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645Y1 - 교량조인트 보수차 - Google Patents

교량조인트 보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645Y1
KR200238645Y1 KR2020010010175U KR20010010175U KR200238645Y1 KR 200238645 Y1 KR200238645 Y1 KR 200238645Y1 KR 2020010010175 U KR2020010010175 U KR 2020010010175U KR 20010010175 U KR20010010175 U KR 20010010175U KR 200238645 Y1 KR200238645 Y1 KR 200238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ement
gravel
hopper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식
Original Assignee
이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식 filed Critical 이두식
Priority to KR2020010010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6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645Y1/ko

Links

Landscapes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국도,고속도로, 활주로 등의 교량조인트를 비롯한 모든 노면의 파손된 부분을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에 설치된 호퍼에 모래,자갈,시멘트를 분리 적재한 후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여 즉석으로 콘크리트를 양산하여 파손부위를 긴급보수할 수 있도록 한 교량조인트 보수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차량 상부에 모래와 자갈이 동시적재되고 후방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모래자갈용 호퍼와, 상기 모래자갈용 호퍼 후방에 설치되는 시멘트용 호퍼와, 상기 모래자갈용 호퍼 하부에 설치되고 모래와 자갈을 후방 유도관으로 이송낙하시키는 모래자갈이송수단과, 상기 시멘트용 호퍼와 모래자갈이송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시멘트를 후방 유도관으로 이송낙하시키는 시멘트이송수단과,
상기 차량 후방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일측이 유도관 하부에 놓여져 유도관을 통해 공급된 모래와 자갈,시멘트를 교반하여 시멘트를 양산함과 동시에 지정장소로 이송시키는 교반이송장치와,
상기 유도관 하부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시 교반이송장치를 회전시켜 작업구간에 정확하게 콘크리트를 타설가능하게 하는 교반이송장치 회전수단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조인트 보수차{Bridge joint repair car}
본 고안은 국도,고속도로, 활주로 등의 교량조인트를 비롯한 모든 노면의 파손된 부분을 보수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럭에 설치된 호퍼에 모래,자갈,시멘트를 분리 적재한 후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여 즉석으로 콘크리트를 양산하여 파손부위를 긴급보수할 수 있도록 한 교량조인트 보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교량의 조인트, 상판보수, 노면 뱃칭, 팽창줄보수,콘크리트 단면보수등을 위해서는 작업공정에 따른 개별적인 장비를 다수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었다.
즉 파손된 노면 부위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기 및 브레이커, 철골용접을 위한 용접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발전차량이 구비되어야 하고, 파손부위를 걷어낸 후 새롭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별도의 콘크리트 믹서차량이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이었다.
또한 대형 콘크리트 믹서차에 의해 적은 규모의 파손부위에 정확하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었고 보수에 필요한 콘크리트를 작업여건에 맞추어 즉석으로 양산하지 못하고 완성된 콘크리트를 운반해오는 형태이므로 작업 종료 후 콘크리트의 잔류량이 매우 많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된 각각의 호퍼에 콘크리트를 양산하기 위한 재료를 별도 적재한 후, 지정된 장소로 이동하여 즉석에서 차량에 설치된 콘크리트 양산장치에 의해 보수에 필요한 적량의 콘크리트를 양산하므로써 파손부위를 긴급보수함을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하고, 콘크리트를 양산과 동시에 이송시키는 교반이송장치를 상,하 작동 및 회전가능하게 하여 지정된 장소에 콘크리트를 정확하게 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아울러 