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235Y1 -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 Google Patents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235Y1
KR200176235Y1 KR2019960065479U KR19960065479U KR200176235Y1 KR 200176235 Y1 KR200176235 Y1 KR 200176235Y1 KR 2019960065479 U KR2019960065479 U KR 2019960065479U KR 19960065479 U KR19960065479 U KR 19960065479U KR 200176235 Y1 KR200176235 Y1 KR 2001762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mounting groove
wire frame
retainer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5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300U (ko
Inventor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5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235Y1/ko
Publication of KR19980052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3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2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Additional support bracket releasably holding the sun vi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선바이저 리테이너에 탈장착되는 장착홈이 일정부위에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은, 상기 장착홈에서 절단된 와이어 프레임과; 상기 장착홈의 양측면에서 대칭하여 힌지로 연결된 한쌍의 탄성돌기와;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장착홈의 단부에 형성된 턱부와 상기 와이어 프레임사이에 탄성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상기 턱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안착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간단한 구조의 탄성돌기를 부착하므로써 선바이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리테이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선바이저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본 고안의 차량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간단한 구조로 선바이저의 탈착이 용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선바이저의 상품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 바이저는 일광의 직사를 차단하여 탑승자에게 보다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차일판(遮日板) 또는 차양판(遮陽板)으로서 언급된다.
이러한 선 바이저는 축에 의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며, 선바이저의 내면에는 미러가 부착된다. 선바이저는 차폭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방으로 부터의 직사를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수직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측면으로 부터의 직사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제1도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바이저의 사시도를 나타내며, 선바이저(10)는 커버 플레이트(12)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내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와이어 프레임(16)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선바이저(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헤드 라이닝에 탈장착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 라이닝에 장착된 리테이너에 결합되는데,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일정부위에 형성된 장착홈(14)을 지나는 상기 와이어 프레임(16)과 탈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다른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은, 선바이저가 리테이너에서 탈거되어 사용할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사용후 상기 선바이저를 상기 리테이너에 장착 시킬 경우에는 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어려움이 발생하며, 억지로 압입할 경우에는 리테이너가 파손된다. 또한 차량 주행시에는 안전운행에 지장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탄성돌기를 부착하여 선바이저의 탈장착이 용이한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바이저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선바이저 12, 32 : 커버 플레이트
14, 34 : 장착홈 16, 36 : 와이어 프레임
38 : 탄성 돌기 40 : 힌지
42 : 턱부 44 : 텐션 스프링
본 고안에 의해 상기 목적은 쉽게 달성되며, 본 고안에 따라, 선바이저 리테이너에 탈장착되는 장착홈이 일정부위에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은, 상기 장착홈에서 절단된 와이어 프레임과, 상기 장착홈의 양측면에서 대칭하여 힌지로 연결된 한쌍의 탄성돌기와,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장착홈의 단부에 형성된 턱부와 상기 와이어 프레임사이에 탄성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상기 턱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안착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의 요부 단면도를 도시하고,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30)는 블라인더인 커버 플레이트(32), 탄성 돌기(38), 텐션 스프링(44), 와이어 프레임(36)등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32)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내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상기 와이어 프레임(36)이 장착되는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헤드 라이닝에 장착되는 리테이너가 걸리도록 형성된 상기 커버 플레이트(32)의 장착홈(34)에서 절단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돌기(38)는 상기 장착홈(34)의 양측면에서 대칭하여 힌지(40)로 연결된 한쌍으로 구성되는데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한 리테이너의 직경보다 작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텐션 스프링(44)은 상기 탄성돌기(38)가 상기 장착홈(34)의 단부에 형성된 턱부(42)와 상기 와이어 프레임(36)사이에 탄성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40)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상기 턱부(4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 프레임(36)에 안착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간단한 구조의 탄성돌기를 부착하므로써 선바이저의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리테이너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선바이저의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으로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선 바이저 리테이너에 탈장착되는 장착홈이 일정부위에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서 절단된 와이어 프레임과, 상기 장착홈의 양측면에서 대층하여 힌지로 연결된 한쌍의 탄성돌기와,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장착홈의 단부에 형성된 턱부와 상기 와이어 프레임사이에 탄성적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상기 턱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 프레임에 안착되는 텐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KR2019960065479U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KR200176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479U KR200176235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5479U KR200176235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300U KR19980052300U (ko) 1998-10-07
KR200176235Y1 true KR200176235Y1 (ko) 2000-05-01

Family

ID=19487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5479U KR200176235Y1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2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300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16786A (ja) 自動車用外部ミラー
US4940273A (en) Auxiliary visor
KR200176235Y1 (ko) 차량용 선바이저 탈장착 구조물
KR19980052324U (ko) 차량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KR200146774Y1 (ko) 선바이저 리테이너
KR200146827Y1 (ko) 선바이저 리테이너
KR200241879Y1 (ko) 차량용 햇빛 눈부심방지장치
KR0134005Y1 (ko) 죄임력 조절 너트
GB2272873A (en) A sunshade
KR200314991Y1 (ko) 헬멧용 실드어셈블리
KR19990021493U (ko) 차량용 선바이저 피벗 구조물
KR970004477Y1 (ko) 자동차용 실내경
KR0138347Y1 (ko) 자동차에 설치되는 차광막 고정편
KR0119197Y1 (ko) 차량용 선바이저 장착 구조
KR0127086Y1 (ko) 차량용 차양판
JPH0134573Y2 (ko)
KR200372829Y1 (ko) 차량용 선바이져
JP3055673U (ja) 自動車運転席遮光調整装置
KR860001948Y1 (ko) 자동차 후부 백밀러
KR0124994Y1 (ko) 자동차의 보조 선바이저
KR0112913Y1 (ko) 자동차용 룸미러의 취부구조
KR970004074Y1 (ko) 차량용 선 바이저 행거 부착구조
KR19980011968U (ko) 리어뷰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실드글래스
KR19980052014U (ko) 차량용 선 바이저
KR19990006592U (ko) 자동차 운전자용 팔햇볕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