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384B1 -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 Google Patents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384B1
KR101045384B1 KR1020080078374A KR20080078374A KR101045384B1 KR 101045384 B1 KR101045384 B1 KR 101045384B1 KR 1020080078374 A KR1020080078374 A KR 1020080078374A KR 20080078374 A KR20080078374 A KR 20080078374A KR 101045384 B1 KR101045384 B1 KR 10104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terminal
vibrator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9686A (ko
Inventor
이동건
김준기
심영준
이장명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384B1/ko
Publication of KR2010001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4Devices for conversing with the deaf-bli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자정보 단말기에 RF 통신기술을 접목시켜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도착 안내와 같은 정보를 알려줄 수 있게 하고, 또한 생활에 꼭 필요한 날씨, 시간, 뉴스 등의 정보들도 쉽게 얻을 수 있게 하여 시청각장애인들의 실생활에 도움과 부가적인 편리함을 주기위한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점자정보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의 구현을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가 시청각장애인의 신체 일부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의 점자형태의 진동을 통해 점자정보를 시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는 부착형 단말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점자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부착형 단말기에 장착된 각 진동자를 점자의 각 점으로 사상시켜 진동시키는 중앙 단말기를 포함하는데 있다.
점자, 시청각장애인, RF 통신, RFID 태그, 점자용 도트

Description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The Braille Unit using RF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점자 출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손의 장갑의 특정 위치에 진동모터를 장착하여 문자정보를 점자정보로 표현하여 시청각장애인에게 제공하는 휴대가 가능한 점자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 시각장애인의 숫자가 약 18만 명에 육박하고 있는 상황에서(보건복지부, 2005년도 3분기 장애인 등록현황, www.mohw.go.kr / 2005.11.23) 공공시설의 음성서비스 및 점자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시각장애인이 익숙하지 않은 환경에는 행동을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21세기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수많은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지만 시각장애인은 대부분의 정보 습득을 청각에만 의존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어, 시각 장애인들은 이러한 정보화시대에 따른 수많은 정보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않은 많은 시청각 장애인의 경우는 이러한 점자서비스는 물론 음성서비스를 통한 최소한의 정보 습득조차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고 있다.
한편,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서비스는 정보의 전달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정보를 함께 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렇다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시각장애인이 이어폰을 이용한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는 외부 음향의 차단으로 인해 시각장애인에게 더욱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전자적인 방법을 이용해 점자를 표시하고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응용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공공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점자 정보 단말기를 구성하게 되었다.
현재 점자를 동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장치는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를 응용한 점자 노트북도 개발되고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크기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지고, 핀을 움직여야 하는 구조상 전력 소모가 많아, 장시간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미 기기에 저장된 정보만 전달 가능하고, 주위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이 불가능하여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쓰이기는 어렵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을 갖는 기존 제품도 구입을 결정하기 힘들만큼 고가에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시청각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제품들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실생활의 사용에서 불편함이 없고, 저가로 구현 가능한 점자정보 단말기의 구현이 시청각장애인들에게 절실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점자정보 단말기에 RF 통신기술을 접목시켜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도착 안내와 같은 정보를 알려줄 수 있게 하고, 또한 생활에 꼭 필요한 날씨, 시간, 뉴스 등의 정보들도 쉽게 얻을 수 있게 하여 시청각장애인들의 실생활에 도움과 부가적인 편리함을 주기위한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전력의 진동모터를 장착한 소형의 점자정보 단말기를 제작하여 시청각장애인이 간편하게 장시간 휴대가 가능한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위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도록 제공하여 시청각장애인들의 실생활을 보다 편리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청각장애인이 평소에 점자를 습득하고 있으므로, 진동신호를 점자를 이용한 점화방법에 적용하여 시청각장애인이 점자가 접목된 진동신호를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인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특징은 점자정보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의 구현을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가 시청각장애인의 신체 일부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의 점자형태의 진동을 통해 점자정보를 시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는 부착형 단말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점자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부착형 단 말기에 장착된 각 진동자를 점자의 각 점으로 사상시켜 진동시키는 중앙 단말기를 포함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 단말기로 입력되는 문자신호, RF 신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손가락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장갑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와, 손가락 위에 혹은 손가락 아래쪽의 상기 부착부에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와, 상기 중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허리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벨트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와, 상기 중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팔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토시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와, 상기 중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형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의 구현을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와, 상기 제 1 진동부가 시청각장애인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부착부와, 장착된 버튼의 터치를 통해 미리 지정된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제 1 버튼 입력부와, 상기 중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버튼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중앙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선택적 터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상응하는 점자신호를 입력하는 제 2 버튼 입력부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 또는 입력되는 