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060Y1 -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060Y1
KR200172060Y1 KR2019990021000U KR19990021000U KR200172060Y1 KR 200172060 Y1 KR200172060 Y1 KR 200172060Y1 KR 2019990021000 U KR2019990021000 U KR 2019990021000U KR 19990021000 U KR19990021000 U KR 19990021000U KR 200172060 Y1 KR200172060 Y1 KR 200172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opening
closing
vehic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범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파테크놀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파테크놀노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파테크놀노지
Priority to KR2019990021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0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05B81/60Control of actuators using pulse control, e.g. pulse-width mod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록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기를 지닌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시 차량의 도어록을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도어록등 제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원격제어기와 소정거리까지 제한하여 차량용 도어록을 개폐하기 위한 소정레벨의 무선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미약전파전원부 및 소정거리를 넘어서는 거리까지도 작동 되도록 정상레벨의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전원부등 별도의 전원부를 동시에 갖고있는 송신부, 또한 원격제어기에서 무선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 변환하여 CPU에 제공하는 수신부를 합친 송신부와, 송수신부를 통한 무선신호와 이의 수신강도를 판독하여 해당 차량용 도어록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도어록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CPU와, CPU의 제어로 도어록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방향을 조절하는 도어록 개폐용 릴레이 및 도어록 개폐용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정역회전하여 도어록을 개폐시키는 도어록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Door lock automatic open/close apparatus for vehicle using strengthless radio}
본 고안은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도어록의 개폐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기를 지닌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시 차량의 도어록을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고급화됨에 따라 차량 내에는 오디오 셋트(audio set)나 에어컨(aircon), 히터(heater) 등이 설치되는 한편 소정거리 이내에서 차량을 원격 시동할 수 있는 원격 시동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차량으로부터 하차 후에 도어록을 구동시켜 도어를 닫아야 한다. 다시 말하면, 운전자는 차량에 탑승할 때 도어록(door lock)을 구동시켜 도어를 열어야 하는 한편 하차 후에는 다시 도어록을 구동시켜 도어를 닫아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용 도어록을 수동으로 구동시키지 않고도 차량에 접근하거나 차량으로부터 떠나감에 따라 차량용 도어록을 자동으로 구동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의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중 원격 제어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은 도1의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중 주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된 차량용 도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원격 제어기 200 : 송수신부
300 : CPU 400 : 도어록 개폐용 릴레이
500 : 도어록 모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는, 소정거리까지 무선 송출되며 차량용 도어록을 개폐시키기 위한 소정레벨의 무선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 제어기; 상기 원격 제어기에서 무선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 변환하여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제공하는 주장치용 송수신부; 상기 주장치용 송수신부를 통한 무선신호와 이의 수신강도를 판독하여 해당 차량용 도어록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도어록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CPU; 상기 CPU의 제어로 도어록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방향을 조절하는 도어록 개폐용 릴레이; 및 상기 도어록 개폐용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정역회전하여 도어록을 개폐시키는 도어록 모터(moto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용 도어록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원격 제어기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무선신호에는 해당 차량용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ID(고유번호)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1에 도시한 것처럼, 원격 제어기(100)와 주장치용 송수신부(200), CPU (300), 도어록 개폐용 릴레이(400), 도어록 모터(5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도1 내지 도4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원격 제어기(100)는 특정 차량용 ID를 구비한 무선신호를 대기중으로 무선 송출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CPU(22)는 특정 차량용 ID와 도어록을 개폐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 입출력부(21)를 통해 송신부의 데이터 입력부(26)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는 3채배 발진부(27)에 의해 3배의 주파수로 발진되어 두 개의 3배 증폭부(29)(30)에 각각 공급된다. 여기서, 데이터를 3배의 주파수로 발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무선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는 제1필터부(28)에 의해 제거된다.
두 개의 3배 증폭부(29)(30)에 인가된 데이터는 무선 송출할 수 있는 레벨까지 증폭된 후 제2필터부(31)와 제3필터 및 출력부(32)에 의해 필터링되어 안테나(11)를 통해 대기중으로 무선 송출된다.
여기서, 23, 24, 25는 원격 제어기(100)의 송수신부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이다.
이렇게 대기중으로 무선 송출된 무선신호는 차량에 장착된 송수신부(200)에 의해 수신되어 CPU(300)에 제공된다. 여기서, 차량에 장착된 송수신부(200)는 원격 제어기(10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무선신호의 강도가 미약하기 때문에 원격 제어기(100)를 지닌 운전자가 차량에서 소정거리 이상 벗어나지 않았을 때에만 수신할 수 있다.
