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78B1 -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78B1
KR102661378B1 KR1020230116283A KR20230116283A KR102661378B1 KR 102661378 B1 KR102661378 B1 KR 102661378B1 KR 1020230116283 A KR1020230116283 A KR 1020230116283A KR 20230116283 A KR20230116283 A KR 20230116283A KR 102661378 B1 KR102661378 B1 KR 10266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wing base
support shaft
jig
lif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윤상문
유지규
Original Assignee
우림피티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림피티에스(주) filed Critical 우림피티에스(주)
Priority to KR1020230116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08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for lifting parts of wind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03D15/1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using gearing not limited to rotary motion, e.g. with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embers
    • F03D15/101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using gearing not limited to rotary motion, e.g. with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embers of the epicyclic or planetary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를 제안한다. 본 발명 지그는, 승하강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바디(20)와, 캐리어를 들 수 있는 바디(40)로 구성된다. 리프트바디(20)의 하단부에는 스윙베이스가 지지축(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바디(40)는 스윙베이스(30)의 하부에서 지지볼트(42)가 관통한 상태로 고정용 너트(44)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스윙베이스(30)에 착탈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볼트(22)가 지지축(28)의 상부에 대응하는 리프트바디(20)에 나사결합되고, 스윙베이스(30)의 대응 부분에 성형된 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스윙베이스(30)가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A jig for carrier of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캐리어를 핸들링 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는 풍력발전기용 캐리어의 이동이나 위치 변경 등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유성치차 감속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의 요 앤 피치 기어박스(Yaw and pitch gearbox) 는 저속이면서 큰 토크를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유성기어(2)와 한 개의 태양기어(4)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다단 감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캐리어(10)는, 중심에 배치되는 태양기어(4)를 입력으로 하고, 다수의 유성기어(2)가 링기어(도시 생략)에 내접하면서 저속회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캐리어(10)는 유성기어(2)의 공전과 같이 회전하는 것이고, 그 저면에는 하부의 감속부의 입력축이 되는 태양기어(6)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풍력발전기에 사용되는 캐리어(10)는, 중심부분에서 태양기어가 돌출되는 상면 개방부분(18)이 구비된 상면(12)과, 상면(12)의 외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16), 그리고 측면(16)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면(1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측면(16)에는 다수의 측면 개방부분(17)이 성형되어 있는데, 이러한 측면 개방부분(17)을 통하여 유성기어(2)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캐리어(10)는 실질적으로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공을 위하여 캐리어(10)를 이동시키거나 위치(자세)를 변경시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단점이 있을 수밖에 없다. 즉, 금속제로 만들어지는 캐리어는 크기도 그렇거니와 무게도 상당히 무겁기 때문에 핸들링의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가공 과정 및 그 전후 과정의 이동 등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고 지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발전기의 요 앤 피치 기어박스에 사용되는 캐리어를 쉽게 핸들링할 수 있는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는, 승하강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바디와, 리프트바디에 설치되어 캐리어를 들 수 있는 바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프트바디의 하단부에는 스윙베이스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바디는 스윙베이스의 하부에서 지지볼트가 관통한 상태로 고정용 너트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스윙베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볼트가 지지축의 상부에 대응하는 리프트바디에 나사결합되고, 스윙베이스의 대응 부분에 성형된 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스윙베이스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지그에 의하면, 캐리어의 측면 개방부분을 이용하여 바디가 캐리어를 들 수 있게 되고, 리프트바디는 호이스트 등과 같은 승하강장치에 의하여 들어올려지고 이러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윙베이스를 이용하여 캐리어를 상하 방향으로 역전시킬 수 있어서,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캐리어를 편리하게 이동하거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풍력발전기용 유성치차 감속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캐리어용 지그의 예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캐리어용 지그의 사용 상태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용 지그를 도시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지그는, 호이스트 등과 같은 승하강 장치와 연동하기 위한 리프트바디(20)와, 상기 리프트바디(20)에 지지되고 캐리어(10)에 끼워져서 들기 위한 바디(40)를 포함하고 있다. 리프트바디(20)는 예를 들면 수평연장부(20a)와, 수평연장부(20a)의 일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20b)로 구성된다.
수평연장부(20a)는 호이스트의 후크 등에 걸릴 수 있는 걸림고리(R)를 구비하고 적어도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일부분을 구비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하연장부(20b)는 수평연장부(20a)의 일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직방향으로 또는 직선형상으로 한정될 수는 없다. 그리고 수평연장부(20a)는 리프트바디(20)의 상부의 일부를, 상하연장부(20b)는 리프트바디(20)의 하부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연장부(20b)에는 바디(40)가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데, 본 발명에서 바디(40)는 캐리어(10)를 걸어들거나 캐리어(10)를 클램핑함으로써, 리프트바디(2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캐리어(10)를 같이 이동시킬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러한 바디(40)는 스윙베이스(30)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데,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지지볼트(42)가 바디(40)를 관통한 상태에서 고정용 너트(44)에 의하여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바디(40)는 사각형상의 긴 바아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치수는 캐리어(10)의 측면 개구부분(17)의 크기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디(40)는 상술한 지지볼트(42)에 의하여 착탈 가능함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바디(40)의 크기는 핸들링하고자 하는 캐리어(10)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한 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스윙베이스(30)는 지지축(28)에 의하여 리프트바디(20)에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다. 예를 들면 지지축(28)은 리머볼트로 실시될 수 있고, 이러한 리머볼트(28)가 스윙베이스(30)를 관통한 상태에서, 리프트바디(20)의 관통공(20d)을 통과하여 너트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스윙베이스(30)는 상기 수평방향의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상향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지지축(28)의 상부에 해당하는 리프트바디(20)의 하부 상하연장부(20b)에는, 가이드볼트(22)가 나사결합공(20c)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볼트(22)가 회전에 의하여 도면 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윙베이스(30)에 성형된 결합공(도시 생략)에 들어가게 된다. 가이드볼트(22)의 좌측 단부가 결합공에 삽입되면, 실질적으로 스윙베이스(30)는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그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3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 지그의 사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지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40)가 캐리어(10)의 측면 개구부분(17)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바디(40)의 사양은 측면 개구부분(17)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그리고 선택되는 바디(40)는 지지용볼트(42) 및 고정용 너트(44)에 의하여 스윙베이스(3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될 것이다.
상기 바디(40)가 측면 개구부분(17)에 삽입되면, 실질적으로 리프트바디(20)에 의하여 캐리어(10)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캐리어(1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자리에 놓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위치에서 캐리어(10)의 일부를 가공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b)에 도시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캐리어(10)의 상하 방향이 역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로 캐리어를 내려 놓으면 (a)와는 상하 역전된 상태로 캐리어(10)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하 방향이 역전되는 것은, 가이드볼트(22)를 빼고, 바디(40) 및 스윙베이스(30)가 지지축(28)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10)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거나 상하 방향을 역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실질적으로 상당한 무게를 가지는 캐리어(10)를 편리하게 핸들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0 ..... 캐리어
17 ..... 측면 개방부분
20 ..... 리프트바디
22 ..... 가이드볼트
28 ..... 지지축(리머볼트)
30 ..... 스윙베이스
40 ..... 바디
42 ..... 지지볼트
44 ..... 고정용 너트