작업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장비로 차량에 에어콤프레셔를 장착하므로써 에어브레이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파쇄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발전기와 용접기를 겸비한 시스템을 장착하여 각종 전동공구의 사용 및 용접작업을 실시하게 하므로써 하나의 장비로 파손부위의 절단, 파쇄, 용접, 콘크리트 타설 등의 일련의 작업공정을 작업자 혼자서도 긴급조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교량조인트 보수차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 교량조인트 보수차의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 교반이송장치의 상,하 작동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 모래와 자갈, 시멘트의 이송상태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교반이송장치에 의한 교반 및 이송작업상태 종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모래자갈이송수단과 시멘트이송수단의 연결상태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 모래자갈용 호퍼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 교반이송장치 회전수단의 작동상태 평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 교반이송장치에 의한 콘크리트의 배출상태 종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 유도관과 연결관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 10: 모래자갈용 호퍼 11: 격벽
20: 시멘트용 호퍼 30: 모래자갈이송수단 32,42: 벨트컨베이어
40: 시멘트이송수단 50: 교반이송장치 51: 유도관
53: 호퍼 55: 리프트실린더 57: 오거
60: 교반이송장치 회전수단 63: 연결관
64: 회동체 70: 발전기 71: 에어콤프레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을 우선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1)의 상부에 설치되고 자갈과 모래가 분리 적재되는 모래자갈용 호퍼(10)와, 상기 모래자갈용 호퍼(10) 후방에 설치되어 시멘트가 적재되는 시멘트용 호퍼(20)와, 상기 모래자갈용 호퍼(10) 하부에 설치되고 모래와 자갈을 후방 유도관(51)으로 이송낙하시키는 모래자갈이송수단(30)과, 상기 시멘트용 호퍼(20)와 모래자갈이송수단(30) 사이에 설치되어 시멘트를 후방 유도관(51)으로이송낙하시키는 시멘트이송수단(40)과, 상기 차량(1) 후방에 설치되어 유도관(51)을 통해 공급된 모래와 자갈,시멘트를 교반하여 콘크리트를 양산함과 동시에 지정장소로 이송시키는 교반이송장치(50)와, 상기 교반이송장치(50)를 회전시켜 작업구간에 정확하게 콘크리트를 타설가능하게 하는 교반이송장치 회전수단(60)으로 이루어 진다.
다음으로 상기 개략적인 구성을 토대로 본 고안을 실시가능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래자갈용 호퍼(10)는 도 7과 같이 모래와 자갈이 동시에 적재될 수 있도록 내부가 격벽(11)으로 양분되게 구획되고 후방 하부에는 모래와 자갈이 배출되는 배출구(12)가 각각 형성되며 모래가 담겨지는 쪽의 상부에는 격벽(11)을 중심으로 개폐가능하게 선별스크린(13)이 설치되어 모래를 선별하여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모래자갈용 호퍼(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규격이 작고 시멘트가 담겨지는 시멘트용 호퍼(20)는 양측 경사면에 바이브레터(21)가 설치되어 시멘트가 덩어리지더라도 강한 진동에 의해 배출됨에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상기 모래자갈용 호퍼(10) 하부에 설치되는 모래자갈이송수단(30)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회전롤러(31)가 설치되고 회전롤러(31) 에 벨트컨베이어(32)가 설치되어 벨트컨베이어(32)의 상부면이 도 4와 같이 모래자갈용 호퍼(10) 하부에 위치되므로써 모래와 자갈이 자연적으로 벨트컨베이어(32)의 상부면에 이송상태로 놓여지게 되며 회전롤러(31) 양측이 체인(33)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입력되면 벨트컨베이어(32)가 회전 이송하면서 모래와 자갈을 이송시켜 유도관(51)으로 낙하시키게된다. 