점자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과 상기 부착형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구축하는 제 2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선택적 터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상응하는 점자신호를 입력하는 제 2 버튼 입력부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점자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점자신호를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과 상기 부착형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구축하여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점자신호를 부착형 단말기의 제 1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 2 무선 통신부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 단말기는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의 각 버튼과 접촉되어, 각 버튼의 터치와 동시에 터치된 버튼과 접촉된 해당 진동자를 진동시키는 제 2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진동부는 적어도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에 구비된 버튼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진동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청각 장애인들이 실생활에서 보다 다양한 많은 정보들을 간편하게 습득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점자 출력 단말기를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그에 따른 제조비용 절감은 물론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자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점자를 표시하고 전달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에게 공공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휴대형 단말기에 RF 통신 기술을 접목시켜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도착안내와 같은 정보를 점자와 음성으로 알 려줄 수 있게 하고, 또한 생활에 꼭 필요한 날씨, 시간, 뉴스 등의 정보들로 쉽게 얻을 수 있게 하여 시청각장애인들에게 실생활에 도움을 주고, 부가적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에 불편함이 없고, 저가로 구현 가능하여 더욱 많은 시청각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은 이하에서 점자 정보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청각장애인으로 한정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자를 시청각장애인으로 한정하여 기재한 것일 뿐이므로, 시청각장애인인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에게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점자(braille)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점자용 도트(dot)를 이용하여 문자의 초성, 모음, 종성, 그리고 사전에 약정된 약자 및 숫자 등을 각각 표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6개의 점자용 도트(이하 “점자용 도트”라 칭함)와 동일한 형상으로 다수개의 진동자를 형성하 고, 이렇게 형성된 진동자의 진동을 점자용 도트와 1대 1로 사상시켜 진동시킴으로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점자용 도트와 동일하게 문자의 초성, 모음, 종성, 그리고 사전에 약정된 약자 및 숫자 등을 각각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와 같이, 점자정보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의 구현을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가 시청각장애인의 신체 일부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의 점자형태의 진동을 통해 점자정보를 시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는 부착형 단말기(100)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음성, 문자, 무선신호 등)를 점자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부착형 단말기(100)에 장착된 각 진동자를 점자의 각 점으로 사상시켜 진동시키는 중앙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 입력되는 모든 신호의 정보를 말한다. 즉,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 단말기로 입력되는 문자신호 및 RF 신호는 물론,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상대방이 직접 육성으로 전달하는 음성신호까지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 는 도 2의 부착형 단말기 외부 형상에 따른 다양한 구조를 갖는 실시예들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3 은 장갑 형으로 구성된 부착형 단말기의 제 1 실시예이고, 도 4 는 벨트 형으로 구성된 부착형 단말기의 제 2 실시예이고, 도 5 는 토시 형으로 구성된 부착형 단말기의 제 3 실시예이다. 참고로, 상기 부착형 단말기의 형상은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 어디라도 접촉이 용이하도 록 형성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부착형 단말기의 형상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장갑 형으로 구성된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손가락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장갑형태로 형성된 부착부(120)와, 검지, 중지, 약지 부분의 손가락 위에 혹은 손가락 아래쪽의 부착부(120)에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110)와, 손목 부분에 손목 띠의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110)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착부(120)에 형성되는 진동자는 손가락뿐만 아니라 손바닥 혹은 손등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부착부(120)에 장착된 진동자의 형상이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에 요지가 있는 것이므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진동자의 장착위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벨트 형으로 구성된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허리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벨트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120)와, 상기 부착부(120)에 점자형 도트 형상이 가로 방향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110)와, 벨트형의 부착부(120)의 양 끝을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구현되며,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110)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5와 같이 토시 형으로 구성된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팔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토시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120)와, 상기 부착부(120)에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110)와, 손목 부분에 손목 띠의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110)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도 6 은 도 2의 부착형 단말기의 기능적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과 같이, 부착형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의 구현을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200)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110)와, 상기 제 1 진동부(110)가 시청각장애인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부착부(120)와, 장착된 버튼의 터치를 통해 미리 지정된 기능(진동제어, 통신제어, 전원 온/오프, 재실행 등)을 실행시키는 제 1 버튼 입력부(140)와,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110)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버튼 입력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7 은 도 2의 중앙 단말기의 외부 형상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7과 같이, 중앙 단말기(200)는 점자형 도트 형상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선택적 터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상응하는 점자신호를 입력하는 제 2 버튼 입력부(210)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 또는 입력되는 점자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중앙 단말기(200)는 외부와의 무선 통신과 상기 부착형 단말기(100)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구축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 통신부(130)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점자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 2 무선 통신부(230)를 더 포함한다.
