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336Y1 -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336Y1
KR200174336Y1 KR2019980000288U KR19980000288U KR200174336Y1 KR 200174336 Y1 KR200174336 Y1 KR 200174336Y1 KR 2019980000288 U KR2019980000288 U KR 2019980000288U KR 19980000288 U KR19980000288 U KR 19980000288U KR 200174336 Y1 KR200174336 Y1 KR 200174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groove
circular
circular plate
support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827U (ko
Inventor
최연태
Original Assignee
최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태 filed Critical 최연태
Priority to KR2019980000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336Y1/ko
Publication of KR980002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8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3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166Simple cranes with jibs which may be fixed or can slew or lu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태풍이나 해일이 발생시에 소형 선박들을 육지 혹은 방파제로 언제든지 끌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크레인은 상기 방파제 상에 설치된 받침판에 고정 결합되며 내측 둘레면을 따라 링기어와 소정 깊이의 제2원호홈을 가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며 외측 둘레면을 따라 상기 제2원호홈과 대응되는 제1원호홈을 가지는 원형판과, 상기 제1원호홈과 제2원호홈 사이에 다수개 삽입되며 상기 지지체와 원형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금속볼들과, 상기 원형판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선박을 끌어올리는 호이스트가 설치된 에이치-빔을 고정시키기 위한 주기둥과, 상기 원형판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원형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주기둥의 상단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에이치-빔의 균형 및 처짐을 방지하는 와이어들을 지탱하기 위한 보조기둥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
본 고안은 각종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풍이나 해일이 발생할 때 소형 선박을 방파제 또는 육지로 끌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태풍이나 해일이 발생시에 소형 선박들을 육지 혹은 방파제 위로 대피시킬 수 있는 별다른 장비가 없었다. 이로인해, 상기 소형 선박들이 방파제에 부딪혀 파손 혹은 침몰될 뿐만 아니라 조류에 떠밀려 유실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여 막대한 재산 손실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태풍이나 해일이 발생시에 소형 선박들을 육지 혹은 방파제로 언제든지 끌어올릴 수 있는 크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크레인은 상기 방파제 상에 설치된 받침판에 고정 결합되며 내측 둘레면을 따라 링기어와 소정 깊이의 제2원호홈을 가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며 외측 둘레면을 따라 상기 제2원호홈과 대응되는 제1원호홈을 가지는 원형판과, 상기 제1원호홈과 제2원호홈 사이에 다수개 삽입되며 상기 지지체와 원형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금속볼들과, 상기 원형판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선박을 끌어올리는 호이스트가 설치된 에이치-빔을 고정시키기 위한 주기둥과, 상기 원형판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멋지고 상기 원형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주기둥의 상단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에이치-빔의 균형 및 처짐을 방지하는 와이어들을 지탱하기 위한 보조기둥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소형 선박들을 끌어올릴 때 사용하는 크레인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A-A″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기둥 12 : 구동모터
16 : 원형판 22 : 피니언
24 : 지지체 26 : 받침판
28 : 금속볼 36 : 링기어
40 : 지지관 42 : H-빔
44 : 보조기둥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소형 선박들을 끌어올릴 때 사용하는 크레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크레인은 통상 육지 혹은 방파제 상에 고정 설치되며, 동력전달부(구동부)가 설치된 원형판 16과 지지체 24 및 호이스트 50이 부착된 에이치-빔(이하 H-빔이라 함) 42를 고정시키기 위한 주기둥 1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체 24는 용접 작업에 의해 받침판 26에 고정되며, 상기 받침판 26은 다수개의 볼트로 방파제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원형판 16은 상기 지지체 24에 결합되며, 상기 원형판 16의 상면에는 주기둥 10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판 16의 상부 일측면에는 구동모터 12가 설치되며 타측면에는 라그(lug) 6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라그 60에는 와이어 86의 일측단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86의 타측단은 버클(Buckle) 8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버클 80의 일측단에는 와이어 88의 일측단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88의 타측단은 H-빔 42의 좌측 하단에 고정된 라그 6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H-빔 42의 좌측 상단에는 라그 64가 고정되며, 상기 라그 64에는 와이어 90의 일측단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90의 타측단은 버클 8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버클 82의 일측단에는 와이어 92의 일측단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92의 타측단은 보조기둥 44의 상단 좌측면에 고정된 라그 66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기둥 44는 주기둥 10과 볼팅 작업에 의해 결합된 지지관 4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관 40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 42가 관통되어 설치된다. 