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351B1 -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351B1
KR100467351B1 KR10-2003-0035263A KR20030035263A KR100467351B1 KR 100467351 B1 KR100467351 B1 KR 100467351B1 KR 20030035263 A KR20030035263 A KR 20030035263A KR 100467351 B1 KR100467351 B1 KR 100467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formation
output
unit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280A (ko
Inventor
김동렬
Original Assignee
(주)씨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씨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03-003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351B1/ko
Publication of KR20040103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통정보가 포함된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과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정보표시모듈을 분리하고, 이들이 서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교신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장착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전력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REMOTE WIRELESS RADAR/LASER DETECTOR}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착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전력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안전운행을 위한 다양한 교통 안전 기기가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과속 금지 구역, 어린이 보호 구역, 공사 구간 등의 교통정보를 극초단파(MICROWAVE) 및 레이저(LASER)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유도하는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혼(HORN) 안테나(10)와, 상기 혼 안테나(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처리부(20)와,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레이저모듈(30)과, 상기 신호처리부(20)와 레이저모듈(3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검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40)와, 상기 검출된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수단(50)과, 상기 검출된 신호를 음성증폭부(61)를 거쳐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표시수단(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1)는 통상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시보드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장착되나, 이와 같이 레이더/레이저 검출기(1)를 차량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각종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레이더/레이저 검출기는 통상적으로 10GHz~40GHz의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데, 이 주파수는 상당한 직진성을 갖고 있음에 따라 이를 용이하게 수신하기 위해서는 혼 안테나를 가능한 차량의 외부 앞쪽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혼 안테나를 차량의 앞쪽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된 혼 안테나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시각표시수단 및 음성표시수단을 유선으로 서로 연결하는 등의 작업이 요구되어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장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레이더/레이저 검출기는 혼 안테나와 기타 부분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제품의 크기가 커져 장착공간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전력소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과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정보표시모듈을 분리하고, 상기 신호수신모듈과 정보표시모듈이 서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교신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장착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전력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에 있어서: 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처리부와;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레이저수신부와; 상기 신호처리부와 레이저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검출을 제어하며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정보송신부로 이루어진 신호수신모듈과;
상기 신호수신모듈의 정보송신부로 부터 무선 송신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와; 수신된 정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부와; 상기 정보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시각표시부와 음성출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로 이루어진 정보표시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수신모듈의 신호처리부는 일정한 주파수를 발진하는 제1 국부발진기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를 구동시키는 스윕전압발생기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와 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를 혼합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1 혼합기와; 상기 제1 혼합기의 출력신호인 차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와; 각각 다른 소정의 주파수를 교대로 발진하는 제2 및 제3 국부발진기와; 상기 제2 및 제3 국부발진기의 발진신호와 제1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 혼합기와; 상기 제2 혼합기의 출력신호인 차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와;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선별하여 통과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검파하는 복조기; 및 상기 검파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표시모듈은 휴대용 배터리 또는 태양열 전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신호수신모듈 110 : 신호처리부
130 : 레이저수신부 140 : 중앙처리장치
150 : 정보송신부 200 : 정보표시모듈
210 : 정보수신부 220 : 조작부
230 : 중앙처리장치 240 : 시각표시부
250 : 음성출력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레이저 검출기는 크게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각종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수신모듈(100)과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정보표시모듈(200)로 구성되는데, 차량의 외부 앞쪽에 설치되는 상기 신호수신모듈 (100)과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정보표시모듈(200)은 300MHz~400MHz대의 UHF대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서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교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신호수신모듈(100)은 혼(HORN)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처리부(110)와,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레이저수신부(130)와, 상기 신호처리부(110)와 레이저수신부(13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검출을 제어하며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14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14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데이터를 상기 정보표시모듈(200)로 무선 송신하는 정보송신부(15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정보표시모듈(200)은 신호수신모듈(100)의 정보송신부(150)로 부터 무선 송신된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210)와, 수신된 정보 데이터를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부(240)와, 상기 정보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50) 및 상기 정보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시각표시부(240)와 음성출력부(2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중앙처리장치(230)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20은 운전자가 정보표시모듈(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작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기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로, 상기 신호수신모듈(100)의 신호처리부(110)는 10GHz의 주파수를 발진하는 제1 국부발진기(112)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112)를 구동시키는 스윕전압발생기(111)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112)의 발진 주파수와 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10GHz~40GHz의 주파수를 혼합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1 혼합기(113)와, 상기 제1 혼합기(113)의 출력신호인 차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114)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 다른 소정의 주파수를 교대로 발진하는 제2 및 제3 국부발진기(115,116)와, 상기 제2 및 제3 국부발진기(115,116)의 발진신호와 제1 증폭기(114)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 혼합기(117)와, 상기 제2 혼합기(117)의 출력신호인 차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118)와, 상기 제2 증폭기(116)의 출력신호를 선별하여 통과시키는 필터(119)와, 상기 필터(119)를 통과한 신호를 검파하는 복조기(120)와, 상기 검파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21)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장치(140)는 혼 안테나를 통해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있도록 제1 내지 제3 국부발진기(112,115,116)의 구동을 제어하며 아울러 상기 신호처리부(110)와 통상의 레이저수신부(130)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정보송신부(150)를 통해 정보표시모듈(200)로 무선 송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호수신모듈(100)은 차량의 외부 앞쪽에 설치되며 차량의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정보표시모듈(200)은 정보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데이터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30)가 시각표시부(240)와 음성출력부(2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각종 교통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데, 신호수신모듈(200)에 비해 전력소비가 매우 적은 부품들로 구성됨에 따라 휴대용 배터리 또는 태양열 전지를 통해 작동이 가능하며 또한 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어 설치공간에 대한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동작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혼 안테나로부터 각종 교통정보가 포함된 10GHz~40GHz의 주파수 신호가 수신되면 중앙제어장치(140)의 제어에 따라 신호처리부(110)의 제1 국부발진기(112)가 10GHz의 주파수를 발진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제1 국부발진기(112)의 발진 주파수와 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10GHz~40GHz의 주파수가 제1 혼합기(113)에 의해 혼합되며 그 차신호인 1~2GHz의 주파수가 출력되는데, 이 차신호는 제1 증폭기(114)에 의해 증폭된다.
