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841Y1 -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 Google Patents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841Y1
KR200436841Y1 KR2020060030760U KR20060030760U KR200436841Y1 KR 200436841 Y1 KR200436841 Y1 KR 200436841Y1 KR 2020060030760 U KR2020060030760 U KR 2020060030760U KR 20060030760 U KR20060030760 U KR 20060030760U KR 200436841 Y1 KR200436841 Y1 KR 200436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height
motor
stirrer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인수
Original Assignee
진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인수 filed Critical 진인수
Priority to KR2020060030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8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 B01F27/806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herein the stirrers or the receptacles are moved in order to bring them into operative position; Means for fixing the receptacle with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stirrer, e.g.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pivoting the stirrer about a vertical axis in order to co-operate with differe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3Mixing liquids with solids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8Mixing liquids with solid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liquid
    • B01F23/581Mixing liquids with solids, slurries or sludge, for obtaining a diluted slur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응기 탱크(1)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터로 구동되는 수직형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탱크(1)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임펠러(3)가 설치된 임펠러축(2); 상기 탱크(1)의 상부 돌출부(4)에 고정장착되는 임펠러축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고정판(11); 상기 하부고정판(11)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3); 상기 가이드부(13)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교반기 모터(21)가 고정장착되는 이동판(14); 상기 이동판(14)을 관통하고 하부로 연장되어 임펠러축(2)과 연결되는 교반기 모터의 회전축(22); 및 상기 교반기 모터(21)가 장착된 이동판(1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용량에 따른 임펠러의 높이를 맞추어 임펠러를 회전시킬 수 있고, 임펠러의 초기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교반능률 및 교반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수직형 교반기, 교반기 모터, 임펠러, 체인블록, 스톱퍼, 체인, 이동판

Description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The vertical agitator to be able to control the height of impeller in the reactor}
도 1은 체인과 체인블록을 높이조절부로 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체인과 체인블록을 높이조절부로 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체인과 모터를 높이조절부로 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응기 탱크 2 : 임펠러축
3 : 임펠러 4 : 돌출부
5 : 고정 구조물 11 : 하부고정판
12 : 패킹판 13 : 가이드부
14: 이동판 15 : 상부고정판
16: 스톱퍼 21 : 교반기 모터
22:교반기 모터의 회전축 23 : 연결고리
30:높이조절부
본 고안은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기 내부의 액체와 고체분말형태의 슬러리를 교반하는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화학공정 중의 하나로서 액체(예를 들어 염산, 질산용액 등)와 슬러리(예를 들어 고체분말의 형태를 가지는 알루미나, 디올라이트 등)를 혼합하는 교반단계는 교반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교반기는 고정 임펠러와 임펠러의 상부에 장착되는 모터로 구성되며, 교반기의 구동은 모터와 연결된 임펠러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임펠러의 회전으로 인하여 반응기 탱크 내부에 있는 액체와 슬러리가 교반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교반기에 있어서, 임펠러의 위치가 고정되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해 왔다.
특히, 임펠러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탱크 내부에 가라앉은 슬러리의 양이 많은 경우 초기 임펠러의 구동에 상당히 큰 부하가 걸리는 문제와, 슬러리의 하중을 견디지 못해 임펠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또한 임펠러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액체와 슬러리의 용량이 적은 경우 임펠러가 공회전할 수 있는 문제와 슬러리 상부의 액체만을 회전시키게 되는 비효율적인 교반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어 왔다.
또한, 임펠러의 구동모터가 반응기 탱크에 직접 연결됨으로 인하여, 반응기 탱크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탱크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진용 서포트(support)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진동으로 인한 탱크 혹은 서포트의 피로(fatigue) 파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임펠러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반응기 탱크 내의 용량에 따라 임펠러의 위치를 이동시켜 임펠러에 걸리는 초기부하를 줄이는 교반기를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한다.