도어록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수신한 CPU(300)는 무선신호의 수신강도와 무선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ID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가 소정레벨 이상, 즉 원격 제어기(100)를 지닌 운전자가 소정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한편 수신된 무선신호가 해당 차량의 도어록을 개폐하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ID가 해당 차량의 것이고, 무선신호의 수신강도가 소정레벨 이하, 즉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CPU(300)는 닫혀져 있는 도어록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반대로 소정레벨 이상인 경우, 즉 운전자가 차량에 근접되게 접근한 경우에는 도어록을 열기 위한 개폐신호를 도어록 열림 릴레이(53)에 공급하여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어록 모터(500)에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도어록 모터(500)가 정회전(본 고안에서는 도어록 모터(500)가 정회전시 도어록이 열리고, 반대로 역회전시 도어록이 닫히는 것으로 설명한다.)하면서 도어록이 열린다.
위와 같은 동작을 도어록이 닫혀진 상태에서의 동작 설명이고, 반대로 도어록이 열려져 있는 경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ID가 해당 차량의 것이고, 무선신호의 수신강도가 소정레벨 이상이면 CPU(300)는 도어록의 상태를 현상태로 유지시키지만, 반대로 소정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즉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거리 이내에 있지 않은 경우 도어록을 닫기 위한 개폐신호를 도어록 잠김 릴레이(54)에 공급하여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어록 모터(500)에 구동전원이 공급되어 도어록 모터(500)가 역회전하면서 도어록이 잠긴다.
물론, 수신된 무선신호의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동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원격 제어기(10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CPU(300)에 제공하는 송수신부(200)의 구체적인 동작을 도3에 의해 살펴보면, 대기중으로 전송된 무선신호는 안테나(33)를 통해 RF 수신부(34)에 수신되어 소정레벨로 증폭된 후 SAW 필터(35)에 의해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무선신호는 후단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발진주파수와 혼합된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된 후 IF 필터(40)에 의해 다시 필터링되어 증폭 및 재생부(41)에 제공된다.
여기서,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동작을 보면, 미도시된 수정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3채배 발진부(39)에 의해 3배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주파수로 채배되고, 이어서 3배 증폭부(37)의 의해 3배의 레벨을 갖는 발진주파수로 증폭되어 제공된다. 이렇게 발진주파수를 채배 및 증폭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노이즈는 제1필터부(38)와 제2필터부(36)에 의해 제거된다.
무선신호를 공급받은 증폭 및 재생부(41)는 무선신호를 후단에서 처리 가능한 레벨까지 증폭하는 한편 후단에서 판독 가능한 상태로 재생한다. 이렇게 증폭 재생된 신호는 RF 출력부(42)와 데이터 입출력부(43)를 통해 CPU(43)에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44는 미약전파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이며 45는 정상전파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부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설치된 주장치, 즉 CPU(300)에 온도센서나 라디오 및 기타 정보 제공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원격 제어기(100)를 지닌 운전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센서나 라디오 및 기타 정보 제공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제공받은 CPU(300)는 각종 정보를 송수신부(200)에 제공하여 무선 송출할 수 있는 상태로 변환하고, 이를 대기중으로 무선 송출한다.
여기서, 송수신부(200)의 동작(도3 참조)을 보면, CPU(300)에서 출력된 각종 정보에 관한 데이터는 데이터 입출력부(43)를 통해 송신부의 데이터 입력부(46)로 전송한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는 3채배 발진부(47)에 의해 3배의 주파수로 발진되어 두 개의 3배 증폭부(49)(50)에 각각 공급된다. 여기서, 데이터를 3배의 주파수로 발진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어 무선 송출하기 위한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는 제1필터부(48)에 의해 제거된다.
두 개의 3배 증폭부(49)(50)에 인가된 데이터는 무선 송출할 수 있는 레벨까지 증폭된 후 제2필터부(52)와 제3필터 및 출력부(51)에 의해 필터링되어 안테나(33)를 통해 대기중으로 무선 송출된다.
차량에 장착된 주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갖는 무선신호를 수신한 원격 제어기(100)는 이를 처리하여 미도시된 스피커나 LCD 등으로 이를 출력하는 데, 차량에 장착된 주장치의 송수신부(200)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보면 다음과 같다(도2 참조).