도 8 은 도 2의 중앙 단말기의 기능적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과 같이, 중앙 단말기(200)는 점자형 도트 형상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선택적 터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상응하는 점자신호를 입력하는 제 2 버튼 입력부(210)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점자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210)에서 입력되는 점자신호를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변환부(220)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과 상기 부착형 단말기(100)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구축하여 상기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점자신호를 부착형 단말기(100)의 제 1 무선 통신부(130)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문자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 2 무선 통신부(230)와, 상기 변환부(220)에서 변환된 음성신호 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 입력되는 모든 신호의 정보를 말한다. 즉, 제 2 무선통신망(230)을 통해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 입력되는 문자신호 및 RF 신호는 물론,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상대방이 직접 육성으로 전달하는 음성신호까지도 포함한다. 참고로,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무선통신망(230)에 추가로 마이크를 구비함으로서 구현이 가능하며,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기술은 공지된 기술로 이에 따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중앙 단말기(200)는 도 9와 같이,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210)의 각 버튼(211)과 접촉되어, 버튼(211)의 터치와 동시에 터치된 버튼(211)과 접촉된 해당 진동자(251)를 진동시켜 버튼(211)의 터치를 수행한 시청각장애인에게 터치됨을 감지시키는 제 2 진동부(25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진동부(250)는 적어도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210)에 구비된 버튼(211)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더 많은 진동자(25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부착형 단말기(100)와 중앙 단말기(2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상기 부착형 단말기(100)의 형상에 상기 중앙 단말기(200)의 각 기능들이 추가되거나, 또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의 형상에 상기 부착형 단말기(100)의 각 기능들이 추가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시청각장애인은 부착형 단말기(100)를 신체에 착용하고, 중앙 단말기(200)를 동작시켜 제 2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음성, 문자, 무선신호 등)를 입력받는다(S10). 이때,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 입력되는 모든 신호의 정보를 말한다. 즉, 제 2 무선통신망(230)을 통해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 입력되는 문자신호 및 RF 신호는 물론,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상대방이 직접 육성으로 전달하는 음성신호까지도 포함한다.
이어 상기 중앙 단말기(200)는 변환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되는 정보를 점자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한 후(S20), 변환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는(S30) 음성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하고(S40), 상기 변환된 신호가 점자신호인 경우는(S30) 제 2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부착형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50). 이때 상기 변환되는 점자신호는 도 1에서 구현하고 있는 점자형 도트에 기반하여, 점자로 표현할 수 있는 문자(한글, 영어, 숫자, 기호 등)를 6비트의 점자 정보의 연속으로 변환되는 신호로서, 입력되는 정보에 상응하는 내용으로 부착형 단말기(100)에 구비된 제 1 진동부(110)의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라 할 수 있다. 참고로 변환부(220)는 문자정보를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정보로 바꾸는 프로그램이 장착하고 있으며, 본 프로그램은 한글의 경우 점 자는 초성, 중성, 종성으로 점자가 따로 구성되기 때문에, 조합형 한글을 점자 정보로 바꾸는 것이 용이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PC에서 완성형 한글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먼저 이를 조합형으로 바꾼 후 점자 정보로 바꾸도록 프로그래밍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형 단말기(100)는 상기 중앙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점자신호를 기반으로 점자의 돌출된 점과 돌출되지 않은 점을 제 1 진동부(110)의 특정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온/오프로 사상시켜 진동시킴으로써, 이를 착용하고 있는 시청각장애인에게 외부에서 입력된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S60).
도 11 및 도 12 는 외부 신호의 형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들이다.
도 11과 같이, 위험 지역에 RFID 태그(410) 형태의 송신 장치를 달아, 위험 지역임을 송신하면, 점자 정보단말기는 이를 수신하여 위험 지역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위 사물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시청각장애인이 제 1 버튼 입력부(140)를 통해 장착된 버튼을 터치하여 미리 지정된 주변 검색 실시 기능을 수행하면, 주위 사물에 장착된 RFID 태그를 검색하여, 진동자의 진동을 통한 점자신호로 사물의 이름과 거리등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RFID 태그와의 거리는 RFID 태그가 보낸 신호의 강도인 수신 시그널의 강도(Receiving Signal Strength Indicator : RSSI)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알 수 있다. 즉, 두 객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더 큰 값이 출력되는 원리를 이용해 객체와의 거리를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버스에 상기 RFID 태그를 장착되면, 시청각장애인은 점 자정보 단말기를 통해 버스가 현재 몇 번 버스가 들어왔는지 알 수 있으며, 횡단보도의 신호등에 상기 RFID 태그가 장착되면, 동일한 방법으로 신호등이 파란불인지 빨간불인지도 알 수 있다.