또한, 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임펠러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인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반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교반기 모터를 탱크에서 분리하여 반응기 탱크의 진동을 방지하는 교반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반응기 탱크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임펠러가 설치된 임펠러축; 반응기 탱크의 상부 돌출부에 고정장착되는 임펠러축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고정판; 하부고정판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교반기 모터가 고정장착되는 이동판; 이동판을 관통하고 하부로 연장되어 임펠러축과 연결되는 교반기 모터의 회전축; 및 교반기 모터(21)가 장착된 이동판(1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형 교반 기가 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는, 반응기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터로 구동되는 수직형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탱크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임펠러가 설치된 임펠러축; 상기 탱크의 상부 돌출부에 고정장착되는 임펠러축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고정판;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교반기 모터가 고정장착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을 관통하고 하부로 연장되어 임펠러축과 연결되는 교반기 모터의 회전축; 및 상기 교반기 모터가 장착된 이동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응기 탱크 내부에는 액체와 슬러리를 혼합하기 위한 임펠러가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임펠러는 1단 혹은 2단,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단을 설치할 수 있다. 탱크의 용량이 크고, 슬러리의 용량도 많은 경우 다단으로 설치하거나, 나선형태로 된 임펠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임펠러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임펠러 축이 마련되어야 하고, 임펠러 축은 회전을 위해 교반기 모터와 연결된다.
상기 반응기 탱크의 외측 상부에는 임펠러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하 부고정판이 설치되는데, 하부고정판은 탱크에서 돌출되어 모터가 연결되는 돌출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장착된다.
상기 반응기 탱크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판에는 그 상면에 수직으로 다수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가이드부가 고정장착된다. 지지대는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다수의 파이프는 하단부를 하부고정판에 용접하거나 혹은 하부고정판에 볼트홀을 형성하여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파이프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3개로 구성되는 경우 그 이상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때보다 안정성이 약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로는 "ㄱ"형강 또는 "ㄷ"형강과 같은 형강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모터와 같은 하중이 큰 물건을 지지할 수 있는 응력을 가지는 것은 지지대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가 형성되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이동판이 설치된다. 이동판은 지지대가 관통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지지대를 가이드로 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이동판에는 상면에 임펠러의 구동을 위한 교반기 모터가 수직으로 고정장착되는데, 교반기 모터는 이동판에 볼트홀을 만들어 볼트 등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이동판의 중앙에는 임펠러축과 연결되는 교반기 모터의 회전축을 위해 관통홀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축은 임펠러가 장착된 임펠러축과 연결되는데, 양자의 연결을 위해 서는 임펠러축과 회전축에 볼트홀을 형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임펠러축이 회전축에 고정장착되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임펠러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반응기 탱크의 액체와 슬러리를 혼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임펠러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특징이 있으므로, 높이조절부가 장착되어야 한다. 높이조절부는 교반기 모터의 상부에 형성된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연결선(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wire rope), 체인 또는 피스톤 로드 등)과 연결선을 움직이는 조절장치를 구비한다. 