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521Y1 -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521Y1
KR200171521Y1 KR2019990018780U KR19990018780U KR200171521Y1 KR 200171521 Y1 KR200171521 Y1 KR 200171521Y1 KR 2019990018780 U KR2019990018780 U KR 2019990018780U KR 19990018780 U KR19990018780 U KR 19990018780U KR 200171521 Y1 KR200171521 Y1 KR 2001715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use
computer
keyboard
key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서
Original Assignee
양영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서 filed Critical 양영서
Priority to KR2019990018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5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5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5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대의 PC로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번호선택키 및 자동/수동 선택키 등의 각종 기능키로 구성되어 소정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부와, 사용중인 키보드 및 마우스의 사용중 표시를 해주는 사용중 표시부와, 더 많은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게 사용가능 대수를 확장해주는 사용자 확장포트부와, 상기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입력 경로를 선택해주는 선택부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소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부 및 각종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선택부에 의해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소정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컴퓨터부와, 상기 컴퓨터부가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해당 화면을 표시해주는 모니터부를 구비함으로써 자율적으로 팀 단위의 컴퓨터 교육을 할 수 있고 또, 이를 이용하여 많은 인원이 컴퓨터 게임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Keyboard and mouse controlling equipment for personal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대의 PC를 이용하여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의 클릭 횟수 또는 사용시간 등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자율적으로 팀 단위의 컴퓨터 교육을 할 수 있고 또, 이를 이용하여 많은 인원이 컴퓨터 게임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 대의 PC(Personal Computer)에는 마우스 및 키보드가 각각 한 개씩만 연결되어 있으나, 교육적인 목적에서 또는 게임을 하기 위한 목적에서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대의 PC에 다수의 마우스 및 키보드를 연결시킬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기계식 스위치를 이용한 키보드 마우스 셀렉터 또는 전자식 멀티 셀렉터 박스가 있으나 이들 장치들은 사용자가 일일이 리모콘 스위치나 기계적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상기 마우스나 키보드를 PC에 접속할 수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일이 리모콘 스위치나 기계적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사용자의 마우스나 키보드를 PC에 접속할 수 있었기 때문에 팀 단위의 수업에서 자율학습이 불가능하였고 반드시 특정한 사용자 즉, 교사의 지도하에서만 팀 단위의 컴퓨터 교습을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대의 PC를 이용하여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의 클릭횟수 또는 사용시간 등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자율적으로 팀 단위의 컴퓨터 교육을 할 수 있고 또는 다수의 인원으로 컴퓨터 게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사상으로서 한 대의 PC로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번호선택키 및 자동/수동 선택키 등의 각종 기능키로 구성되어 소정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부와, 사용중인 키보드 및 마우스의 사용중 표시를 해주는 사용중 표시부와, 더 많은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게 사용가능 대수를 확장해주는 사용자 확장포트부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가능하게 해주는 통신포트부와, 상기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입력 경로를 선택해주는 선택부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소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부 및 각종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선택부에 의해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소정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컴퓨터부와, 상기 컴퓨터부가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해당 화면을 표시해주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고안이 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설명>
1 : 키보드 2 : 마우스
10 : 스위치부 11 : 사용중 표시부
12 : 사용자 확장포트부 13 : 통신포트부
14 : 선택부 15 : 마이컴
16 : 컴퓨터부 17 : 모니터부
18 : 외부 네트워크 20 : 제어유니트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한 대의 PC로 다수의 키보드(1) 및 마우스(2)를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번호선택키 및 자동/수동 선택키 등의 각종 기능키로 구성되어 소정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부(10)와, 사용중인 키보드(1) 및 마우스(2)의 고유번호를 표시해주는 사용중 표시부(11)와, 더 많은 키보드(1) 및 마우스(2)를 사용할 수 있게 사용가능 대수를 확장해주는 사용자 확장포트부(12)와, 외부 네트워크(18)와 통신가능하게 해주는 통신포트부(13)와, 상기 다수의 키보드(1) 및 마우스(2)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입력 경로를 선택해주는 선택부(14)와, 상기 스위치부(10)로부터 소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부(14) 및 각종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15)과, 상기 선택부(14)에 의해 다수의 키보드(1) 및 마우스(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소정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컴퓨터부(16)와, 상기 컴퓨터부(16)가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해당 화면을 표시해주는 모니터부(1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10)로는 소정 위치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적외선 리모콘이 많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마우스(2)의 내부에는 소형 마이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컴퓨터부(16)에 탑재된 사운드 카드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음성이 오디오 신호처리된다.
