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115Y1 -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115Y1
KR200174115Y1 KR2019960046300U KR19960046300U KR200174115Y1 KR 200174115 Y1 KR200174115 Y1 KR 200174115Y1 KR 2019960046300 U KR2019960046300 U KR 2019960046300U KR 19960046300 U KR19960046300 U KR 19960046300U KR 200174115 Y1 KR200174115 Y1 KR 200174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rail
pneumatic cylinder
rolle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391U (ko
Inventor
박승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6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115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1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출입문이 닫히는 순간 발생되는 공압실린더의 순간적인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한 출입문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버스용 출입구의 일측면에 한 쌍의 출입문(10)이 힌지결합되면서, 출입구의 천정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레일(50)이 설치되는 한편, 출입문(10)의 하부일측에 링크(20)를 매개로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공압실린더(30)가 연결설치되며, 출입문(10)의 상면에는 안내레일(50)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롤러(40)가 장착된 차량의 출입문에 있어서, 안내레일(50)의 이동경로상에서 체결수단(60)을 매개로하여 출입문(10)의 닫힘동작이 완료되는 순간 롤러(40)를 완충시키기 위한 라운딩형상의 완충부재(70)가 장착되며, 완충부재(70)의 외주면에는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재(80)가 일체로 성형되어져, 출입문(10)이 닫히려는 순간 공압실린더 또는 링크 등에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력이 흡수되어 출입문의 수명이 연장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본 고안은 버스 등의 출입문을 개폐시켜 주는 공압실린더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출입문의 닫힘동작과정에서 발생되는 공압실린더의 순간적인 충격력을 완충시켜 출입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사용목적에 따라 화물차와 승합차로 크게 구분되는 바, 이러한 승합차는 탑승하는 인원수 등의 제약에 따라 세단 등과 같은 소형승합차와 버스 등과 같은 대형승합차로 구분된다.
여기서, 대형승합차는 주행 용도에 따라 시내 주행용, 시외 주행용, 관광용, 고속 도로용 등으로 구분되고, 고속 또는 장거리 주행을 하는 고속 및 관광 버스의 경우보다 근거리를 이용하는 버스의 경우에 보다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된 각종 편의시설이 요구된다.
특히, 근거리 주행에 이용되는 시내버스에서 자주 출입하는 승객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출입문은 통상적으로 대칭하는 형상으로 절첩가능한 한 쌍의 문짝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내버스의 출입문은 차실내에 구비된 조작레버에 의해 작동하는 공압실린더와, 이 공압실린더에 구비된 소정길이의 링크의 상호작용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종래의 버스용 출입문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출입구의 일측면에 대칭되는 한 쌍의 출입문(100, 100')중 한쪽 출입문(100)이 축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출입문(100)의 하부에는 링크(120)를 매개로하여 공압실린더(130)가 연결설치되고, 출입문(100, 100')의 상측면에는 롤러(110)가 일체로 장착되는 한편, 출입문(100, 100')이 장착된 출입구의 천정면에는 롤러(110)가 슬라이딩하도록 된 안내레일(140)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차실내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공압실린더(130)가 작동하면서 링크(120)를 당기거나 밀게 되고, 이때 링크(120)에 의해 출입문의 상부에 구비된 롤러(110)가 안내레일(140)을 타고 회전이동하면서 출입문(100, 100')을 개폐시키게 된다.
그런데, 출입문 닫기 위해서 작동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출입문(100, 100')이 개폐되는 순간 공압실린더(130)의 작동력에 의해 링크(120)에 순간적인 반발력이 발생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궁극적으로 출입문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스용 출입문의 닫힘동작이 완료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압실린더의 순간적인 충격력을 감소시켜 출입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스용 출입구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한 쌍의 출입문이 힌지결합되면서, 천정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출입문의 하부일측에는 링크를 매개로 공압실린더가 연결설치되며, 출입문의 상면에는 안내레일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롤러가 장착된 차량의 출입문에 있어서, 안내레일의 이동경로상에는 체결수단을 매개로하여 출입문의 닫힘동작이 완료되는 순간 롤러를 완충시키기 위한 라운딩형상의 완충부재가 장착되며, 완충부재의 외주면에는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버스에 승객의 탑승/하차가 완료된 상태에서 출입문이 닫혀지는 순간, 출입문의 롤러가 충격흡수부재와 접촉되면서 완충되므로, 출입문이 닫히려는 순간 공압실린더 또는 링크 등에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력이 흡수되어 출입문의 수명이 연장되게 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버스의 출입문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의 완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출입문 20 : 링크
30 : 공압실린더 40 : 롤러
50 : 안내레일 60 : 체결수단
70 : 완충부재 80 : 충격흡수부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도의 A-A선의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출입문의 완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버스용 출입구의 일측면에 한쌍의 출입문(10)이 힌지결합되면서, 출입구의 천정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레일(50)이 설치되는 한편, 출입문(10)의 하부일측에 링크(20)를 매개로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공압실린더(30)가 연결설치되며, 출입문(10)의 상면에는 안내레일(50)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롤러(40)가 장착된 차량의 출입문에 있어서, 안내레일(50)의 이동경로상에는 체결수단(60)을 매개로 하여 출입문(10)의 닫힘동작이 완료되는 순간 롤러(40)를 완충시키기 위한 라운딩형상의 완충부재(70)가 장착되며, 완충부재(70)의 외주면에는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재(80)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버스의 출입구에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상호 절첩되는 한 쌍의 출입문(10)이 힌지결합되며, 출입문(10)의 상측 즉, 버스용 출입구의 천정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안내레일(50)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레일(50)의 레일홈에 끼워진 한 개이상의 롤러(40)에 의해 출입문(1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출입문(10)이 닫혀지거나 열려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흡수된다.