조절장치는 천정, 철골 구조물 또는 상부고정판과 같은 고정단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높이조절부에 의하여 이동판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임펠러축에 장착된 임펠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교반기 모터는 이동판에 고정장착되어 있으므로, 이동판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홀에 지지대가 끼워져, 모터를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지지대를 가이드로 하여 상하로 일정하게 움직일 수 있다. 임펠러의 높이조절은 반응기 탱크의 용량에 따라 임펠러의 위치를 달리하기 위함이다. 또한 임펠러를 구동시킬 때, 임펠러가 슬러리 속에 묻혀서 회전하는 것보다 액상에서 회전하면서 구동시키는 경우 초기 부하가 적게 들어가게 되므로, 임펠러의 보호 및 초기에 들어가는 전력량을 줄이는 경제적 이점도 가질 수 있다. 액상에서 임펠러를 구동시키면 액상의 회전에 따라 차츰 슬러리도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차츰 임펠러의 높이를 낮추어 회전시킴으로써 액체와 슬러리의 교반시간 및 교반능률도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판의 상부에 고정장착되는 하부고정판보다 작은 크기의 패킹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패킹판의 중앙에는 임펠러축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패킹판은 연질의 재질을 가진 연질 PVC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패킹판을 두게 되면, 회전에 의한 진동이 연질부에서 흡수되어, 진동에 따른 피로(fatigue)현상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에는 각 파이프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상부고정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상부고정판의 중앙부는 모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형성한다. 가이드부의 하단은 하부고정판에 고정장착되므로 파이프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파이프의 흔들림이 적어 파이프 상단에 상부고정판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파이프가 긴 경우에는 파이프가 흔들려 올바른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파이프의 상단에 원형의 상부고정판을 두어 파이프를 상부고정판에 용접하거나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고정판이 파이프에 고정되면 파이프의 움직임이 제한되므로 이동판이 움직이게 되더라도 훨씬 더 견고하게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부고정판에는 들어 올려진 모터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부고정판에 관통홀을 두는 이유는 임펠러의 높이를 낮게 유지할 경우에는 모터가 상부고정판 위까지 올라가지 않아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임펠러의 높이를 상당히 높여야 할 경우에는 상부고정판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관통공은 모터 직경의 1.5배 정도로 하면 된다. 다만, 교반기 모터의 이동거리가 상부고정판 하부에서만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부고정판에 교반기 모터의 관통홀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는 상부고정판을 고정단으로 하여 높이조절부의 구동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는 이점도 가진다. 상부고정판을 고정단으로 하는 경우는 천정이 없거나 고정구조물이 없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가 반응기 탱크와 일체로 연결되므로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또한, 상기 이동판의 상하로 상기 각 지지대에 설치되는 이동판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스톱퍼를 두는 이유는 임펠러가 지나치게 높이 올려져 탱크와 부딪힐 수 있기 때문이다. 임펠러가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으나, 임펠러가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최하단 임펠러와 최상단 임펠러의 높이를 측정하여 그 길이에 맞춰 스톱퍼를 설치하게 되면 이동판의 거리가 제한되어 임펠러의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스톱퍼는 지지대가 파이프인 경우는 'ㄱ'자 형강과 'ㄱ'자 형강에 결합되는 유볼트(U-bolt)로 구성된다. 유볼트는 'U'자형의 볼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파이프의 직경에 맞추어 유볼트를 선정하고, 'ㄱ'자 형강에 두개의 볼트홀을 뚫어 유볼트를 장착한다. 유볼트의 너트를 죔으로서, 'ㄱ'자 형강은 파이프에 고정되어 스톱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파이프가 아닌 경우라도 적절한 방법으로 스톱퍼를 설치할 수 있으며, 스톱퍼는 이동거리의 제한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형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형강의 평면에 다수의 볼트 홀을 만들어 두어, 볼트홀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죔으로써 이동판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모터에 연결되는 체인과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체인블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체인과 체인블록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일측의 체인을 회전시킴에 따라 체인블록의 타측 체인은 상하로 움직이게 되므로 높이조절 기능을 할 수 있다. 