이처럼 위에서 기재된 구성을 갖는 점자정보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 RFID 태그를 적용하면, 지하철, 택시 등의 대중교통 수단은 물론 시각적으로만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광고물, 거리 정보, 가계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시청각장애인들도 받아들일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시청각장애인은 부착형 단말기(100)를 신체에 착용하고, 중앙 단말기(200)를 동작시킨 후, 중앙 단말기(200)의 제 2 버튼 입력부(210)를 통해 외부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을 점자신호로 입력한다(S100). 이때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21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6개의 점자형 도트 형상을 갖는 버튼을 구비하여, 시각 장애인들에게 점자용 도트와 동일하게 문자의 초성, 모음, 종성, 그리고 사전에 약정된 약자 및 숫자 등을 각각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중앙 단말기(200)는 변환부(220)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되는 점자정보를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한 후(S110), 변환된 신호가 음성신호인 경우는(S120) 음성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하고(S130), 상기 변환된 신호가 문자신호인 경우는(S140) 제 2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S140). 상기 외부 단말기는 다른 시청각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점자정보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일반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기 일반용 단말기는 도 1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바 타입의 휴대폰과 비슷한 형태로 구성되며, 표시부(310) 및 제 3 버튼 입력부(320)를 구비한다. 참고로 상기 일반용 단말기(300)는 휴대폰, PDA 등과 같이 표시부와 입력부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용 단말기(300)와 점자정보 단말기 간의 통신방식은 통상의 문자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방식이 그대로 이용된다.
한편, 상기 제 3 버튼 입력부(320)는 일반인이 익숙한 휴대폰 입력방식의 키입력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10)는 LCD로 구성되어, 상기 점자정보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신호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변환된 문자신호가 제 2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 단말기가 일반용 단말기(300)인 경우는 일반용 단말기(300)의 표시부(310)로 해당 문자를 표시하고(S170), 상기 변환된 문자신호가 제 2 무선 통신부(230)를 통해 전송되는 외부 단말기가 점자정보 단말기인 경우는 상기 도 10의 과정(S10 ~ S60)을 수행한다.
아울러, 일반인이 시청각장애인에게 문자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일반용 단말기(300)의 제 3 버튼 입력부(320)를 통해 해당 문자를 입력하고, 입력한 문장을 전송하면 점자정보 단말기에서는 이를 외부 정보로 인식하고 상기 도 10의 과정(S10 ~ S60)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점자(braille) 구성표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 내지 도 5 는 도 2의 부착형 단말기 외부 형상에 따른 다양한 구조를 갖는 실시예
도 6 은 도 2의 부착형 단말기의 기능적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도 2의 중앙 단말기의 외부 형상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
도 8 은 도 2의 중앙 단말기의 기능적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9 는 도 2 은 중앙 단말기의 제 2 버튼부와 제 2 진동부의 상세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 및 도 12 는 외부 신호의 형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일반용 단말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부착형 단말기 110 : 진동부
120 : 부착부 130 : 제 1 무선 통신부
140 : 제 1 버튼 입력부 200 : 중앙 단말기
210 : 제 2 버튼 입력부 211 : 버튼
220 : 변환부 230 : 제 2 무선 통신부
240 : 음성 출력부 250 : 제 2 진동부
251 : 진동자 300 : 일반용 단말기
310 : 표시부 320 : 제 3 버튼 입력부
400 : 외부장치 410 : RFID 태그

Claims (10)

  1. 점자정보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의 구현을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가 시청각장애인의 신체 일부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의 점자형태의 진동을 통해 점자정보를 시청각장애인에게 전달하는 부착형 단말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점자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부착형 단말기에 장착된 각 진동자를 점자의 각 점으로 사상시켜 진동시키는 중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을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버튼을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선택적 터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상응하는 점자신호를 입력하는 제 2 버튼 입력부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점자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점자신호를 문자신호 및 음성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외부와의 무선 통신과 상기 부착형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 채널을 구축하여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점자신호를 부착형 단말기의 제 1 무선 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 2 무선 통신부와,
    상기 변환부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 단말기로 입력되는 문자신호, RF 신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손가락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장갑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와,
    손가락 위에 혹은 손가락 아래쪽의 상기 부착부에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에서 입력되 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와,
    상기 중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허리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벨트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와,
    상기 중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형 단말기는
    시청각장애인의 팔에 접촉되도록 착용할 수 있는 토시 형태로 형성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에 점자형 도트 형상으로 구현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 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와,
    상기 중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자 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에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형 단말기는
