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058Y1 -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 Google Patents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058Y1
KR200356058Y1 KR20-2004-0011444U KR20040011444U KR200356058Y1 KR 200356058 Y1 KR200356058 Y1 KR 200356058Y1 KR 20040011444 U KR20040011444 U KR 20040011444U KR 200356058 Y1 KR200356058 Y1 KR 200356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ata output
glove
output function
swi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영
Original Assignee
한도엠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도엠에스(주) filed Critical 한도엠에스(주)
Priority to KR20-2004-0011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은, 장갑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스위치부, 장갑을 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스위치부가 이동하면서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접점부 및 스위치부와 접점부의 어느 하나가 접점을 형성하면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여, 문자, 음성 등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장갑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성에 있어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다른 사람과 쉽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학습 혹은 오락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손동작을 이용하여 사람과 기계간의 대화가 가능한 수단과 제어 수단을 제공하여 교육적인 면에서도 효율성을 주게되어, 휴대가 간편한 장갑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 간편한 장치 제어 및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Glove with the function of outputting data}
본 고안은 손에 착용하는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음성, 문자, 문장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장갑에 관한 것이다.
근래 컴퓨터와 같은 OA 장치, 게임기와 같은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장치들을 사용하는 경우 마우스나 조이스틱과 같은 수단들을 이용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즉, 장치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 마우스 등과 같은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입력 수단들은 제한된 형태로 다양한 모습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수단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사람의 손을 입력 수단에 따른 제한적인 형태로만 동작하도록 하고 있으며, 그러한 입력 수단들은 제한된 장소에서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이다.
사람들이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의 하나로 장갑을 들 수 있다. 특히 장갑을 사용한다는 것은 장갑을 착용하고 있는 손의 동작이 요구되는 것이며, 인간의 학습을 좌우하는 소뇌의 발달은 손동작으로부터 이루어진다는 것이 교육, 행동과학, 의약계에서는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손가락의 유연성을 높이고 약력을 증강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기구와 소품들이 장갑의 기본적인 형상을 응용하여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기존에 장갑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것에 대한 출원들이 다수 되어 있으나 이는 장갑을 이용하여 간단한 소리를 출력하는데 그치고 있을 뿐이며, 다양한 형태의 출력, 예를 들면 음성, 음향, 문자 혹은 메시지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출력 방법들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음성, 문자, 문장, 메시지 표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장갑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의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을 사용하는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은, 장갑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스위치부; 상기 장갑을 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가 이동하면서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접점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접점부의 어느 하나가 접점을 형성하면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스위치부는 장갑의 엄지 손가락 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접점부는 엄지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다른 손가락 혹은 손바닥 부위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접점부마다 자소가 할당되어, 상기 스위치부와 접점부를 이용해서 접점이 형성되고 그에 따른 자소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생성된 것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출력부는 음성출력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입력되는 자소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출력부는 음성출력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마다 할당된 소정의 단어 혹은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출력부는 문자 혹은 그림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상기 데이터출력부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장갑은 소정의 방법에 따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IrDA 혹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수단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소정의 단말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와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이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수단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수단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소정의 단말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와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수단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수단에 표시된 혹은 표시될 내용을 소정의 수단에 따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장갑은 소정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수단에 표시된 혹은 표시될 내용을 제어한 결과에 따라 상기 진동수단이 진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의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장갑은 장갑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스위치부(100), 장갑을 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스위치부(100)가 이동하면서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접점부(110) 및 스위치부(100)와 접점부(110)의 어느 하나가 접점을 형성하면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120)를 포함한다.