먼저, 대기중으로 전송된 무선신호는 안테나(11)를 통해 RF 수신부(12)에 수신되어 소정레벨로 증폭된 후 SAW 필터(13)에 의해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무선신호는 후단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발진주파수와 혼합된 중간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된 후 IF 필터(18)에 의해 다시 필터링되어 증폭 및 재생부(19)에 제공된다.
여기서, 발진 주파수를 제공하는 동작을 보면, 미도시된 수정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3채배 발진부(16)에 의해 3배의 주파수를 갖는 발진주파수로 채배되고, 이어서 3배 증폭부(15)의 의해 3배의 레벨을 갖는 발진주파수로 증폭되어 제공된다. 이렇게 발진주파수를 채배 및 증폭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노이즈는 제1필터부(17)와 제2필터부(14)에 의해 제거된다.
무선신호를 공급받은 증폭 및 재생부(19)는 무선신호를 후단에서 처리 가능한 레벨까지 증폭하는 한편 후단에서 판독 가능한 상태로 재생한다. 이렇게 증폭 재생된 신호는 RF 출력부(20)와 데이터 입출력부(21)를 통해 CPU(22)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CPU(22)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으로부터 무선 전송된 각종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미도시된 스피커나 LCD 등으로 출력하는 것이다.
물론, 이 때에는 차량에 장착된 주장치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무선신호의 송출레벨을 크게 높임으로써 차량과의 거리에 관계없이 어디에서나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운전자는 차량용 도어록을 수동으로 구동시키지 않고도 차량에 접근하거나 차량으로부터 떠나감에 따라 차량용 도어록을 자동으로 구동시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소정거리까지 무선 송출되며 차량용 도어록을 개폐시키기 위한 소정레벨의 무선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원격 제어기;
    상기 원격 제어기에서 무선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 변환하여 CPU에 제공하는 주장치용 송수신부;
    상기 주장치용 송수신부를 통한 무선신호와 이의 수신강도를 판독하여 해당 차량용 도어록을 개폐시키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도어록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CPU;
    상기 CPU의 제어로 도어록 모터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의 방향을 조절하는 도어록 개폐용 릴레이; 및
    상기 도어록 개폐용 릴레이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정역회전하여 도어록을 개폐시키는 도어록 모터;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도어록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원격 제어기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무선신호에는 해당 차량용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ID(고유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KR2019990021000U 1999-09-30 1999-09-30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KR200172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000U KR200172060Y1 (ko) 1999-09-30 1999-09-30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000U KR200172060Y1 (ko) 1999-09-30 1999-09-30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060Y1 true KR200172060Y1 (ko) 2000-03-15

Family

ID=1959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000U KR200172060Y1 (ko) 1999-09-30 1999-09-30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0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422B1 (ko) * 2001-12-07 2004-06-23 전기영 차량 및 차고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0824941B1 (ko) * 2007-10-05 2008-04-28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의 2륜/4륜 구동절환용 클러치 구동축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422B1 (ko) * 2001-12-07 2004-06-23 전기영 차량 및 차고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100824941B1 (ko) * 2007-10-05 2008-04-28 주식회사 유니크 차량의 2륜/4륜 구동절환용 클러치 구동축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7529A (en) Vehicle control system with trainable transceiver
US7167076B2 (en) Universal garage door operating system and method
EP0747266B1 (en) Wireless vehicle control system
JP2002034085A (ja) 車載オーディオ装置の遠隔制御方法及び車載システム
US20060164210A1 (en) On-board wireless receiver having two antennas
EP1369332A3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on of vehicles in a railway system
EP1384626A4 (en) MIRROR DEVICE WITH BUILT-IN INTERMEDIATE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200172060Y1 (ko) 미약전파를 이용한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JP2006265956A (ja) パッシブ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2006118220A (ja) エアコン操作可能な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200282671Y1 (ko) 자동차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200177143Y1 (ko)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차량 내부온도 확인 및 원격시동장치
KR200245976Y1 (ko) 카드식 rf송신기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605258B2 (ja) 通信システムの消費電力低減装置
JPH07309134A (ja) キーレス/セキュリテイシステム
KR100407266B1 (ko) 원격 윈도우 글라스작동장치
KR200210924Y1 (ko) 차량용 도어록 자동 개폐장치
JPH0411712B2 (ko)
JPH108861A (ja) ガレージ開閉システム
JP3159142B2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KR100467351B1 (ko)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KR200258125Y1 (ko) 자동차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무선신호를 송신하는송신부가 구비된 이동단말기용 배터리
KR20090055656A (ko) 차량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3926548B2 (ja) 車両用遠隔制御装置
JP200217637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アンテナ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