 일치하는 통공(32)이 천공된 슬라이드부(31)를 구비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배터리(1)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상지지체(30)와, 상기 양 지지체(20)와 상지지체(30)의 관통공(21)과 통공(32)에 삽입관통되어 소정의 고정력을 발휘하는 고정핀(4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트레이로부터 별도로 분리되는 부품을 줄일 수 있어 정비 및 조립시 부품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수작업으로 배터리의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므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탈장착성을 용이하게하여 조립 및 정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시동 및 조명장치를 포함한 각종 전장품의 전원으로 배터리가 사용되며, 이러한 배터리는 가솔린엔진에서는 12볼트, 대형 디젤엔진에서는 24볼트의 납축전지가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는 양,음극단자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운데 부분에는 등간격으로 배터리액을 보충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차량 엔진룸의 일측에 안착시킨후 양,음극단자를 케이블에 연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클램프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0)를 엔진룸의 일측에 위치 고정시키는 클램프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구조는 배터리(100)의 하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차체에 마운팅된 트레이(200)와, 상기 트레이(200)의 양측 소정위치에 형성된 걸림홀(201)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며, 종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후크부재(210)와, 상기 후크부재(210)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부(211)가 관통하는 관통공(221)을 형성하고 배터리(100)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상지지체(220)와, 상기 상지지체(220)의 관통공(221)을 관통한 후크부재(210)의 나사부(211)에 나사체결을 이루어 소정의 고정력을 발휘하는 너트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배터리(100) 클램프구조는 배터리(100)를 트레이(200)에 안착시킨 후, 상기 트레이(20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홀(201)에 후크부재(210)의 하단이 걸리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후크부재(210)를 종방향으로 세워지도록하여 배터리(100)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한 뒤 선단측에 형성된 나사부(211)가 지지체의 관통공(221)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의 상측으로 돌출된 후크부재(210)의 나사부(211)에 너트부재(230)를 체결시키므로서 배터리(100)의 위치고정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100) 클램프구조는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공수의 증가로 인한 작업성 불량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의 탈장착성을 용이하게하여 조립 및 정비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는 차체 일측에 마운팅되어 배터리가 안착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힌지설치되어 일측으로 회동하며 상측으로 개구된 소정 깊이의 설치홈을 구비하고 이 설치홈에 수직하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천공된 양 지지체와 상기 양 지지체의 설치홈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며 관통공에 일치하는 통공이 천공된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배터리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상지지체와, 상기 양 지지체와 상지지체의 관통공과 통공에 삽입관통되어 소정의 고정력을 발휘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클램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클램프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10 : 트레이
11 : 걸림턱 20 : 지지체
21 : 관통공 22 : 스톱퍼
25 : 설치홈 30 : 상지지체
31 : 슬라이드부 32 :통공
40 : 고정핀 50 : 고정끈
60 : 힌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클램프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설치된 각종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1)를 엔진룸의 일측 차체에 위치고정시키는 클램프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클램프구조는 트레이(10)와 양 지지체(20)와 상지지체(30)와 고정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이(10)는 배터리(1)의 하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성형되며, 엔진룸의 일측에 마운팅된다.
그리고 상기 양 지지체(20)는 트레이(10)의 양측에 힌지(60)고정되어 일측으로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며, 상측으로 개구된 소정깊이의 설치홈(2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양 지지체(20)는 설치홈(25)에 수직하는 횡방향으로 소정의 내경을 갖는 다수의 관통공(21)이 천공된다.
이러한, 양 지지체(20)는 트레이(1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11)에 접촉되는 스톱퍼(22)를 구비하여 트레이(10)로부터 종방향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회동량이 제한된다.
상기의 상지지체(30)는 "ㄷ"자형으로 절곡성형되어 배터리(1)의 상측면에 접촉하며, 양 지지체(20)의 설치홈(25)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부(31)를 구비하여 상하 소정높이 승하강을 이루고, 이 슬라이드부(31)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통공(32)이 천공된다.
여기서 상기 상지지체(30)의 통공(32)과 양 지지체(20)의 관통공(21)은 상호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다.