체인블록에 연결된 체인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는 직접 수작업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으나, 체인블록에 모터를 장착하여 모터의 구동력으로 체인블록에 연결된 체인을 회전시켜 높이조절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의 다른 예로는 교반기 모터에 연결되는 체인(체인 대신 와이어 로프(wire rope)도 가능)과 체인의 끝단에 설치되어 체인이 감기는 감김부를 구비한 모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판에 장착된 교반기 모터와 이동판 및 임펠러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또 다른 높이조절부로는 교반기 모터(21)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와 고정단에 고정되어 와이어로프를 끌어올리는 호이스트 또는 감속기모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는 교반기 모터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와 고정단에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가 구동되는 실린더를 구비한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인블록, 모터, 호이스트, 감속기모터,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는 천정, 철골 또는 교반기 모터 홀이 구비되지 않은 상부고정판과 같은 고정단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
도 1은 체인과 체인블록을 높이조절부로 한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체인과 체인블록을 높이조절부로 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탱크(1)와, 탱크(1)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고정판(11), 하부고정판(11)의 상부에 설치되는 패킹판(12), 하부고정판(11)에 고정되는 다수의 지지대인 파이프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3), 가이드부(16)를 따라 움직이는 이동판(14), 이동판(14)의 상면에 설치되는 교반기 모터(21), 다수의 지지대를 고정하는 상부고정판(15), 스톱퍼(16) 및 높이조절부(30)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대를 4개로 하여 구성되는 가이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도 지지대는 다수개가 될 수 있으나, 편의상 4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반응기 탱크(1)로 슬러리 및 액체가 유입되면, 슬러리는 고체분말 형태를 가지므로 액체 속에 잠겨 아래로 가라앉는다. 따라서, 도 2에서 반응기 탱크의 하부는 분말형태의 슬러리를 나타내고 상부는 액체성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임펠러(3a, 3b)를 구동하게 되면, 하부 슬러리 속에 있는 임펠러(3a)는 상당히 큰 초기 부하를 받게 되고, 따라서, 임펠러(3a)가 파괴되거나 휘어지는 등의 손상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이 기 살핀 바와 같이 종래 고정식 교반기의 문제점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임펠러(3)가 용량에 따라 상하로 움직 일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 있다.
도 2 및 일부 확대도인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반응기 탱크(1)와 반응기 탱크(1)의 내부에 장착되는 임펠러(3)가 장착된 임펠러축(2)이 설치되는데, 임펠러축(2)은 교반기 모터(21)와 연결된다. 탱크(1)의 상부에는 교반기 모터(21)를 장착하여 임펠러축(2)과 연결할 수 있는 돌출부(4)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돌출부(4)를 이용하여 돌출부의 상부에 하부고정판(11)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다. 하부고정판(11)은 중앙에 임펠러축(2)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구비하고, 하부고정판(11)의 가장자리 4개소에는 4개의 지지대(13a,13b,13c,13d)가 고정된다. 각 지지대는 용접으로 고정하거나, 하부고정판(11)에 볼트홀을 형성하여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하부고정판(11)에 볼트홀을 구비하여 지지대인 파이프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삽입한 후에 너트로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4개의 지지대인 파이프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3)가 하부고정판(11)에 고정되면, 가이드홀이 형성된 이동판(14)을 가이드부에 삽입한다. 삽입된 이동판(14)은 가이드부(13)를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상하로 움직이는 것은 높이조절부(30)에 의한다. 이동판(14)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데, 관통홀은 이동판(14)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장착되는 교반기 모터(21)의 회전축(22)이 이동판(14)의 하부로 연장되어 임펠러축(2)과 연결되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교반기 모터(21)는 이동판에 볼팅으로 고정장착된다. 고정장착된 교반기 모터(21)의 회전축(22)은 임펠러축(2)과 볼트로 연결된다. 교반기 모터(21)와 연결된 임펠러축(2)은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임펠러(3)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임펠러 는 용량에 따라서 혹은 초기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높이가 조절되어야 하므로 모터의 상부에 마련된 연결고리(23)에 연결선(32)을 결속하고, 연결선(32)은 높이조절장치(30)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연결선(32)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인을 이용하며, 높이조절장치(30)는 체인블록(31a)을 이용한다. 