또한, 상기 마이컴(15) 및 상기 선택부(14)와 그 밖의 주변 장치들은 하나의 제어유니트로 통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팀 단위로 컴퓨터 교육을 하거나 또는 컴퓨터 게임을 할 경우에 이용하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그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사용자가 적외선 리모콘 등으로 된 스위치부(10)를 조작하여 사용할 키보드(1) 및 마우스(2)의 고유번호를 선택한 후 마이컴(15)을 동작시키면 상기 마이컴(15)은 선택부(14)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소정 번호의 키보드(1) 및 마우스(2)가 선택되어 컴퓨터부(16)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선택부(14)는 다수의 키보드(1) 및 마우스(2) 중 선택된 키보드 (1) 및 마우스(2)를 상기 컴퓨터부(16)에 연결시키는 연결스위치 역할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스위치부(1)를 조작하여 자동/수동 모드 여부, 키보드 및 마우스 사용대수 등을 설정하게 되면 상기 마이컴(15)의 메모리수단에 탑재된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설정된 입력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부(14), 사용중 표시부(11), 사용자 확장포트부(12)를 제어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자동모드로 설정되면 선택된 마우스(2)의 클릭횟수 또는 사용시간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설정값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예컨데 선택된 마우스(2)의 클릭 회수가 1회로 설정된 경우에, 제 1 마우스를 한번 클릭하면 다음으로 선택된 제 2마우스로 넘어가며, 계속해서 사용중으로 설정된 모든 마우스를 1회씩 클릭한 다음에야 다시 제 1 마우스를 다시 클릭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4개의 마우스가 컴퓨터부에 접속되어 4명의 사용자가 게임을 하는 경우에 제일 먼저 클릭된 마우스를 컴퓨터부가 인식하여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고 또 다음 스테이지에서도 제일 먼저 클릭된 마우스를 컴퓨터부가 인식하여 그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는 연속과정을 거치게 프로그램화 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동모드로 설정되면 선택된 키보드(1) 및 마우스(2)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른 모드로 설정 변경을 하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인원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을 때 사용자가 스위치부(10)를 조작하여 사용권한 여부를 설정하게 되면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 중에서 사용권한이 등록된 키보드 및 마우스만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스위치부(10)의 키입력에 따라 마이컴(15)이 선택부(14)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사용권한이 부여된 키보드(1) 및 마우스(2)만이 컴퓨터부(16)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부(14)의 작동에 의해 소정 키보드(1) 및 마우스(2)가 선택되어 컴퓨터부(16)에 접속되면 상기 컴퓨터부(16)는 접속된 키보드(1) 및 마우스(2)의 고유번호 정보를 마이컴(15)에 보내주고 이를 인가받은 상기 마이컴(15)은 사용중 표시부(11)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몇 번째 키보드 및 마우스가 상기 컴퓨터부(16)에 접속되었는지 해당 마우스 및 키보드의 고유번호를 상기 사용중 표시부(11)로 표시하여 준다.
또한, 현재 설정된 사용 인원보다 더 많은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에는 사용자 확장포트부(12)를 제어하여 사용 가능한 키보드 및 마우스의 개수를 현재보다 더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마우스(2)의 내부에는 소형 마이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부(14)를 통해 컴퓨터부(16)로 입력되게 한다. 이때 상기 컴퓨터부(16)에 탑재된 사운드 카드(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음성이 오디오 신호 처리되어 각종 프로그램의 소스로 사용되게 된다.