이때에 다수의 접점을 생성하려면 장갑의 표면의 많은 부분에 닿을 수 있도록 엄지 손가락 부분을 기준으로 스위치부 및 접점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스위치부(100)는 장갑의 엄지 손가락 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복수의 접점부(110)는 엄지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다른 손가락 혹은 손바닥 부위에 위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참조번호의 간략화를 위해 복수의 접점부 중에서 두 번째 손가락인 검지의 끝 부분에 있는 접점부(110)에만 참조번호를 기재한 것이며, 검지의 다른 부분 혹은 다른 손가락이나 손바닥에 대응하는 장갑의 부분에 위치한 접점부들도 마찬가지로 존재하며 설명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접점부에 연결된 점선은 접점이 형성된 것을 데이터출력부(120)로 전달하기 위한 배선이 장갑이 표면 속에 위치한 것을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1에서는 하나의 장갑으로만 본 고안이 구성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예를 든 것이나, 예를 들면 한 켤레의 장갑 양쪽에 모두 스위치부 혹은/그리고 접점부가 존재하여 두 손을 이용해서 접점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본 고안이 요지는 유지되며, 이하의 설명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장갑을 사용하는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장갑을 이용해서 문자 입력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접점부(110)마다 자소가 할당되어, 스위치부(100)와 접점부(110)를 이용해서 접점이 형성되고 그에 따른 자소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생성된 것을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 데이터출력부(120)는 음성출력기능을 포함하여, 입력되는 자소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장갑을 이용하는 경우 20개의 접점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수의 접점들 혹은 접점들의 조합을 이용해서 접점부마다 한글 혹은 영문의 자소를 할당할 수 있다. 휴대폰의 경우 12개 정도의 자판을 이용해서 모든 한글과 영문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접점의 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용이하게 한글과 영문 그리고 숫자와 간단한 기호들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방법이 기존의 휴대폰과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형성되는 접점들에 따른 신호는 데이터출력부(120)로 전달되고, 데이터출력부(120)에 내장된 프로세서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데이터출력부(120)에 문자 혹은 기호로 표시된다. 이를 위해 데이터출력부(120)는 문자 혹은 그림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기능을 포함하며, 스위치부(100)와 복수의 접점부(110)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데이터출력부(12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화면에 문자로 출력되는 것과 무관하게 혹은 연동하여 문자가 소리 혹은 음성으로 변환되어 데이터출력부(120)가 포함하고 있는 스피커와 같은 수단을 통해 출력된다. 이를 위해 데이터출력부(120)는 장갑을 낀 손동작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접점들에 따라 문자들 혹은 데이터출력부(120)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들을 입력으로 하여 이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TTS(Text To Speech)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TTS 기능은 이미 상용화되어 동작하는 기능을 채택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자신의 의사를 다른 사람에게 간단하게 제공하는데 있어 본 고안을 더 간략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각 접점마다 혹은 접점들의 조합에 소정의 단어 혹은 문장을 할당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동작을 통해 접점 혹은 접점들의 조합을 이용해서 미리 각 경우마다 미리 할당된 단어나 문장을 할당하면 이 단어나 문장이 데이터출력부(220)의 화면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동시에 혹은 별도로 데이터출력부(220)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되게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접점이 형성되면 데이터출력부(220)의 스피커를 통해 그 접점에 대응하는 문장인 '안녕하세요'가 음성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능들을 이용하면 목소리를 내는데 있어 장애를 가진 사람도 쉽게 자신의 의사를 다른 사람에게 알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의 기능을 더욱 적극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소리 발성에 장애를 가진 사람이 물건을 사기 위해 계산대에 있는 사람에게 문의를 할 경우에 자신의 손에 착용한 장갑을 이용해서 상기와 같이 문자를 생성한 경우 장갑의 데이터출력부(120)를 계산대에 있는 사람에게 보여주는 것보다는 장갑을 이용해서 생성된 내용이 직접 계산대에 있는 사람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은 소정의 방법에 따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며, 스위치부(100)와 복수의 접점부(110)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 상대방은 물건 계산대와 같이 바로 앞에 있는 경우가 많을 것이므로 통신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IrDA 혹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도 1의 구성에 비해 다양한 요소들이 더 추가되어 있다.
