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105Y1 - 도로 보수용 차량 - Google Patents

도로 보수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105Y1
KR200175105Y1 KR2019990022641U KR19990022641U KR200175105Y1 KR 200175105 Y1 KR200175105 Y1 KR 200175105Y1 KR 2019990022641 U KR2019990022641 U KR 2019990022641U KR 19990022641 U KR19990022641 U KR 19990022641U KR 200175105 Y1 KR200175105 Y1 KR 200175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hopper
stirring means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고속도로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고속도로관리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고속도로관리공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mounted on vehicles with provision for mixing during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9/00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 B28C9/04General arrangement or layout of plant the plant being mobile, e.g. mounted on a carriage or a set of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01C7/147Repairing concrete pavings, e.g. joining cracked road sections by dowels, applying a new concrete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보수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다수의 혼합재료를 분리공급하는 호퍼와, 그 호퍼의 하부에 컨베이어를 형성하며, 컨베이어의 단부에 1차 교반수단과, 2차교반 및 배출수단을 구비하며, 별도의 유압발생장치와 발전장치를 구비하여 이에 의해 본 고안 차량만으로도 도로의 절단 및 파쇄작업이 가능하고, 각종 공구의 사용이 용이하며 제거된 도로폐기물을 적재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므로 작업장 주변이 정리되며, 보수작업 후에는 각각의 호퍼로부터 재료를 공급받아 1차 교반장치 및 2차 교반장치를 거쳐 콘크리트 혼합물이 배출되게 하므로서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로 보수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보수용 차량{Vehicles for repairing the road}
본 고안은 도로 보수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적재함상에 다수의 호퍼와 이 호퍼에 의해 콘크리트를 혼합하는 교반수단 및 별도의 용접발전부와 유압발생부를 형성하여, 교량의 조인트부 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교량 상판의 포장보수 및 콘크리트 단면보수등 파손된 도로의 보수가 매우 용이한 도로 보수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손된 도로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파손된 도로를 절단하기 위한 컷터기와 절단된 도로를 파쇄하는 브레카, 임펙트 드릴, 바이브레이터등이 필수 작업기계로 동반되고 이를 운전키 위한 별도의 유압시스템과 발전설비를 함께 이동시켜야 그 작업이 가능하다.
전기한 바와 같은 작업공구에 의해 파손된 도로를 정비하고, 도로상판의 조인트부 철근골조를 새로이 추가하거나 정비한 후 그 상부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도로보수 작업은 그에 소요되는 작업장비가 각각 사용하는 전원 및 유압수단이 별개이므로 작업현장이 매우 혼잡하고 지저분하며, 특히 보수 작업후에는 콘크리트 혼합물을 부어 마감처리하여야 하므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수작업에 의해 혼합하여 이를 양생시키므로 작업속도가 매우 지연되고 작업공구 및 작업장비의 분실이 잦고 현장에서 사용하고 남은 콘크리트 혼합물의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작업차량 또한 공구 및 장비를 싣기 위한 차량과 현장 보수작업중에 발생하는 폐기물등을 싣고 운반하여야 하는 차량을 각각 별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각종 공구 및 장비는 차량의 이동중에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서로 부딪치며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다수의 혼합재료를 분리공급하는 호퍼와, 그 호퍼의 하부에 컨베이어를 형성하며, 컨베이어의 단부에 1차 교반수단과, 2차교반 및 배출수단을 구비하며, 별도의 유압발생장치와 발전장치를 구비하여 이에 의해 본 고안 차량만으로도 도로의 절단 및 파쇄작업이 가능하고, 각종 공구의 사용이 용이하며 제거된 도로폐기물을 적재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므로 작업장 주변이 정리되며, 보수작업 후에는 각각의 호퍼로부터 재료를 공급받아 1차 교반장치 및 2차 교반장치를 거쳐 콘크리트 혼합물이 배출되게 하므로서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도로 보수용 차량을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키위한 기술적수단으로는, 컨트롤러에 의해 개폐수단을 가진 호퍼와, 혼합재료를 이송키위한 컨베이어 장치와 투입된 혼합재료를 교반하기 위한 1차 교반장치 및 2차 교반장치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보수차량의 평면설명도
도 3은 본 고안 보수차량의 측면설명도
도 4는 본 고안 보수차량의 후면설명도
도 5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배출작용을 보인 개략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보수차량의 사용상태 및 작용상태를 보인 측면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량 2 : 용접발전기
3 : 유압발전기 4,4' : 호퍼
5 : 수거함 6 : 공구함
7 : 컨베이어 9 : 1차 교반수단
10 : 2차 교반수단 11 : 진행오거
12 : 혼합오거 13 : 교반날개
14 : 실린더 15 : 유입통로
16 : 배출구 17 : 배출통로
18 : 지연제탱크 19 : 물탱크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보수차량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보수차량의 평면설명도이다.