그리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핀(40)은 일측으로 상지지체(30) 또는 양 지지체(20)에 고정끈(50)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관통공(21)과 통공(32)에 삽입관통하여 소정의 고정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배터리(1)를 위치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배터리(1)를 트레이(10)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트레이(10)의 양측에 힌지(60)고정된 양 지지체(20)를 트레이(10)의 상측으로 즉, 수직하는 종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이 양 지지체(20)의 설치홈(25)에 삽입된 상지지체(30)를 상방향으로 소정높이 인출시켜 원활한 회동을 이루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양 지지체(20)의 스톱퍼(22)는 트레이(10)의 걸림턱(11)에 접촉되므로 트레이(10)에 수직하는 종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이때 상기 상지지체(30)의 슬라이드부(31)가 양 지지체(20)의 설치홈(25)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도록하여 상지지체(30)가 배터리(1)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양 지지체(20)의 설치홈(25)과, 이 설치홈(25)에 삽입된 상지지체(30)의 슬라이드부(31)에 형성된 관통공(21)과 통공(32)이 상호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뒤 고정핀(40)을 삽입하여 배터리(1)의 위치고정을 완료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1)를 트레이(10)에서 분리시키기는 경우에는 전술한 조립순서의 역순으로하여 분리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는 배터리가 안착되는 트레이로부터 별도로 분리되는 부품을 줄일 수 있어 정비 및 조립시 부품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수작업으로 배터리의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므로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차체 일측에 마운팅되어 배터리(1)가 안착되는 트레이(10)와;
    상기 트레이(10)의 양측에 힌지(60) 고정되어 일측으로 회동하며 상측으로 개구된 소정 깊이의 설치홈(25)을 구비하고 이 설치홈(25)에 수직하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21)이 천공된 양 지지체(20)와;
    상기 양 지지체(20)의 설치홈(25)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하며 관통공(21)에 일치하는 통공(32)이 천공된 슬라이드부(31)를 구비하고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배터리(1)의 상측면에 접촉하는 상지지체(30)와;
    상기 양 지지체(20)와 상지지체(30)의 관통공(21)과 통공(32)에 삽입관통되어 소정의 고정력을 발휘하는 고정핀(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4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고정끈(50)에 의해 상지지체(30) 또는 양 지지체(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지지체(20)는 트레이(10)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걸림턱(11)에 접촉되는 스톱퍼(22)를 구비하여 트레이(10)로부터 종방향으로 수직하게 위치되도록 회동량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KR2019970042544U 1997-12-29 1997-12-29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KR200176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544U KR200176261Y1 (ko) 1997-12-29 1997-12-29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544U KR200176261Y1 (ko) 1997-12-29 1997-12-29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76U KR19990029876U (ko) 1999-07-26
KR200176261Y1 true KR200176261Y1 (ko) 2000-05-01

Family

ID=1951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544U KR200176261Y1 (ko) 1997-12-29 1997-12-29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2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343A (ko) * 2004-02-09 2005-08-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20160031548A (ko) * 2013-08-12 2016-03-22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배터리-유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624B1 (ko) * 2006-01-06 2007-01-30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Ecu 유닛과 와이어링 유닛의 연결 및 록킹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0343A (ko) * 2004-02-09 2005-08-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20160031548A (ko) * 2013-08-12 2016-03-22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배터리-유지 장치
KR101881425B1 (ko) * 2013-08-12 2018-07-24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배터리-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76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1151A (en) Fixture supporting clip
US4791541A (en) Protective cage for a lamp
KR200176261Y1 (ko) 차량의 배터리 클램프구조
JPH04138608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用連結部材
KR20080005285U (ko) 클램프를 갖는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
US6190200B1 (en) Lamp holder base and attachment method
US3018363A (en) Lighting fixture
CN205488900U (zh) 一种汇流排
JP2590027Y2 (ja) 間仕切りの物品取付具
CN208282039U (zh) 一种方向可调的快速连接件
CN219756221U (zh) 一种吸顶轨道通用一体化的轨道灯连接盒及轨道灯
CN212057154U (zh) 一种可变造型的led灯丝支架
JPS5918704Y2 (ja) 壁掛型電気機器におけるケ−ス構造
KR200273110Y1 (ko) 커넥터 고정용 클립
JPS5918715Y2 (ja) コネクタ−の取付装置
JPS5829536Y2 (ja) 昇降照明装置
JPS6026653Y2 (ja) 照明装置付き机
JPH0526643Y2 (ko)
JPS60172101A (ja) 螢光灯用電子始動装置
KR200271484Y1 (ko) 단자캡 및 이를 이용한 단자블록
KR0118200Y1 (ko) 차량용 오버 핸드 콘솔 램프
JP3037347U (ja) カーテンレール用ブラケット
JPH021893Y2 (ko)
JP3141338U (ja) 照明器具用配電具
KR910002558Y1 (ko) 전자렌지의 파워 코오드 고정용 부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