도 1의 스위치부(100)는 도 2에는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접점부(210)는 도식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데이터출력부(220)는 스피커(222)와 화면(224)을 포함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른 내용을 문자나 음성으로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통신수단(230)이 도 1의 장갑에 추가되어 있다. 도 2에서 통신수단(230)은 무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이며,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본 고안의 요지는 그대로 유지된다.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용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연결할 수도 있을 것이며, USB 혹은 RS-232C의 규격에 따라 직렬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외에도 상기에 언급된 방법 외에도 통신수단(230)은 다양한 유무선 규격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접점들로 생성되는 내용은 계산대에 있는 상대방이 볼 수 있는 단말기로 전달되어 직접 상대방에게 전송될 수 있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이를 위해 통신수단(230)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상대방이 이용할 수 있는 소정의 단말수단(240)에 연결되며, 스위치부(100)와 복수의 접점부(110, 210)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이 통신수단(230)을 통해 상대방의 단말수단(240)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갑을 이용하는 사람이 손동작을 통해 접점을 형성하면 그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메시지는 계산대에 있는 사람이 볼 수 있는 단말수단(240)에 바로 표시되므로 발성에 문제가 있는 사람 혹은 서로간에 약간의 거리가 있어서 목소리 전달이 곤란한 경우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통신수단(230)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소정의 단말수단에 연결되며, 스위치부(100)와 복수의 접점부(110)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통신수단(230)을 통해 상기 단말수단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수단에 표시된 혹은 표시될 내용을 소정의 수단에 따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은 소정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수단(2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수단에 표시된 혹은 표시될 내용을 제어한 결과에 따라 진동수단(250)이 진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을 사용하는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갑(300)은 예를 들면 게임기(310)와 같은 장치를 통해 TV 혹은 모니터와 같은 단말수단(320)과 연결되어 있다.
게임기(310)가 단말수단(320)에 게임의 한 장면 예를 들면 4가지 아이템을 단말수단(320)의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이 중의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장갑(300) 사용자는 1-4의 숫자 중에서 원하는 숫자에 대응하는 접점을 형성하면, 이 숫자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장갑(300)에 내장된 통신수단(230)을 통해 게임기(310) 혹은 단말수단(320)으로 전달되어 4가지 아이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또는 단말수단(320)에 표시된 커서를 장갑(300)의 접점을 생성하여 움직하게 하여 원하는 아이템을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무선 혹은 유선의 통신 수단을 통해 선택하는 것은 유선 혹은 무선의 마우스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임기(310)는 본 고안에 따른 장갑(300)을 통해 게임에 대한 제어를 한다는 것을 미리 알고 있어야 하며, 그에 대한 지원을 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10의 장치가 게임기가 아니라 학습에 관련된 내용을 이용할 수 있는 학습기인 경우, 단말수단(320)의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내용들을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이 중에서 하나를 정답으로 선택하게 하게 할 수 있다. 이때에 사용자가 정답을 선택하는 경우와 아닌 경우를 사용자에게 화면에 표시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 예를 들면 진동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답 혹은 오답이라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학습기(310)는 본 고안에 따른 장갑에 진동을 생성할 수 있는 신호를 전송하고 통신수단(230)은 이를 수신하여 진동수단(250)에 전달하고, 진동수단(250)은 이 신호를 받아 장갑에 진동을 주어 사용자가 선택한 것이 정답인가 혹은 오답인가를 알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을 이용해서 진동을 통해 게임 혹은 학습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은 게임, 학습에는 물론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모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본 고안에 따른 장갑(300)이 게임기(310)를 통해 단말수단(320)에연결되는 것은 하나의 구성예이며, 장갑(300)이 유선을 통해 직접 단말수단(320)에 연결되고 게임기(310)는 별도로 단말수단(320)에 연결될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혹은 유선이 아닌 무선의 형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도 자명한 것이다.
