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030B1 -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030B1
KR102463030B1 KR1020180027698A KR20180027698A KR102463030B1 KR 102463030 B1 KR102463030 B1 KR 102463030B1 KR 1020180027698 A KR1020180027698 A KR 1020180027698A KR 20180027698 A KR20180027698 A KR 20180027698A KR 102463030 B1 KR102463030 B1 KR 102463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oarding
location
sto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874A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392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4002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8002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0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로부터 버스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에 대한 버스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버스 정보 획득부; 사용자 단말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 접근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탑승 희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탑승 희망 정보를 상기 버스 운행 정보와 매칭하여 탑승 버스를 결정하는 탑승 버스 결정부; 상기 탑승 버스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탑승 위치 제공부; 결정된 상기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정차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탑승 버스의 버스 단말에 제공하는 정차 위치 제공부; 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US RIDE}
본 발명은,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탑승 희망 버스에 대한 탑승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탑승 위치에 대응되는 정차 위치를 버스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비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여 버스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일상 생활에서 대중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기반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나 터치 위치의 파악이 어려워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소리나 촉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 절실한 상황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특허문헌 1) KR 10-2014-0138510 A (버스 정보 시스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탑승 희망 버스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탑승 위치에 대응되는 정차 위치를 버스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는 비시각적 방법으로 버스를 탑승할 위치를 안내하고, 버스 운전기사에게는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해 버스가 정차해야할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로부터 버스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에 대한 버스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버스 정보 획득부; 사용자 단말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 접근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탑승 희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탑승 희망 정보를 상기 버스 운행 정보와 매칭하여 탑승 버스를 결정하는 탑승 버스 결정부; 상기 탑승 버스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탑승 위치 제공부; 결정된 상기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정차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탑승 버스의 버스 단말에 제공하는 정차 위치 제공부; 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 버스 결정부는, 상기 탑승 희망 정보와 상기 버스 운행 정보의 버스 번호를 매칭하여, 일치하는 버스 번호를 갖는 버스 중에서, 현재 위치가 상기 버스 정거장과 가장 가까운 버스를 탑승 버스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 버스 결정부는, 상기 탑승 희망 정보와 상기 버스 운행 정보의 버스 번호를 매칭하여, 일치하는 버스 번호를 갖는 버스 중에서, 상기 버스 정거장으로의 도착 예정 시간이 가장 빠른 버스를 탑승 버스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거장에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차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탑승 위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차 위치 중 하나를 상기 탑승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 버스가 상기 정차 위치에 정차할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예상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도착 시간 산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스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으며, 상기 버스 단말이 설치된 버스의 버스 번호와 상기 탑승 희망 정보의 버스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오탑승 신호를 제공하는 오탑승 알림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 위치 제공부는, 상기 탑승 버스가 상기 정차 위치에 정차하지 못하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탑승 버스가 정차 가능한 위치를 분석하여 수정된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정된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 위치 제공부는, 상기 탑승 위치에 상기 탑승 버스가 정차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탑승 버스가 실제 정차한 위치를 수정된 탑승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정된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 위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상기 탑승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탑승 버스 결정부는, 상기 탑승 희망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버스 운행 정보를 갖는 버스들 중에서 상기 탑승 버스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제공한 후 상기 탑승 버스가 상기 정차 위치에 정차하기 전에 상기 버스 정거장에 정차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의 버스 단말에, 상기 정차 위치에 기초하여 정차 제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보는 상기 버스 단말이 설치된 버스의 번호 및 현재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탑승 희망 버스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 위치로 상기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는 촉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로 통신하는 별도의 2 개의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는 서로 다른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로부터 버스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에 대한 버스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접근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탑승 희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탑승 희망 정보를 상기 버스 운행 정보와 매칭하여 탑승 버스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탑승 버스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정차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탑승 버스의 버스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적 정보를 활용하기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버스 탑승 위치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스 정거장에서 사용자의 탑승 위치가 결정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는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정보 안내 방법의 실행 순서를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 상기 버스 단말(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탑승 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버스 단말(200)에 정차 위치를 제공하는 서버(100), 그리고 버스 단말(200), 사용자 단말(300) 및 서버(1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노면 상에 위치한 버스 정거장에 정차하여 승객을 탑승시키며 지하철과 같이 정해진 위치가 아닌 버스 정거장 주변의 가능한 공간에 정차하여 승객을 탑승시키므로, 시각 장애인이 버스 정차 위치를 알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부 버스정거장에서는 버스 도착 안내 정보를 청각 신호로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곧 도착 예정인 버스의 번호를 알려줄 뿐이어서 시각 장애인이 어디에서 버스를 탑승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웠다. 