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151B1 -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151B1
KR100501151B1 KR10-2003-0044492A KR20030044492A KR100501151B1 KR 100501151 B1 KR100501151 B1 KR 100501151B1 KR 20030044492 A KR20030044492 A KR 20030044492A KR 100501151 B1 KR100501151 B1 KR 100501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pulse signal
electric machine
control sig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348A (ko
Inventor
신도철
Original Assignee
신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철 filed Critical 신도철
Priority to KR10-2003-0044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1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0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간단한 명령어 등에 따라 외부적으로 연결된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 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작동 명령에 대응되도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신호 생성 수단, 모터부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전동 수단; 및 상기 펄스 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생성/전달되는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 수단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전기적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작동 명령이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인터넷 등을 통해 상호 네트워크 구성된 시스템일 경우, 본인의 컴퓨터에 입력하는 명령어를 통해 상대방의 컴퓨터에 연결된 전동 기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채팅이나 게임 등을 즐기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높은 현실감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tor-Operated Appliance Using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어 등에 따라 외부적으로 연결된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명령어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해,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지 사용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방법도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
즉, 컴퓨터 통신 서비스의 초창기에는 문자를 이용한 채팅(chatting)이 유일한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음성과 사진 및 동영상 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원격지 사용자 사이에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게임 등을 즐기며 상기의 다양한 방식들을 통해 상호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세부적인 컨텐츠가 아무리 다양화되더라도, 인간의 오감(五感) 중 시각과 청각만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탈피하지 못하는 한, 사용자들은 여전히 '시청자'에 불과하게 되어, 사용자들이 느끼게 되는 현실감이나 친밀감의 향상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채팅이나 게임 등에 있어서, 사용자들이 서로 원격지에 위치해 있더라도 보다 친밀감을 느낄 수 있고 이로 인해 더욱 현실감을 느끼게 되도록, 시/청각 이외의 감각의 전달이 가능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어 등에 따라 컴퓨터에 외부적으로 연결된 전동기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명령어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작동 명령에 대응되도록 펄스 신호를 생성하는 펄스 신호 생성 수단, 모터부를 구비하여 입력되는 전기적 제어 신호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전동 수단 및 상기 펄스 신호 생성수단으로부터 생성/전달되는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 수단의 작동 제어를 위한 전기적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작동 명령이 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컴퓨터에 입력하는 명령어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외부적으로 연결된 전동기기를 동작할 수 있게 함에 있어서,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컴퓨터의 전동기기의 제어/작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된 네트워크 컴퓨터 사용자 사이에 간단한 터치(touch) 등의 동작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채팅이나 게임 중 안마나 칭찬 등의 표현을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종래 커뮤니케이션 가능하던 시/청각적 표현 이외에 촉각적인 감각을 추가로 전달할 수 있게 하였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거나 이로 인해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의 실시 구성도 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110),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작동 명령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펄스 신호 생성 수단(120), 상기 펄스 신호 생성 수단(120)으로부터 생성된 펄스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병렬(parallel)포트(130), 상기 포트(130)를 통해 전달되는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 생성 수단(140) 및 상시 제어 신호 생성 수단(1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내부에 구비된 모터 등의 전동 수단이 제어/작동됨으로써 동작하는 전동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의 상세 기능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작동 명령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 명령은, 전문적 지식이 요구되는 프로그래밍 언어 등이 아니라, 채팅 창(窓) 등을 통해 입력 가능한, 일상 언어 수준의 쉬운 명령어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작동 명령이 컴퓨터(110)로 입력되면, 상기 컴퓨터(110)는 이를 내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펄스 신호 생성 수단(120)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이때의 작동 명령은, 사용자에 의한 신규 생성 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보다는 사전에 약정된 범위 내에서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펄스 신호 생성 수단(120)은, 시스템 관리자 등에 의해 프로그램 되어 저장된 펄스 신호의 유형 가운데, 상기 입력된 작동 명령에 대응되는 펄스 신호를 선택/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그러면, 상기 펄스 신호 생성 수단(120)에 의해 생성된 펄스 신호는, 상기 컴퓨터(110)의 병렬(parallel) 포트(130) 등을 통해 상기 제어 신호 생성 수단(140)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 생성 수단(140)은, 