Claims (1)

  1. 걸림고리(R)를 구비하는 수평연장부(20a)와, 수평연장부(20a)의 일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상하연장부(20b)로 구성되고, 승하강장치에 연결되기 위한 리프트바디(20);
    리프트바디(20)의 상하연장부(20b)의 하단부에서 수평방향의 지지축(28)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윙베이스(30);
    캐리어(10)의 측면 개구부분(17)에 삽입되는 것으로, 스윙베이스(30)의 지지축(28) 하부에서 지지볼트(42)가 관통한 상태로 고정용 너트(44)에 의하여 지지되고, 스윙베이스(30)에 착탈 가능한 바디(40); 그리고
    상기 지지축(28)의 상부에 대응하는 리프트바디(20)에 나사결합되고, 스윙베이스(30)의 대응 부분에 성형된 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스윙베이스(30)가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이드볼트(2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축(28)을 중심으로 스윙베이스(30)가 회전하면, 바디(40)에 삽입된 캐리어(10)의 상하 방향이 역전되는 상태로 내려놓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KR1020230116283A 2023-09-01 2023-09-01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KR102661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6283A KR102661378B1 (ko) 2023-09-01 2023-09-01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6283A KR102661378B1 (ko) 2023-09-01 2023-09-01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378B1 true KR102661378B1 (ko) 2024-04-26

Family

ID=9088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283A KR102661378B1 (ko) 2023-09-01 2023-09-01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37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6469A1 (en) * 2014-06-19 2017-05-1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Horizontal shaft impact crusher hammer lifting device
CN209411597U (zh) * 2019-01-08 2019-09-20 梁天睿 一种变速箱壳体旋转起吊吊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6469A1 (en) * 2014-06-19 2017-05-1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Horizontal shaft impact crusher hammer lifting device
CN209411597U (zh) * 2019-01-08 2019-09-20 梁天睿 一种变速箱壳体旋转起吊吊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2504C (en) Rotary load lifting hook device
CN110642196B (zh) 一种工业机器人快速检修维护装置
JPS6261516B2 (ko)
CN110450146A (zh) 一种污泥破袋设备用抓袋机械手
KR102661378B1 (ko) 풍력발전기의 캐리어용 지그
CN208059675U (zh) 机械式管束清洗装置
CN208451615U (zh) 一种纸脚抓取机械手装置
CN208616950U (zh) 一种翻转上料装置
CN209024040U (zh) 一种集装箱吊具和集装箱跨运机
CN217292414U (zh) 一种操作培训机器人防摔机构
CN108609493A (zh) 一种大型螺旋桨自动翻转机装置
CN208775901U (zh) 一种上料装置
CN204150968U (zh) 一种带倾倒功能的吊车
CN112850517A (zh) 一种海洋工程用吊运系统
CN215974666U (zh) 一种多功能微型吊车
CN218909677U (zh) 一种角度可调的吊装设备
CN201524799U (zh) 一种自动升降装置
CN214087419U (zh) 一种海水升压泵大型旋转滤网吊装装置
CN201414051Y (zh) 发电机转子翻身吊具
CN104477787A (zh) 方便维修的加工中心
CN206088847U (zh) 一种单臂架门座起重机的变幅机构
CN216072844U (zh) 一种港口用集装箱吊机
CN220302644U (zh) 一种嵌入式行星减速机构
CN218170417U (zh) 一种用于机械生产夹持推送上料机械手
CN210189176U (zh) 一种机床悬吊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