즉, 상기 H-빔 42는 지지관 40을 관통한 후 용접 작업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기둥 44의 상단 우측면에는 라그 68이 고정되며, 상기 라그 68에는 와이어 94의 일측단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94의 타측단은 버클 8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버클 84의 일측단에는 와이어 96의 일측단이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 96의 타측단은 H-빔 42의 우측 상단에 고정된 라그 7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버클 80,82,84는 와이어들의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와이어 86,88,90,92,94,96은 상기 H-빔 42의 균형을 잡아줄 뿐만 아니라 H-빔의 처짐 현상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H-빔 42가 고정 설치된 주기둥 1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부, 즉 원형판 16과 지지체 24의 내부 구성을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판 16의 상면에는 주기둥 10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기둥 10의 일측으로는 구동모터 1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원형판 16에는 상기 구동모터 12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 14가 끼워져 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구멍 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판의 구멍 20을 관통한 샤프트 14의 끝에는 구동모터 12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 2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판 16에는 소정 깊이의 제1원호홈 18이 외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 24는 받침판 26과 용접 결합되며, 상기 지지체 24의 내측 하면에는 상기 피니언 22와 맞물리는 링기어 36이 둘레면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링기어 36의 상측면에는 상기 제1원호홈 18과 대응하는 제2원호홈 34가 지지체 24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원형판 16이 지지체 24에 결합되면 상기 제1원호홈 18과 제2원호홈 34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원형을 이룬다. 이때 상기 제1원호홈 18과 제2원호홈 34에는 적정수의 금속볼 28이 삽입(충진)되며, 상기 금속볼 28은 상기 원형판 16과 지지체 24를 서로 조립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원형판 16이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력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 24의 외측면에는 상기 금속볼 28이 원호홈 18,34에 유입되도록 소정 크기의 나사구멍 32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구멍 32에는 코킹볼트 30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코킹볼트 30은 상기 금속볼 28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고안은 크레인의 동작 과정(사용상태)을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모터 12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 12의 구동력은 샤프트 14에 의해 피니언 22에 전달된다. 이어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력에 의해 피니언 22는 지지체의 링기어 36을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원형판 16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주기둥 10은 상기 원형판 16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판 16과 함께 회전한다. 이후 상기 주기둥 10의 회전에 따라 H-빔 42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을 하며, 이에 작업자는 상기 H-빔 42에 설치된 호이스트 50을 끌어 올리고자 하는 소형 선박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원형판 16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동모터 12를 정지시킨 후, 상기 호이스트 50의 고리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 선박에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구동모터 12를 다시 구동시켜 상기 원형판 16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그후 상기 호이스트 50은 소형 선박을 끌어올리며, 이와 동시에 H-빔 42는 원형판 16의 회전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소형 선박들은 안전하게 방파제 혹은 육지로 끌어 올려지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레인은 태풍이나 해일이 발생할 때 소형 선박들을 방파제 혹은 육지로 안전하게 대피시킴으로써 상기 소형 선박들이 방파제에 부딪혀 파손 혹은 침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조류에 의해 소형선박들이 떠밀려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크레인은 선박파손에 의해 재산 손실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선박들을 방파제 위로 끌어올리기 위한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방파제 상에 설치된 받침판에 고정 결합되며, 내측 둘레면에 따라 링기어와 소정 깊이의 제2원호홈을 가지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며, 외측 둘레면을 따라 상기 제2원호홈과 대응되는 제1원호홈을 가지는 원형판과, 상기 제1원호홈과 제2원호홈 사이에 다수개 삽입되며, 상기 지지체와 원형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금속볼들과, 상기 원형판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선박을 끌어올리는 호이스트가 설치된 에이치-빔을 고정시키기 위한 주기둥과, 상기 원형판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가지고 상기 원형판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주기둥의 상단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에이치-빔의 균형 및 처짐을 방지하는 와이어들을 지탱하기 위한 보조기둥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2019980000288U 1998-01-10 1998-01-10 크레인 KR2001743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288U KR200174336Y1 (ko) 1998-01-10 1998-01-10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288U KR200174336Y1 (ko) 1998-01-10 1998-01-10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827U KR980002827U (ko) 1998-03-30
KR200174336Y1 true KR200174336Y1 (ko) 2000-04-01