상기 전달된 펄스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시된 상기 도 1 에서는, 병렬포트(130)를 통해 펄스 신호가 전달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직렬(serial)포트나 USB 포트를 이용하도록 하더라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제어 신호 생성 수단(140)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적 제어 신호 역시, 상기 펄스 신호와 마찬가지로, 사전에 입력/저장된 유한개의 신호 유형 가운데 상기 전달된 펄스 신호와 대응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나, 전체 시스템의 사양이나 서비스의 목적 및 사용자의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 신호 생성 수단(1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는 상기 전동기기(150)의 모터부를 제어하여 동작의 개시/종료 및 작동 수준 등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타인의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작동 명령에 따른 상기 전동기기(150)의 작동을, 촉감을 통해, 느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동기기(150)가, 종래의 안마기 또는 어깨 등에 걸칠 수 있는 의류 등의 형태로 제작되어 안마 등의 동작을 느낄 수 있게 하거나, 장갑, 의자 등의, 시스템의 목적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2 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의 실 예시도 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를 구비한 다수의 컴퓨터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경우, 채팅창 등을 통해 명령어를 입력함으로써, 본인의 컴퓨터와 연결된 전동기기가 아닌 상대방의 컴퓨터에 연결된 전동기기의 제어/작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동기기는, 특정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한두 가지의 특정 기기에 한정되도록 하기 보다는, 모터 등의 전동부에 의해 작동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기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 경우 각각의 기기별, 제조사별 전동기기의 구동방식이 다르다면, 해당 기기의 작동을 위한 구동 프로그램 등을 별도로 구입하거나 또는 통신망 등을 통해 다운로드(download)받아 사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네트워크 컴퓨터를 이용한 채팅이나 게임 등에 있어 간단한 명령어의 입력만으로 상대방의 컴퓨터와 연결된 전동기기의 제어/작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기술적인 한계였던 시각/청각적인 서비스의 제공 이외에 추가적으로 촉각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격지의 사용지 사이에 보다 현실감과 친밀감을 높일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해, 상기 채팅이나 게임 등의 온라인 서비스와 결합되어, 영화, 광고 및 인터넷 성인 사이트 등을 통해 제공되는 성인용 서비스 등에 적용될 경우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의 일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컴퓨터 120 : 펄스 신호 생성 수단
130 : 병렬(parallel)포트 140 : 제어 신호 생성 수단
150 : 전동기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동기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유·무선 네트워크로 온-라인 연결된 어느 한 쪽의 컴퓨터에서 키보드나 마우스 조작에 의해 다른 쪽 컴퓨터로 작동명령이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작동명령에 대응하여 펄스신호가 생성되는 펄스신호생성수단;
    상기 펄스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 펄스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펄스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제어신호생성수단;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모터부의 작동이 제어되는 전동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수단은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프로그램이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장치.
KR10-2003-0044492A 2003-07-02 2003-07-02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 KR10050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492A KR100501151B1 (ko) 2003-07-02 2003-07-02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492A KR100501151B1 (ko) 2003-07-02 2003-07-02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348A KR20050004348A (ko) 2005-01-12
KR100501151B1 true KR100501151B1 (ko) 2005-07-18

Family

ID=3721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492A KR100501151B1 (ko) 2003-07-02 2003-07-02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1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348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2114B2 (ja) ハプティックフィードバック機能性を備えたチャットインターフェース
US6368268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ve virtual control of sexual aids using digital computer networks
CN104219791B (zh) 通用环境扩展器
CN105596190A (zh) 一种按摩系统及按摩器控制方法
KR100573400B1 (ko) 통신장치, 통신방법 및 통신프로그램
US20220206594A1 (en) Haptic ecosystem
JP2019037305A (ja) 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CN103845177A (zh) 按摩机操作方法、按摩机用操作器、按摩机以及按摩系统
CN101887637B (zh) 一种对设备进行遥控的方法及万能遥控器
EP1482697A3 (en) Remote service provision using a chat protocol
KR100501151B1 (ko) 컴퓨터를 이용한 전동기기 제어 장치
EP2658216A1 (en) Facilitating sharing of setting data in binary format for electronic device
KR100777178B1 (ko) 컴퓨터와 다수 무선통신단말기를 동시에 이용한 다자간인터넷게임 방법
JP7078478B2 (ja) 連動設定方法、連動用サーバ、ゲームサーバ、マネージメントサーバ及びゲームシステム
KR20030024358A (ko) 가상현실 체험시스템
Kranzlmuller et al. Voice controlled virtual reality and its perspectives for everyday life
WO2021062210A8 (en) Virtual reality behavioral health platform
CN113516974A (zh) 用于提供交互服务的方法和装置
Zhang et al. Interaction Design for Room Escape Virtual Reality Games
JP2020046666A (ja) 指点字システム及び指点字装置
KR20030021762A (ko) 인터넷을 이용한 게임 제공방법
KR100753182B1 (ko)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가상현실 체험 시스템및 그 제어 방법
KR200171521Y1 (ko) 컴퓨터용 키보드 및 마우스 제어장치
US11712397B1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online entertainment in association with an interactive adult toy
KR200356058Y1 (ko)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