여기에서 모래와 자갈의 배출은 배출구(12)를 통해 제한되게 배출되고 배출구(12)는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레버 작동에 의해 상,하 작동되는 공지된 형태의 배출도어가 설치되어 배출구(12)의 간극을 조정하여 배합비율 및 콘크리트의 양산 물량을 임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시멘트용 호퍼(20)와 모래자갈이송수단(30) 후방 사이에 설치되는 시멘트이송수단(40)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회전롤러(41)가 설치되고 회전롤러(41) 에 벨트컨베이어(42)가 설치되어 벨트컨베이어(42)의 상부면에 시멘트가 놓여지게 되며 회전롤러(41) 양측이 체인(43)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이 입력되면 벨트컨베이어(42)가 회전 이송하면서 시멘트를 이송시켜 유도관(51)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회전력의 제공은 모래자갈이송수단(30)의 회전롤러(31)가 감속모터(34)의 회전력으로 구동되고 이 구동력을 시멘트이송수단(40)의 회전롤러(42)에 체인(35)으로 전달시켜 동시 작동되는 한편 상기 감속모터(34)는 정,역변환되므로써 걸림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시멘트의 이송은 체인(35)의 감속비에 따라 이송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도관(51)을 통해 공급된 모래와 자갈,시멘트를 교반하여 콘크리트를 양산함과 동시에 지정장소로 이송시키는 교반이송장치(50)는 유도관(51) 하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52)에 상부가 개방된 U자형의 호퍼(53)가 회동가능하게 힌지(54) 고정되고 호퍼(53) 상부는 리프트실린더(55)가 연결되어 힌지(54)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호퍼(53) 내부에는 외부연결된 모터(56)에 의해 구동되는 오거(57)가 축설된다. 따라서 리프트실린더(55)에 의해 회동되어 선택적으로 일측이 유도관(51) 하부에 놓여지므로써 연결관(63)의 통공(62)을 통해 모래와 자갈,시멘트가 호퍼(53) 내부로 투입된 후 오거(57)에 의해 교반되어 콘크리트를 양산하고 이와 동시에 양산된 콘크리트를 이송시켜 타측 배출구(58)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오거(57)는 중간중간 일정간격만큼 끊겨져 콘크리트가 일시 정체하여 완전하게 교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급격하게 이송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작업환경에 적합하도록 교반이송장치(50)를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교반이송장치 회전수단(60)은 유도관(51) 하부에 회전지지구(61)가 내설되고 회전지지구(61)를 관통하여 내부에 통공(62)이 형성된 연결관(6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63)에 외삽고정된 회동체(64)는 도 8과 같이 일측이 차량(1)의 메인프레임(2)에 부착된 실린더브라켓(3)에 유압실린더(65)로 연결되므로써 회동체(64)가 일정각도로 회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회동체(64)의 타측은 교반이송장치(50)가 고정된 고정브라켓(52)이 일체로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교반이송장치(50)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자갈모래용 호퍼(10) 전방에 용접기를 겸비한 발전기(71)가 장착되어 신속한 철골 용접작업과 작업장의 조명시설을 비롯한 각종 전동기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에어콤프레셔(72)가 장착되어 에어브레이커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파쇄작업이 가능하며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각의 라인에 연결하여 바이브레터(21) 및 시멘트용 호퍼(20), 지연제탱크(74)에 에어를 주입하여 공급의 원활성을 증대시키는 한편 에어를 이용하여 작업영역을 말끔하게 청소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물탱크(73)가 설치되어 유도관(51)내에 설치된 분사노즐(73a)을 통해 물분사하므로써 모래와 자갈, 시멘트가 반죽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잔류 콘크리트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멘트용 호퍼(20) 후면에는 지연제탱크(74)가 설치되어 유도관(51) 내부에 지연제를 공급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시 인위적으로 양생을 지연시켜 급격하게 콘크리트가 굳어버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통해 도로보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을 작업현장으로 이동시킨 후 발전기(71)의 전력을 이용해 커터기를 작동시켜 파손부위를 절단시킨다. 절단이 완료되면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절단부위를 파쇄하고 파쇄된 콘크리트를 걷어낸 후 에어를 분사시켜 말끔한 상태가 되게 한다. 여기까지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행해지는 공통된 사항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전동공구를 비롯한 모든 부가 작업이 본 고안 콘크리트 믹서차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 다량의 장비를 동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게 된다.