Family

ID=1953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288U KR200174336Y1 (ko) 1998-01-10 1998-01-10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33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884B1 (ko) 2007-08-03 2008-10-13 이정상 선박용 크레인의 지지기둥 보강장치
KR200451697Y1 (ko) * 2008-06-20 2011-01-04 주명자 소형선박 구난용 크레인
KR200452394Y1 (ko) 2008-07-16 2011-02-22 이봉석 지브 크레인 하부포스트 구조
KR101062027B1 (ko) * 2009-03-31 2011-09-05 박인철 장력 조절형 어선 인양기
KR20160082313A (ko) 2014-12-31 2016-07-08 (유)동아하이테크 선착장용 선박 인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25B1 (ko) * 2015-06-24 2017-02-02 정민시 침몰선 인양장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884B1 (ko) 2007-08-03 2008-10-13 이정상 선박용 크레인의 지지기둥 보강장치
KR200451697Y1 (ko) * 2008-06-20 2011-01-04 주명자 소형선박 구난용 크레인
KR200452394Y1 (ko) 2008-07-16 2011-02-22 이봉석 지브 크레인 하부포스트 구조
KR101062027B1 (ko) * 2009-03-31 2011-09-05 박인철 장력 조절형 어선 인양기
KR20160082313A (ko) 2014-12-31 2016-07-08 (유)동아하이테크 선착장용 선박 인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827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8734B1 (ko) 풍력 터빈의 회전자 블레이드를 배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74336Y1 (ko) 크레인
GB2025349A (en) Derrick Crane
US11181097B2 (en) Multirotor wind turbine with guy wires
CN108083149B (zh) 钢丝绳导向装置及旋挖钻机
US3961713A (en) Single line davit
EP0667833B1 (en) A load orientating device
KR20210031307A (ko) 송전 철탑 작업용 이동식 윈치 장치
KR200436841Y1 (ko)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PL190549B1 (pl) Podwójny pachołek cumowniczy
CN110440196B (zh) 适用于吊机臂架的桅杆灯支架
CN211366730U (zh) 大型物件挂装工具
CN113460881A (zh) 一种基于四索限位的海上稳定吊装起重机
KR100896174B1 (ko) 호이스트용 로프드럼의 동력전달장치
CN205419592U (zh) 一种应用于河网地区的桅杆式起重机
KR102661378B1 (ko)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CN110126994B (zh) 门架的俯仰机构及门架
CN215888137U (zh) 一种水利工程用的卷扬式启闭器
CN108046142B (zh) 一种钢丝绳导绳装置及桅杆式起重机
CN219974380U (zh) 桩孔护筒升降装置
CN217896610U (zh) 便于同轴装配的内藏式提升卷扬装置及具有其的矿用挖掘机
CN217947514U (zh) 一种直线绞车旋转定位组件
CN111943044B (zh) 辅助风机起吊的牵引装置
CN219117020U (zh) 一种用于吊装风机的移动式起重机
SU44472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вески груза на стреле кра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904

Effective date: 200302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620

Effective date: 200405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310

Effective date: 2003112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1211

Effective date: 2004102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108

Effective date: 2004123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704

Effective date: 200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