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202Y1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 - Google Patents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6202Y1 KR200176202Y1 KR2019970032154U KR19970032154U KR200176202Y1 KR 200176202 Y1 KR200176202 Y1 KR 200176202Y1 KR 2019970032154 U KR2019970032154 U KR 2019970032154U KR 19970032154 U KR19970032154 U KR 19970032154U KR 200176202 Y1 KR200176202 Y1 KR 20017620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yback transformer
- coupling part
- mold case
- mold
- ope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04N3/185—Maintaining dc voltage co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줄여주므로써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연구, 개발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고 필요에 따라 쉽게 일부분을 교체해줄 수 있으며,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단부근에 단이 지게 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1몸체 및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하단부근에 단이 지게 형성되어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며 상,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본 고안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의 몰드 케이스(mold cas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저압보빈과 고압보빈을 수용하여 지지하여줄 뿐만 아니라 각종 부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에폭시 등이 채워지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는 CRT에 고압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 발생기로서 고압보빈, 저압보빈, 포커스 팩,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을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여주고 외부에 포커스 팩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몰드 케이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통상의 몰드 케이스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1에는 몰드 케이스(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몰드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빈 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빈 공간(12)에는 고압보빈과 저압보빈이 삽입된 상태에서 에폭시 등의 절연물질이 채워지게 된다. 또한, 이 몰드 케이스(10)의 외부면으로는 포커스 팩 등이 부착된다. 이러한 몰드 케이스(10)의 하면에는 코어가 삽입되는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몰드 케이스(10)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모델에 따라 그 크기와 형상이 한정되어 있어 모델변경시에는 몰드 케이스도 전체를 완전히 바꾸어 주어야 된다.
최적의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코일의 권선수를 조정하는 등의 이유로 다양한 크기의 저압보빈과 고압보빈을 이용하여 실험을 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몰드 케이스의 크기도 바뀌어야 된다. 하지만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몰드 케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저압보빈, 고압보빈의 크기가 바뀌면 그에 따라 몰드 케이스도 전체를 모두 바꾸어주어야 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금형도 여러개 제작해야 된다. 이에 따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연구, 개발에 따른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줄여주므로써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연구, 개발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고 필요에 따라 쉽게 일부분을 교체해줄 수 있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3은 도2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몰드 케이스 110 : 제1몸체
112, 122 : 빈 공간 114 : 관통공
116 : 제1결합부 120 : 제2몸체
124 : 제2결합부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단부근에 단이 지게 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1몸체 및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하단부근에 단이 지게 형성되어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며 상,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3은 도2 제1몸체와 제2몸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와 도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몰드 케이스(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몰드 케이스(100)는 제1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몸체(110)는 내부에 빈 공간(112)을 갖고 있다. 이 제1몸체(110)의 하면에는 코어가 삽입되는 관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몸체(110)의 상단부근에 단이 지게 제1결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몸체(110)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제1몸체(110) 위쪽으로 제2몸체(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몸체(120) 역시 내부에 빈 공간(122)을 갖고 있다. 이 제2몸체(122)의 하단부근에는 단이 지게 제2결합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결합부(124)는 제1몸체(110)의 제1결합부(116)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제1결합부(116)는 제2결합부(124)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제1결합부(116)와 제2결합부(124)는 서로 교체하여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2몸체(120)는 상, 하면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이 제2몸체(120)는 제1몸체(110)에 비해 그 구성이 비교적 복잡해 금형 제작에 있어 제1몸체(110)의 금형 제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렵고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즉,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저압보빈과 고압보빈을 내부에 삽입하여 에폭시를 주입하고 포커스 팩을 외부에 장착하여 필요한 각종 실험을 수행하면 된다.
즉, 도3에 도시된 제2몸체(120)를 1개 만들어 두고, 비교적 금형 제작이 쉬운 제1몸체(110)는 길이별로 여러 개를 만들어 둔 상태에서 실험에 필요한 제1몸체(110)를 제1결합부(116)와 제2결합부(124)를 이용해 서로 결합하여 실험용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조립에 이용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를 이용하면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연구, 개발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를 이용하면 쉽게 일부분을 교체할 수 있어 실험에 효율적이다.
Claims (1)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단부근에 단이 지게 형성된 제1결합부를 구비하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1몸체; 및 내부에 빈 공간을 갖고 하단부근에 단이 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며 상, 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제2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2154U KR200176202Y1 (ko) | 1997-11-14 | 1997-11-14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2154U KR200176202Y1 (ko) | 1997-11-14 | 1997-11-14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860U KR19990018860U (ko) | 1999-06-05 |
KR200176202Y1 true KR200176202Y1 (ko) | 2000-04-15 |
Family
ID=1951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2154U KR200176202Y1 (ko) | 1997-11-14 | 1997-11-14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6202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18079B2 (ja) * | 2004-03-11 | 2009-08-19 | ウシオ電機株式会社 | 高圧トランス |
-
1997
- 1997-11-14 KR KR2019970032154U patent/KR20017620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8860U (ko) | 1999-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76202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몰드 케이스 | |
JP2005286188A (ja) | トランス | |
JP2005286188A5 (ko) | ||
KR200176204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저압보빈 | |
RU2500050C2 (ru) | Электроизолирующий корпус | |
KR200176203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 |
US6294975B1 (en) | Transformer bobbin with hipot-protect structure | |
KR100415573B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블리더 저항 및 그 결합장치 | |
KR200222908Y1 (ko) |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일체형 보빈의 에이비엘 구조 | |
JP3219302B2 (ja) | トランスの製造方法 | |
KR100340419B1 (ko)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 |
KR100355923B1 (ko)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케이스 | |
KR100388018B1 (ko)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 | |
JPH04282087A (ja) | ソレノイドバルブ | |
KR200157274Y1 (ko) | 몰딩수지의 넘침 수납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보빈 | |
JP2000340436A (ja) | 点火トランス | |
KR200176186Y1 (ko) |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설치구조 | |
KR100355924B1 (ko) |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케이스 | |
JPH09330823A (ja) | 可変型高周波コイル | |
JPH10163050A (ja) |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 |
JPH0613124U (ja) | コイルボビン | |
KR19980010520U (ko) | 핀 지지대를 개선한 고압 보빈 | |
JPH08130135A (ja) | 高圧パルストランス装置 | |
KR200157273Y1 (ko) | 에폭시 몰딩시의 가스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체형 보빈 | |
KR200181710Y1 (ko) | 전자개폐기용 가동코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