상기 과정이 완료된 후 행해지는 콘크리트의 타설은 도 3과 같이 잠금상태인 교반이송장치(50)의 잠금쇠(59)를 상부로 회동시켜 해제한 후 리프트실린러(55)를 작동시켜 교반이송장치(50)가 수평상태로 놓여지게 하여 호퍼(53) 일측이 유도관(51)의 하부에 위치되게 한다.
호퍼(51) 일측이 유도관(51)의 하부에 위치되면 모래와 자갈이 도 4와 같이 벨트컨베이어(32)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유도관(51)으로 공급되고 이와 더불어 시멘트도 벨트컨베이어(42)에 의해 역시 유도관(51)으로 동시 공급된다. 따라서 유도관(51)으로 공급된 모래와 자갈, 시멘트는 1차적으로 유도관(51) 내에서 자연적인 혼합상태가 되고 분사노즐(73a)을 통해 물분사되어 반죽상태인 콘크리트로 양산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되며 이때 콘크리트가 급격하게 양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연제탱크(74)로부터 지연제가 공급되어 급격한 양생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유도관(51)으로 공급된 모래와 자갈, 시멘트는 도 5와 같이 유도관(51) 내벽 경사면(51a)에 의해 연결관(63)의 중앙으로 모아져 통공(62)을 통해 교반이송장치(50)의 호퍼(53) 내부로 유입되어 본격적인 2차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호퍼(53)내로 유입된 내용물은 오거(57)에 의해 뒤섞이면서 효과적인 교반이 이루어지고 교반과 더불어 타측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58) 쪽으로 자연적으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오거(57)는 중간중간에 일정간격으로 교반날이 끊겨진 상태이므로 콘크리트가 급격하게 이송되지 않고 이 부분에서 일시적으로 정체하여 더욱 확실한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완전하게 교반되지 않은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의 타설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모래와 자갈,시멘트의 공급을 중단하여 필요이상으로 콘크리트를 양산하는 있이 없어 매우 경제적이게 된다.
본 고안은 모래와 자갈, 시멘트를 차량에 각각 분리적재하여 작업현장에서 즉석으로 콘크리트를 양산하여 긴급한 보수가 이루어지고 특히, 보수에 필요한 콘크리트의 양을 조절하여 타설하므로써 잔류 콘크리트 량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이며, 콘크리트를 양산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교반이송장치가 회전되므로써 지정된 장소에 정확하게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한편 부가장비인 발전기,에어콤프레셔가 차량에 장착되므로써 각종 전동공구 및 부속공구의 사용이 용이하여 전반적인 도로보수작업을 종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편리함이 제공된다.

Claims (6)

  1. 차량(1) 상부에 모래와 자갈이 동시적재되게 내부가 격벽(11)으로 구획되며 후방 하부에 배출구(12)가 형성된 모래자갈용 호퍼(10)와,
    상기 모래자갈용 호퍼(10) 후방에 설치되는 시멘트용 호퍼(20)와,
    상기 모래자갈용 호퍼(10) 하부에 설치되고 모래와 자갈을 후방 유도관(51)으로 이송낙하시키는 모래자갈이송수단(30)과,
    상기 시멘트용 호퍼(20)와 모래자갈이송수단(30) 사이에 설치되고 시멘트를 후방 유도관(51)으로 이송낙하시키는 시멘트이송수단(40)과,
    상기 차량(1) 후방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일측이 유도관(51) 하부에 놓여져 유도관(51)을 통해 공급된 모래와 자갈,시멘트를 교반하여 시멘트를 양산함과 동시에 지정장소로 이송시키는 교반이송장치(50)와,
    상기 유도관(51) 하부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시 교반이송장치(50)를 회전시켜 작업구간에 정확하게 콘크리트를 타설가능하게 하는 교반이송장치 회전수단(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조인트 보수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래자갈이송수단(30) 및 시멘트이송수단(40)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롤러(31)(41)에 벨트컨베이어(32)(42)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31)(41) 양측이 체인(33)(43)으로 연결되는 한편, 상기 모래자갈이송수단(30)의 회전롤러(31)는 감속모터(34)의 회전력으로 구동되고 이 구동력을 시멘트이송수단(40)의 회전롤러(41)에 체인(35)으로 전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조인트 보수차.