예를들어, PC 통신으로 인터넷폰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마우스(2)에 대고 말을 하면 상기 마우스(2)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컴퓨터부(16)로 입력되고 입력된 음성이 사운드 카드에 의해 처리된 후 모뎀 등을 통해 상대방 컴퓨터로 전송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마이컴(15) 및 상기 마이컴(15)의 제어를 받는 선택부(14)와 그 밖의 주변 장치들을 하나의 제어유니트(20)로 모듈화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즉, 컴퓨터부(16)에서 통신포트부(13)를 통하여 다른 컴퓨터 또는 인터넷상의 소정 서버와 통신할 경우에 다수의 사용자가 각 키보드 및 마우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소정 키입력을 함으로써 팀 단위의 통신 교육 및 게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한 대의 PC로 다수의 키보드(1) 및 마우스(2)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번호 선택키 및 자동/수동 선택키 등의 각종 기능키로 구성되어 소정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부(10)와, 사용중인 키보드(1) 및 마우스(2)의 고유번호를 표시해주는 사용중 표시부(11)와, 더 많은 키보드(1) 및 마우스(2)를 사용할 수 있게 사용가능 대수를 확장해주는 사용자 확장포트부(12)와, 외부 네트워크(18)와 통신가능하게 해주는 통신포트부(13)와, 상기 다수의 키보드(1) 및 마우스(2)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입력 경로를 선택해주는 선택부(14)와, 상기 스위치부(10)로부터 소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부(14) 및 각종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15)과, 상기 선택부(14)에 의해 다수의 키보드(1) 및 마우스(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소정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컴퓨터부(16)와, 상기 컴퓨터부(16)가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될 때 해당 화면을 표시해주는 모니터부(17)를 구비하여,
한 대의 PC를 이용하여 다수의 키보드(1) 및 마우스(2)의 클릭 횟수 또는 사용시간 등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자율적으로 팀 단위의 컴퓨터 교육을 할 수 있고 또, 본 고안을 이용하여 많은 인원이 한 대의 PC를 이용해 컴퓨터 게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한 대의 PC로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에 있어서,
    번호선택키 및 자동/수동 선택키 등의 각종 기능키로 구성되어 소정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부와,
    사용중인 키보드 및 마우스의 사용중 표시를 해주는 사용중 표시부와,
    더 많은 키보드 및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게 사용가능 대수를 확장해주는 사용자 확장포트부와,
    상기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입력 경로를 선택해주는 선택부와,
    상기 스위치부로부터 소정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부 및 각종 주변 장치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선택부에 의해 다수의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그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소정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컴퓨터부와,
    상기 컴퓨터부가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구동됨에 따라 해당 화면을 표시해주는 모니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소정 위치에 장착 또는 분리 가능한 적외선 리모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의 내부에는 소형 마이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컴퓨터부에 탑재된 사운드 카드가 작동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 음성이 오디오 신호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를 받는 선택부와 그 밖의 주변 장치들을 하나의 제어유니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KR2019990018780U 1999-09-06 1999-09-06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KR2001715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780U KR200171521Y1 (ko) 1999-09-06 1999-09-06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780U KR200171521Y1 (ko) 1999-09-06 1999-09-06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521Y1 true KR200171521Y1 (ko) 2000-03-15

Family

ID=1958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780U KR200171521Y1 (ko) 1999-09-06 1999-09-06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5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934A (ko) * 2002-06-24 2002-07-12 심재윤 외부입출력 및 모니터,키보드,마우스의 원격제어가 가능한자동 선택 분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934A (ko) * 2002-06-24 2002-07-12 심재윤 외부입출력 및 모니터,키보드,마우스의 원격제어가 가능한자동 선택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6934B1 (en) Programmable remote devic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0441605B1 (ko)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가능한 전자기기, 전자기기의원격제어시스템 및 전자기기의 원격제어방법
KR20060097784A (ko) 컴퓨터로 표시되는 체조 안내 시스템
JP5178099B2 (ja) Kvmスイッチ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556112B (zh) 操作辅助装置、操作辅助系统以及操作辅助方法
US6313827B1 (en) Computer data re-pres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171521Y1 (ko)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US20040063086A1 (en) Interactive learning computer system
JP2003087881A (ja) 学習リモコン、リモコン機能学習システムおよびリモコン機能学習方法
KR100777178B1 (ko) 컴퓨터와 다수 무선통신단말기를 동시에 이용한 다자간인터넷게임 방법
KR101936380B1 (ko) 강의 시간 기반의 전자교탁 통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U1804200A (en) Entertainment system and recording medium
KR940025376A (ko) 통합 리모콘 제어 방법
CN115052005B (zh) 同步显示方法、同步显示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0398745Y1 (ko) 멀티미디어 회의실 통합제어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0143428B1 (ko) 볼링 자동 점수기의 1인 관리장치
KR100752298B1 (ko) 컴퓨터용 게임패드 시스템
KR100501151B1 (ko)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
JP2001249876A (ja) 3次元仮想共有空間における共有動作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3次元仮想共有空間における共有動作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WO2004068891A1 (en) Remot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display messages to display panel
JPH08129467A (ja) キャラクタ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100333725B1 (ko) 컴퓨터시스템의인터페이스회로
JP676710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434512Y1 (ko)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KR100612928B1 (ko) 음향기기의 보조 입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