    점자형 도트 형상의 구현을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이 장착된 진동자 포함하고 상기 중앙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진동자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 1 진동부와,
    상기 제 1 진동부가 시청각장애인의 신체 일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부착부와,
    장착된 버튼의 터치를 통해 미리 지정된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키는 제 1 버튼 입력부와,
    상기 중앙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 1 진동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 1 버튼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중앙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 1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단말기는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의 각 버튼과 접촉되어, 각 버튼의 터치와 동시에 터치된 버튼과 접촉된 해당 진동자를 진동시키는 제 2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진동부는 적어도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에 구비된 버튼의 개수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 2 버튼 입력부에 구비된 버튼의 개수보다 더 많은 진동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KR1020080078374A 2008-08-11 2008-08-11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KR101045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374A KR101045384B1 (ko) 2008-08-11 2008-08-11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374A KR101045384B1 (ko) 2008-08-11 2008-08-11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686A KR20100019686A (ko) 2010-02-19
KR101045384B1 true KR101045384B1 (ko) 2011-06-30

Family

ID=4208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374A KR101045384B1 (ko) 2008-08-11 2008-08-11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3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828B1 (ko) * 2012-09-12 2014-02-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장갑형 진동식 점자 출력 장치
KR101840027B1 (ko) * 2016-10-25 2018-03-19 주식회사 닷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5874A (ko) * 2016-10-25 2018-05-04 주식회사 닷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058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어마이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56058Y1 (ko) 2004-04-24 2004-07-14 한도엠에스(주)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US20060134586A1 (en) 2004-12-21 2006-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ctile interface system
KR20070059239A (ko) * 2005-12-06 2007-06-12 이성일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8333A (ko) * 2006-08-24 2008-02-28 전자부품연구원 시각 장애인용 신호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등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058A (ko) * 2001-12-27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어마이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56058Y1 (ko) 2004-04-24 2004-07-14 한도엠에스(주) 데이터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장갑
US20060134586A1 (en) 2004-12-21 2006-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ctile interface system
KR20070059239A (ko) * 2005-12-06 2007-06-12 이성일 장갑을 이용한 점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18333A (ko) * 2006-08-24 2008-02-28 전자부품연구원 시각 장애인용 신호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호등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828B1 (ko) * 2012-09-12 2014-02-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장갑형 진동식 점자 출력 장치
KR101840027B1 (ko) * 2016-10-25 2018-03-19 주식회사 닷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5874A (ko) * 2016-10-25 2018-05-04 주식회사 닷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463030B1 (ko) * 2016-10-25 2022-11-07 주식회사 닷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686A (ko) 201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6947B2 (en) Finger keypad system and method
US20060134586A1 (en) Tactile interface system
US103722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Braille
US7393149B2 (en) Compact input device for entering data
KR101045384B1 (ko)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van der Bie et al. Communicating multimodal wayfinding message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via wearables
RU265144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ёма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посредством шрифта брайля
KR101695953B1 (ko) 시각 장애인의 안내를 위한 비콘 스피커 및 그 방법
KR20080050705A (ko) 휴대형 단말기의 수신 정보 알림 방법
KR100796335B1 (ko) 입력수단의 모르스부호 입력 구조 및 입력 방법
Bekiaris et al. Elderly and disabled travelers needs in infomobility services
JP2002117480A (ja) 移動支援装置
JP2002232944A (ja) 携帯型通信端末、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該通信中継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08288376A (zh) 一种具有蓝牙提醒功能的聋人用公交报站器
CN204557378U (zh) 一种实时交互系统
JPH09248315A (ja) 盲ろう者向け携帯用小型無線バイブレータ装置
KR20180121306A (ko) 전도성 섬유 손목 키보드
Julian Wearable messaging de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US912853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04094721A (ja) 携帯電話装置
JP2007256771A (ja) 点字情報の認識方法とその認識方法を備えた点字情報伝達盤およびその点字情報伝達盤を備えた点字対応携帯電話端末。
KR100501896B1 (ko)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
JPH10190488A (ja) 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並びに点字時計
KR20040049937A (ko) 장애인을 위한 휴대폰
CN107786912B (zh) 耳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