체인블록(31a)은 두개의 체인을 구비하며, 하나는 구동을 위해 회전시키는 체인과, 다른 하나는 체인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구동체인으로 구성된다. 체인블록(31a)은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하고 있는 장치 중의 하나이다. 체인블록(31a)의 편의성은 가격이 싸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큰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과, 체인블록(31a)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구조물(예를 들어 천정, 철골 구조물 또는 체인블록 고정대)(5) 또는 교반기 모터(21)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상부고정판(15)(도시하지 않음)만 있으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도 하나의 장점이다. 체인블록(31a)의 회전체인은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의 상단에는 파이프(13a,13b,13c,13d)를 고정할 수 있는 상부고정판(15)이 부가되고, 상부고정판(15)에 파이프는 하부고정판(11)과 같이 볼팅이나 용접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부(30)에 의해 임펠러(3)를 상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높이를 잘 모르기 때문에 임펠러(3)를 탱크(1)에 부딪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16)를 둔다. 스톱퍼(16a,16b,16c,16d)는 각 파이프에 각각 설치되는데, 스톱퍼(16)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는 'ㄱ'자 형강과 유볼트(U-blot)로 구성된다. 각 스톱퍼(16a,16b,16c,16d)는 가이드부(13)의 파이프 직경에 맞는 유볼트를 선정하여 'ㄱ'자 형강의 일측에 볼트홀을 형성하고 유볼트를 체결함 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스톱퍼(16)는 임펠러(3)의 보호를 위한 것으로서, 임펠러(3)가 1개 구비된 경우에는 크게 문제되지 않을 수 있으나, 두 개 이상의 임펠러(3a,3b)를 가진 경우에는 최하단의 임펠러(3a)와 최상단의 임펠러(3b)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고, 스톱퍼(16)를 상기 길이에 맞춰 고정시킴으로써 임펠러(3)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체인(32)과 모터(31b)를 높이조절부(30)로 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부(30)를 모터(31b)와 모터에 장착된 감김부(33)와 체인(32)으로 구성한 것에 해당한다. 높이조절부(3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2의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교반기 모터(21)의 연결고리(23)에 연결된 체인(32)은 구동모터(31b) 일측에 구비된 감김부(33)에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다. 즉, 모터의 정·역회전 구동에 의하여 체인이 움직임으로써 이동판(14)을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높이조절을 할 수 있다. 모터(31b)는 천장이나 철골 구조물(5)과 같은 고정구조물 또는 교반기 모터(21)의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상부고정단(15)(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구동된다. 모터(31b)는 고정단의 하측에 설치하거나 상측에 설치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고안은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형상이나 구성 등에 대해 본 고안의 구성요건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세부에 관한 다양한 변경이나 부품의 제구성 등의 개선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조절장치로서 체인블록이나 구동모터 이외에 에어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혹은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높이조절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어를 이용한 높이조절부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슬러리와 액체의 용량에 따라서 교반기의 임펠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교반이 가능하다.
또한, 반응기 탱크에 슬러리가 많이 있는 경우 액상에 임펠러를 위치하게 하여 구동시킴으로써, 고정 교반기에 비해 임펠러의 초기부하를 줄여 전력량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가지며, 과도한 초기부하로 인해 임펠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초기에는 액상에서 임펠러를 구동하고, 액상과 슬러리가 어느 정도 교반된 경우에는 임펠러의 높이를 낮춰 액상과 슬러리를 교반할 수 있으므로 교반기의 혼합능률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모터가 직접 반응기 탱크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장시간의 모터 운용에 따른 탱크의 피로(fatigue)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두 개 이상의 임펠러를 가진 경우 스톱퍼를 이용하여 이동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임펠러 및 탱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질의 패킹판을 두어 회전하는 임펠러축에 의한 진동을 직접 탱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탱크의 피로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의 조절장치를 천정, 철골 구조물 또는 상부고정판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8)