또한, 안내레일(50)의 일선단부 즉, 출입문(10)이 닫혀지는 경우 롤러(40)가 위치되는 지점에는 체결수단(60)을 매개로하여 완충부재(70)가 고정설치되며, 완충부재(70)의 일측선단부 즉, 롤러(40)와 직접 접촉되는 지점에는 라운딩형상으로 된 완충부(71)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완충부재(70)의 외주면에는 유연한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재(80)가 일체로 성형되어, 롤러(40)가 접촉되는 순간 공압실린더(30)의 공기압에 의해 발생되는 링크(20)의 충격력을 흡수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스용 출입문(10)을 닫기 위해 차실내에 구비된 작동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공압실린더(30)의 작동에 의해 링크(20)가 외부로 돌출되면서 출입문(10)을 밀게 된다.
이때, 출입문(10)의 상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롤러(40)가 출입문(1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 안내레일(50)을 따라 미끄럼이동되므로, 출입문(10)이 닫혀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출입문(10)이 완전히 닫혀지는 순간 출입문의 상부측에 구비된 롤러(40)가 완충부재(70)의 외주면에 성형된 충격흡수부재(80)와 접촉하면서, 출입문이 정지된다.
즉, 완충부재(70)의 외주면에 일체로 성형된 충격흡수부재(80)와 롤러(40)가 밀착되어 접촉되므로, 공압실린더(30)의 공기압에 의해 발생되는 링크(20)의 충격력이 흡수된다.
한편, 버스용 출입문(10)을 열기 위하여 차실내에 구비된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공압실린더(30)의 작동에 의해 링크(20)가 수납되므로, 출입문(10)이 당겨져 열리게 되는 것이다.
물론, 출입문(10)은 완충부재(70)와 충격흡수부재(80)와는 별도로 작동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에 의하면, 차량에 승객의 탑승이 완료된 상태에서 출입문을 닫는 경우 롤러와 충격흡수부재가 상호 접촉되므로, 출입문이 닫히려는 순간 공압실린더의 공기압에 의해 링크에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력이 흡수되어 출입문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버스용 출입구의 일측면에 한 쌍의 출입문(10)이 힌지결합되면서, 천정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안내레일(50)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출입문(10)의 하부일측에는 소정길이의 링크(20)를 매개로하여 출입문을 개폐시키는 공압실린더(30)가 연결설치되며, 출입문(10)의 상면에는 안내레일(50)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롤러(40)가 장착된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출입문에 있어서, 안내레일(50)의 이동경로상에는 체결수단(60)을 매개로하여 출입문(10)의 닫힘동작이 완료되는 순간 롤러(40)를 완충시키기 위한 라운딩형상의 완충부재(70)가 장착되며, 완충부재(70)의 외주면에는 고무재질의 충격흡수부재(80)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KR2019960046300U 1996-12-07 1996-12-07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KR200174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300U KR200174115Y1 (ko) 1996-12-07 1996-12-07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300U KR200174115Y1 (ko) 1996-12-07 1996-12-07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391U KR19980033391U (ko) 1998-09-05
KR200174115Y1 true KR200174115Y1 (ko) 2000-05-01

Family

ID=1947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300U KR200174115Y1 (ko) 1996-12-07 1996-12-07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1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051B1 (ko) * 2017-12-15 2022-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도어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391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0256A (en) Method of smoothing the outer surface of a structure with sliding doors and a sliding door with a mechanism for smoothing the outer surface
US10654345B2 (en) Opening/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US5910077A (en) Door actuated extendable strap handle
GB2271384A (en) Sliding door drive
KR200174115Y1 (ko) 차량의 출입문 완충장치
JP2007270426A (ja) 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
KR100270052B1 (ko) 시트 장착장치
KR100676525B1 (ko) 차량용 슬라이드식 비 차단장치
KR100440285B1 (ko)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안전장치
JP3673939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KR100208590B1 (ko) 도어 스위치 내장형 오버 슬램 범퍼
KR20060113049A (ko)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개폐장치
KR200149534Y1 (ko) 러버 스토퍼를 갖는 스윙도어 드라이브 샤프트 구조
KR200148181Y1 (ko) 상용차량용 리어도어의 스토퍼
KR0134611B1 (ko) 차량의 실내 공기압 배출장치
KR200144108Y1 (ko) 자동차 뒷문 개폐 장치
KR19980062478A (ko) 자동차용 왕복식 공압 도어의 오픈장치
KR100232924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링크구조
KR200146031Y1 (ko) 자동차용 도어어셈블리의 임펙트구조
KR100219367B1 (ko) 자동차 윈도우 작동 핸들의 구조
KR100205905B1 (ko) 차량 루프의 개폐장치
JP2539910Y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0112754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가이드 장치(A guide device of car-glove-box)
JPH048010Y2 (ko)
KR0181189B1 (ko) 자동차용 도어 변형량 축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