통상의 차량(1) 적재함상에 용접발전기(2)와 유압발전기(3)를 위치하고, 그 일측에 다수의 호퍼(4)(4')를 위치하되, 호퍼(4)(4')의 양측에는 수거함(5)과 공구함(6) 및 지연제탱크(18)와 물탱크(19)을 고정하고, 호퍼(4)(4')의 하부에는 컨베이어(7)를 형성하며, 컨베이어(7)의 단부에는 1차 교반수단(9) 및 회동가능한 2차 교반수단(10)을 각각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또, 전기한 1차 교반수단(9)은 진행오거(11)와 혼합오거(12)를 교차되게 하되, 혼합오거(12)의 중간부에는 진행오거(11)의 교반날개(13)가 위치되게 하며, 1차 교반수단(9)의 하부일측에는 배출통로(17)를 형성하여 되는 것이며,
2차 교반수단(10)의 내부에는 차량(1)과 실린더(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 정하고, 그 하부에는 유입통로(15)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배출구(16)를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보수차량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설명도로서, 차량(1)의 적재함 상부일측에 유압발전기(3) 및 물탱크(19), 공구함(6), 지연제 탱크(18)등이 위치하여 별도의 컨트롤러(도면에는 미도시함)에 의해 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수의 호퍼(4)(4')에는 각각 콘크리트 양산을 위한 자갈, 모래, 시멘트등을 충전하여 사용하며, 호퍼(4)(4')의 하부에 형성된 통상의 개폐문에 의해 그 내부의 혼합재료가 하부로 쏟아지게 하는 것이다.
하부로 쏟아진 혼합재료는 컨베이어(7)에 올려지며, 회전 이송하는 컨베이어(7)는 그 혼합재료들을 1차 교반수단(9)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때, 다수의 호퍼(4)(4')에 의해 배출되는 혼합재료는 통상의 제어수단에 의해 그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그 혼합재료에는 물탱크(19)에서 공급되는 물과 지연제탱크(18)에서 공급되는 양생지연제가 함께 혼합되어 있다.
여기서, 양생지연재는 콘크리트 혼합물이 타설된 상태에서 마무리 작업중 양생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략 타설후 20분 정도의 지연시간동안 마루리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콘크리트 혼합재료가 1차 교반수단(9)으로 켄버이어(7)에 의해 이동되어지면 1차 교반수단(9)의 내부에 형성된 혼합오거(12)의 교반날개(13)에 의해 혼합물이 양측으로 분리되며 혼합과정을 거치고 이러한 혼합과정에서 다시 진행오거(11)에 의해 2차 혼합과정을 거치며 일측 하부의 배출통로(17)로 콘크리트 혼합물을 배출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별도의 컨트롤러를 작동시켜 실린더(14)를 구동하여 2차 교반수단(10)을 수평 혹은 작업이 적당한 각도로 늪혀 놓게 되면 그 하부의 유입통로(15)로 콘크리트 혼합물이 유입되어 그 내부의 오거에 의해 콘크리트 혼합물을 이송하는 것이다.
이렇게 2차 교반수단(10)을 거친 콘크리트 혼합물은 그 단부의 배출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를 혼합하여 보수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그 혼합비를 조절 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강도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연재의 함량을 달리하여 작업조건에 따라 콘크리트 양생시간을 조절 할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1)에 고정된 용접발전기(3)는 교량 상판내의 철근을 전달커나 용접키 위해 사용되는 용접기에 전원을 공급키 위한 것으로 별도의 전원을 구비하지 않고도 본 고안의 차량에 의해 용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며, 유압발전기(3) 또한 도로 보수공사시 각종 유압 작동장치를 구동키 위해 설치된 것이다.