  3.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반이송장치(50)는 유도관(51) 하단에 설치된 고정브라켓(52)에 호퍼(53)가 힌지(54)고정되고 상기 호퍼(53) 상부는 리프트실린더(55)가 연결되어 힌지(54)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호퍼(53) 내부에는 외부연결된 모터(56)로 구동되는 오거(57)가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조인트 보수차.
  4.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반이송장치 회전수단(60)은 유도관(51)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관(63)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63)에 외삽고정된 회동체(64)는 일측이 유압실린더(65)로 연결되고 타측은 교반이송장치(50)가 고정된 고정브라켓(52)이 일체로 결합되어 유압실린더(65) 작동시 회동체(64)가 회전하면서 교반이송장치(50)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조인트 보수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자갈모래용 호퍼(10) 전방에는 부가장비인 발전기(71), 에어콤프레셔(72), 물탱크(7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조인트 보수차.
  6.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래, 자갈, 시멘트가 통과되는 유도관(51)에는 지연제탱크(74)로부터 지연제가 공급되어 콘크리트양생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지연되는 한편 물탱크(73)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분사노즐(73a)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조인트 보수차.
KR2020010010175U 2001-04-11 2001-04-11 교량조인트 보수차 KR200238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75U KR200238645Y1 (ko) 2001-04-11 2001-04-11 교량조인트 보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75U KR200238645Y1 (ko) 2001-04-11 2001-04-11 교량조인트 보수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645Y1 true KR200238645Y1 (ko) 2001-10-11

Family

ID=73054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175U KR200238645Y1 (ko) 2001-04-11 2001-04-11 교량조인트 보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6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199B1 (ko) * 2018-11-20 2019-03-28 조대호 유동성 채움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199B1 (ko) * 2018-11-20 2019-03-28 조대호 유동성 채움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00869B (zh) 一种沙石混合设备
JP4188151B2 (ja) スクリューコンベア式連続攪拌装置
KR101101873B1 (ko)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KR101013213B1 (ko)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JPH09195266A (ja) 土の解砕混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38645Y1 (ko) 교량조인트 보수차
JP4927605B2 (ja) 土質改質プラントおよび該土質改質プラントを用いた管埋め戻し工法
CN116971248A (zh) 一体式道路固化土成型装置
JP2004257023A (ja) 土壌混合改良機
KR200247789Y1 (ko) 콘크리트 믹서 트레일러
JP2000008367A (ja) 粘性土の流動化処理方法
CN212636125U (zh) 沥青混凝土生产用搅拌装置
KR200175105Y1 (ko) 도로 보수용 차량
CN211806980U (zh) 一种用于建筑材料的快速混合搅拌装置
JP2000345578A (ja) 流動化処理土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19756A (ko) 연속식 상온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118581B1 (ko) 순환골재의 시멘트 모르타르 박리방법
KR20010051116A (ko) 유동화 처리토의 원료 공급기
JP2000000454A (ja) 可変パドル式混練・混合機及び可変パドル式混練・混合機付き土質改良装置
CN213471643U (zh) 一种预制外墙板用浇筑装置
CN217552727U (zh) 再生混凝土固态粉末搅拌装置
JP3375599B2 (ja) 土砂製品生産システムの運用管理方法
JP2002001083A (ja) 土砂改質装置の混合撹拌装置
JP2014201999A (ja) シールド掘削残土の処理方法及び処理システム
JP2000064342A (ja) 砕土・混合機及び砕土・混合による土質改良方法並びに砕土・混合機付き土質改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