또한, 제1 증폭기(114)에 의해 증폭된 차신호는 제2 혼합기(117)에서 각각다른 소정의 주파수를 교대로 발진하는 제2 및 제3 국부발진기(115,116)의 발진신호와 혼합되며, 이 제2 혼합기(117)의 출력신호인 차신호인 10.7MHz의 주파수는 제2 증폭기(118)를 통해 증폭되고 필터(119)에 의해 필터링된 후, 복조기(120)를 통과하며 검파되며 AD 변환기(121)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중앙처리장치(140)로 입력된다.
한편, 중앙처리장치(140)는 혼 안테나를 통해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국부발진기(112,115,116)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처리부 (110)와 통상의 레이저수신부(130)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정보송신부(150)를 통해 390MHz의 주파수로 정보표시모듈(200)로 무선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무선 송신된 정보 데이터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정보표시모듈 (200)의 정보수신부(210)에 의해 수신되어 중앙처리장치(230)로 인가된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230)는 수신된 정보 데이터에 따라 시각표시부(240)를 구동하여 수신된 교통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출력부(250)를 구동하여 수신된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과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정보표시모듈을 분리하고, 상기 신호수신모듈과 정보표시모듈이 서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교신하도록 구성함에 따라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의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이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전력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레이더/레이저 검출기에 있어서:
    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처리부(110)와; 레이저 신호를 수신하는 레이저수신부(130)와; 상기 신호처리부(110)와 레이저수신부(130)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검출을 제어하며 검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정보 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140);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14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데이터를 무선 송신하는 정보송신부(150)로 이루어진 신호수신모듈(100)과;
    상기 신호수신모듈(100)의 정보송신부(150)로 부터 무선 송신되는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정보수신부(210)와; 수신된 정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시각표시부(240)와; 상기 정보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250); 및 상기 정보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시각표시부(240)와 음성출력부(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30)로 이루어진 정보표시모듈(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모듈(100)의 신호처리부(110)는:
    일정한 주파수를 발진하는 제1 국부발진기(112)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 (112)를 구동시키는 스윕전압발생기(111)와; 상기 제1 국부발진기(112)의 발진 주파수와 혼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주파수를 혼합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1 혼합기 (113)와; 상기 제1 혼합기(113)의 출력신호인 차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기(114)와; 각각 다른 소정의 주파수를 교대로 발진하는 제2 및 제3 국부발진기(115,116)와; 상기 제2 및 제3 국부발진기(115,116)의 발진신호와 제1 증폭기(114)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차신호를 출력하는 제2 혼합기(117)와; 상기 제2 혼합기(117)의 출력신호인 차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118)와; 상기 제2 증폭기(116)의 출력신호를 선별하여 통과시키는 필터(119)와; 상기 필터(119)를 통과한 신호를 검파하는 복조기(120); 및 상기 검파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1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모듈(200)은:
    휴대용 배터리 또는 태양열 전지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KR10-2003-0035263A 2003-06-02 2003-06-02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KR100467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263A KR100467351B1 (ko) 2003-06-02 2003-06-02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263A KR100467351B1 (ko) 2003-06-02 2003-06-02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280A KR20040103280A (ko) 2004-12-08
KR100467351B1 true KR100467351B1 (ko) 2005-01-24

Family

ID=3737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263A KR100467351B1 (ko) 2003-06-02 2003-06-02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509B1 (ko) * 2004-12-27 2007-03-13 (주)백금티앤에이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레이더 검출기
KR100781567B1 (ko) * 2007-05-02 2007-12-03 (주)윌트로닉스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레이저 및 레이더 디텍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280A (ko) 200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350B1 (ko) 지피에스 수신기가 결합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US200900729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between a primary vehicle and a secondary vehicle
KR100467351B1 (ko)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레이저 검출기
JP2008250628A (ja) レーダ探知装置
EP0884707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magnetostrictive resonator and traffic system
KR101221668B1 (ko) 발진기 온오프 기능을 구비하는 레이더 검출기
KR100986561B1 (ko) 외부 표출장비와의 연계 기능을 갖는 레이더 검출기
KR100694509B1 (ko) 리모콘 조작이 가능한 레이더 검출기
JP2006131195A (ja) タイヤ情報検出装置
TWI248520B (en) Combined radar and laser detector having GPS receiver an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030013744A (ko) 웨더 라디오가 결합된 광대역 레이더 검출기
US7205925B2 (en) Separable radar detector
KR100353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티켓 모드 설정 장치
JP2006124948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6076432A (ja) タイヤ情報検出装置
JP2008311697A (ja) 車載通信装置
KR200192729Y1 (ko) 미아방지기
JP2006131196A (ja) タイヤ情報検出装置
JPS6257097A (ja) 交差点接近車両情報伝達装置
KR100344216B1 (ko) 무선통신기기에서의 주파수 체배기 공유장치
KR200229714Y1 (ko) 차량 후방 물체 감지 시스템
JP2006142856A (ja) タイヤ情報検出装置
KR100679315B1 (ko) 레이더 및 레이저 검출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940011015B1 (ko) 3대역용 레이다 검출기
EP1657128B1 (en) Burglar alarm using power cord to transmit signal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