또, 일측에 형성된 공구함은 작업중 또는 작업후 사용된 작업공구를 넣어 보관하므로 도로보수 공사에 필요한 공구만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작업준비시 다수의 작업공구를 일일이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것이며, 타측의 수거함(5)은 도로보수 공사시 배출되는 콘크리트 덩어리나 철근등을 담을 수 있게 한 것으로 폐자재를 현장에서 신속히 수거하므로서 도로의 통행상태를 신속히 확보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보수차량은 본 고안 차량만으로도 도로의 절단 및 파쇄작업이 가능하고, 각종 공구의 사용이 용이하며 제거된 도로폐기물을 적재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므로 작업장 주변이 정리되며, 보수작업 후에는 각각의 호퍼로부터 재료를 공급받아 1차 교반장치 및 2차 교반장치를 거쳐 콘크리트 혼합물이 배출되게 하므로서 현장에서 직접 콘크리트 혼합물을 양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통상의 차량(1) 적재함상에 용접발전기(2)와 유압발전기(3)를 위치하고, 그 일측에 다수의 호퍼(4)(4')를 위치하되, 호퍼(4)(4')의 양측에는 수거함(5)과 공구함(6) 및 지연제탱크(18)와 물탱크(19)을 고정하고, 호퍼(4)(4')의 하부에는 컨베이어(7)를 형성하며, 컨베이어(7)의 단부에는 1차 교반수단(9) 및 회동가능한 2차 교반수단(10)을 각각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수용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1차 교반수단(9)은 진행오거(11)와 혼합오거(12)를 교차되게 하되, 혼합오거(12)의 중간부에는 진행오거(11)의 교반날개(13)가 위치되게 하며, 1차 교반수단(9)의 하부일측에는 배출통로(17)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수용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2차 교반수단(10)의 내부에는 차량(1)과 실린더(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그 하부에는 유입통로(15)를 형성하며, 상부에는 배출구(16)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수용 차량.
KR2019990022641U 1999-10-20 1999-10-20 도로 보수용 차량 KR20017510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625A KR100358264B1 (ko) 1999-10-20 1999-10-20 도로 보수용 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625A Division KR100358264B1 (ko) 1999-10-20 1999-10-20 도로 보수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105Y1 true KR200175105Y1 (ko) 2000-03-15

Family

ID=196161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641U KR200175105Y1 (ko) 1999-10-20 1999-10-20 도로 보수용 차량
KR1019990045625A KR100358264B1 (ko) 1999-10-20 1999-10-20 도로 보수용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625A KR100358264B1 (ko) 1999-10-20 1999-10-20 도로 보수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51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044B1 (ko) * 2001-03-22 2004-04-06 김용현 차량탑재용 토목공사 이동플랜트
KR200468288Y1 (ko) * 2011-05-04 2013-08-12 주식회사 팜스토리 사료 운반 차량의 지대 보관장치
CN111519503A (zh) * 2020-05-08 2020-08-11 江苏东南车辆工程有限公司 应急交通养护专项作业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887A (ko) 2001-05-15
KR100358264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6206A (en) Pavement and base recycle method and apparatus
JP2667230B2 (ja) 路面構成層の改修装置
EP19514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using bituminous products
KR100664971B1 (ko)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의 이동식 재생장치
KR101101873B1 (ko)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KR101013213B1 (ko)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US6000641A (en) Method of crushing and mixing soil and machine therefor
KR200175105Y1 (ko) 도로 보수용 차량
JP3962864B2 (ja) 土壌混合改良機
KR101301165B1 (ko) 폐아스콘을 이용하여 재생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한 믹싱장치
JPH07289931A (ja) 混合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GB23434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aterials
KR200238645Y1 (ko) 교량조인트 보수차
JP3670855B2 (ja) 砕土・混合による土質改良方法並びに砕土・混合機付き土質改良装置
KR200381313Y1 (ko) 폐아스팔트와 폐콘크리트의 이동식 재생장치
JP2000000454A (ja) 可変パドル式混練・混合機及び可変パドル式混練・混合機付き土質改良装置
JP3676087B2 (ja) 砕土機及び砕土機付き土質改良装置
JPH0414523Y2 (ko)
US20230304234A1 (en) Asphalt paving device
KR200255252Y1 (ko) 폐건자재용 분리기
KR100359135B1 (ko) 폐 아스팔트 재생기로 제조한 재생아스팔트 및 이를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KR20030018349A (ko) 폐건자재용 분리기
KR200215585Y1 (ko) 이동식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믹서장치
JP2000004601A (ja) 砕土選別機及び砕土選別機付き土質改良装置
JP2000096553A (ja) 土の解砕混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