도면들에도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은 장갑에 포함된 도 2에 표시된 각 구성 요소들을 구현하는 전기, 전자 소자들이 동작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같은 전원 공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어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고안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의 예들 외에도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 태양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각 단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은, 장갑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스위치부, 장갑을 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스위치부가 이동하면서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접점부 및 스위치부와 접점부의 어느 하나가 접점을 형성하면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여, 문자, 음성 등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장갑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성에 있어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다른 사람과 쉽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학습 혹은 오락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손동작을 이용하여 사람과 기계간의 대화가 가능한 수단과 제어 수단을 제공하여 교육적인 면에서도 효율성을 주게되어, 휴대가 간편한 장갑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 간편한 장치 제어 및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장갑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스위치부;
    상기 장갑을 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가 이동하면서 접점을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접점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접점부의 어느 하나가 접점을 형성하면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장갑의 엄지 손가락 끝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접점부는 엄지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다른 손가락 혹은 손바닥 부위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점부마다 자소가 할당되어, 상기 스위치부와 접점부를 이용해서 접점이 형성되고 그에 따른 자소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생성된 것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데이터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출력부는 음성출력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입력되는 자소에 대응하는 데이터에 따른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출력부는 음성출력기능을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마다 할당된 소정의 단어 혹은 문장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포함하는 장갑.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출력부는 문자 혹은 그림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상기 데이터출력부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방법에 따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IrDA 혹은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소정의 단말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와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이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수단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소정의 단말수단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부와 복수의 접점부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점에 따라 생성되는 내용을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수단으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수단에 표시된 혹은 표시될 내용을 소정의 수단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11. 제10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수단에 표시된 혹은 표시될 내용을 제어한 결과에 따라 상기 진동수단이 진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KR20-2004-0011444U 2004-04-24 2004-04-24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KR200356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444U KR200356058Y1 (ko) 2004-04-24 2004-04-24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444U KR200356058Y1 (ko) 2004-04-24 2004-04-24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465A Division KR20050103064A (ko) 2004-04-24 2004-04-24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058Y1 true KR200356058Y1 (ko) 2004-07-14

Family

ID=4934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444U KR200356058Y1 (ko) 2004-04-24 2004-04-24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0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99B1 (ko) 2005-09-29 2007-07-27 이성일 장갑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101045384B1 (ko) 2008-08-11 2011-06-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KR20190097789A (ko) * 2018-02-13 2019-08-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전과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웨어러블 입출력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99B1 (ko) 2005-09-29 2007-07-27 이성일 장갑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101045384B1 (ko) 2008-08-11 2011-06-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KR20190097789A (ko) * 2018-02-13 2019-08-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전과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웨어러블 입출력 장치
KR102178160B1 (ko) * 2018-02-13 2020-11-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전과 정전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웨어러블 입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ussenmeyer et al. Accessible touchscreen technology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 survey
Karam A taxonomy of gestures in human computer interactions
JP4975634B2 (ja) データを制御し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EP1244003A2 (en) Information input system using bio feedback and method thereof
KR20050021500A (ko) 휴대용 컴퓨터 대화형 장치
EP2784693A1 (en) Translation device, translation system, translation method and program
Heo et al. No Need to Stop What You're Doing: Exploring No-Handed Smartwatch Interaction.
US20230195306A1 (en) Software for keyboard-less typing based upon gestures
KR20020069694A (ko) 압력이 궤환되는 공간 키보드 시스템 및 그 정보 입력 방법
McAdam et al. Distal tactile feedback for text entry on tabletop computers
Sziebig et al. Vibro-tactile feedback for VR systems
KR200356058Y1 (ko)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de Jesus Oliveira et al. Assessment of an articulatory interface for tactile intercommunication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JP2005518585A (ja) 移動端末機用文字入力システムとこれを用いた移動端末機
Boster et al. When you can't touch a touch screen
KR20050103064A (ko)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Witt User interfaces for wearable computers
KR20010110615A (ko) 피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정보입력장치와 이를이용한 이동정보처리장치와 컴퓨터와 이동통신기기
KR20140007545A (ko)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24296A (ko) 여섯 키를 이용한 알파벳 및 한글 매핑 방법
WO2019073490A1 (en) 3D MOUSE AND ULTRA-FAST KEYBOARD
Witt Human-computer interfaces for wearable computers
Willms et al. Pull Outperforms Push as Vibrotactile Wristband Feedback for Mid-Air Gesture Guidance
WO202119342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7371820B1 (ja) アニメーション操作方法、アニメーション操作プログラム及びアニメーション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