  1. 반응기 탱크(1)의 상부에 설치되어 모터로 구동되는 수직형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탱크(1)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임펠러(3)가 설치된 임펠러축(2);
    상기 탱크(1)의 상부 돌출부(4)에 고정장착되는 임펠러축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고정판(11);
    상기 하부고정판(11)의 상면에 하단이 고정장착되는 다수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가이드부(13);
    상기 가이드부(13)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면에 교반기 모터(21)가 고정장착되는 이동판(14);
    상기 이동판(14)을 관통하고 하부로 연장되어 임펠러축(2)과 연결되는 교반기 모터의 회전축(22); 및
    상기 교반기 모터(21)가 장착된 이동판(1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판(11)의 상부에 고정장착되는 하부고정판(11)보다 작은 크기의 패킹판(12)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킹판(12)에는 임펠러축(2)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의 상단에는 각각의 지지대가 고정되는 상부고정판(1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고정판(15)에는 교반기 모터(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14)의 상하로 각 파이프에 설치되는 이동판(14)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는 교반기 모터(21)에 연결되는 체인(32)과 고정단에 고정되는 체인블록(31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는 교반기 모터(21)에 연결되는 체인(32)과, 고정단에 고정되는 체인의 끝단에 설치되어 체인(32)이 감기는 감김부(33)가 구비된 모터(3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는 교반기 모터(21)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와 고정단에 고정되어 와이어로프를 끌어올리는 호이스트 또는 감속기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30)는 교반기 모터(21)에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와 고정단에 고정되어 피스톤 로드가 구동되는 실린더를 구비한 에어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KR2020060030760U 2006-11-30 2006-11-30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KR200436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760U KR200436841Y1 (ko) 2006-11-30 2006-11-30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760U KR200436841Y1 (ko) 2006-11-30 2006-11-30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841Y1 true KR200436841Y1 (ko) 2007-10-09

Family

ID=4163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760U KR200436841Y1 (ko) 2006-11-30 2006-11-30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8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86Y1 (ko) 2011-02-16 2012-07-02 정기철 교반기
KR101200034B1 (ko) 2011-08-17 2012-11-12 박주섭 다기능 교반기
KR101322601B1 (ko) * 2013-07-15 2013-10-29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수중교반기
KR102034984B1 (ko) * 2019-04-18 2019-10-21 김명선 오일 혼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86Y1 (ko) 2011-02-16 2012-07-02 정기철 교반기
KR101200034B1 (ko) 2011-08-17 2012-11-12 박주섭 다기능 교반기
KR101322601B1 (ko) * 2013-07-15 2013-10-29 주식회사 영진 엔테크 수중교반기
KR102034984B1 (ko) * 2019-04-18 2019-10-21 김명선 오일 혼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841Y1 (ko) 반응기 임펠러의 높이조절이 가능한 수직형 교반기
KR102530779B1 (ko) 크레인을 위한 호이스팅 블록
CN1717543A (zh) 水流(包括潮汐流)涡轮机的支承结构
JP2005137097A (ja) ケーブル設置装置及び方法
CN207032463U (zh) 一种防缠绕起吊搅拌安装装置
KR20220062580A (ko) 크레인을 포함하는 결합체와, 크레인에 장착하기 위해 배치된 하중 안내 장치 및 상기 결합체에 사용하기 위한 하중 안내 장치
CN210823985U (zh) 可调节链条松紧的新型电动提升出料平台
JP4920517B2 (ja) アンテナ交換用装置
KR200174336Y1 (ko) 크레인
CN207030776U (zh) 一种起吊搅拌安装装置
KR100929311B1 (ko) 대빗 장치
KR101092322B1 (ko) 자재 양중기
CN214527679U (zh) 一种建筑工程用送料设备
CN216715702U (zh) 一种潜水设备安装支架
CN217437589U (zh) 预制构件吊取装置
CN216471888U (zh) 一种水下撬块的升降结构
CN104743463B (zh) 一种钢丝绳保护装置及具有其的旋挖钻机
CN117923320B (zh) 一种车间室内设备吊装用扁担
CN219011885U (zh) 一种高层建筑作业平台
CN220845074U (zh) 一种超低净空下钢管柱吊装装置
CN215756047U (zh) 一种生化池起吊装置
CN218371226U (zh) 一种角钢塔组装件快速转送装置
KR102381632B1 (ko) 조립식 반력체, 비탈면 안정화 구조체, 및 비탈면 안정화 공법
KR102213470B1 (ko) 수중터널을 계류하는 계류선의 정착 및 인장력 조절 장치
KR20010092835A (ko) 타워크레인용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