특히, 버스가 동시에 여러 대 도착할 경우 정차한 버스들을 구별하기 어려워 시각 장애인은 원하는 버스에 탑승하기 위해 주변의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시각 장애인은 버스보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하 혹은 지상으로 이동해야 하는 다른 어려움이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의 서버(100)는, 버스 단말(200)들로부터 버스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을 감지하여 탑승 희망 정보를 수신하고, 탑승 희망 정보와 버스 정보를 매칭하여 탑승 버스를 결정하며, 탑승 버스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그 탑승 위치를 버스의 정차 위치로 안내하도록 하여, 시각 장애인이 타인의 도움 없이도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100)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버스 정보 획득부(110), 사용자 단말 감지부(120), 탑승 버스 결정부(130), 탑승 위치 제공부(140) 및 정차 위치 제공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버스 정보 획득부(110)는 하나 이상의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200)로부터 버스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 각각에 대한 버스 운행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버스 운행 정보는 차량 번호, 버스 번호, 현재 위치, 앞/뒤차와의 간격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단말(200)은 버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단말로서, 해당 버스에 대한 정보인 차량 번호, 버스 번호, 현재 위치, 앞/뒤차와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버스 정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단말(200)은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해당 버스 정류장에 대한 정차 위치를 출력할 수 있고, 정차 위치를 출력하는 형식 및 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단말(200)은 버스 운전 기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해당 정류장에 시각 장애인이 탑승할 예정이며 시각 장애인을 탑승시키기 위해 지정된 정차 위치에 정차해야 한다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감지부(120)는 사용자 단말(300)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탑승 희망 버스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상세한 예에 대해서는 도 5 와 관련한 설명에서 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 감지부(12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파악한 후, 사용자 단말(300)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혹은, 사용자 단말 감지부(120)는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버스 정거장에 설치된 감지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 정거장에 도착하였거나 버스 정거장 인근에 있는 사용자에게 버스의 탑승 위치를 비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버스 정거장에 도착했거나 버스 정거장 인근에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 단말 감지부(120)는 서버(100) 혹은 감지 단말이 사용자 단말(300)을 인식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버스 정거장의 공간적 범위는, 어느 한 점이 아니라, 일정 길이를 가진 선 또는 일정 면적을 가진 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감지부(120)는 버스 정거장의 공간적 범위 내 혹은 공간적 범위의 경계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떨어진 사용자 단말(300)을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300)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
다음으로,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접근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탑승 희망 정보를 수신하고, 탑승 희망 정보를 버스 운행 정보와 매칭하여 탑승 버스를 결정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에 자신의 탑승 희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탑승 희망 정보는 사용자 단말(300)의 정보, 탑승 의사, 버스 번호 혹은 목적지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0)에 탑승 희망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구술 입력, 자판 입력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했으며, 사용자 단말(300)에 탑승 희망 정보가 입력되면,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사용자가 버스에 탑승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버스 단말(200)로부터 수집한 버스 운행 정보와 탑승 희망 정보를 매칭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탑승 희망 정보의 버스 번호와 버스 운행 정보의 버스 번호를 매칭하여, 일치하는 버스 번호를 갖는 버스 중에서, 버스 정거장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버스를 탑승 버스로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 운행 정보는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같은 버스 번호를 갖는 버스들 중, 버스 정거장에 가장 먼저 도착할 수 있는 버스는 현재 위치가 버스 정거장과 가장 가까운 버스일 것이므로,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버스를 탑승 버스로 지정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탑승 희망 정보의 버스 번호와 버스 운행 정보의 버스 번호를 매칭하여, 일치하는 버스 번호를 갖는 버스 중에서, 버스 정거장으로의 도착 예정 시간이 가장 빠른 버스를 탑승 버스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버스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버스가 정거장에 도착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도착 예정 시간이 가장 빠른 버스를 탑승 버스로 결정하여 탑승 희망자의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탑승 희망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여,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버스 운행 정보를 갖는 버스들 중에서 탑승 버스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 희망 정보에는 사용자가 탑승을 희망하는 버스의 번호 대신, 가고자 하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탑승 희망 버스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목적지에 정차하는 버스들 중에서 탑승 버스를 결정할 수 있다. 탑승 버스 결정부(130)는 해당 목적지에 정차하는 버스들 중에서, 현재 위치가 버스 정거장과 가장 가깝거나, 혹은 버스 정거장으로의 도착 예정 시각이 가장 빠른 버스를 탑승 버스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탑승 버스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 탑승 위치는 사용자의 위치, 버스 정거장의 공간적 범위, 버스 정거장의 물리적 특성, 버스 정거장의 상황, 도착한 버스, 도착 예정인 버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탑승 위치는 버스 정거장의 공간적 범위 내로 결정될 수도 있지만, 혼잡도를 고려하여 버스 정거장의 공간적 범위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곳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현재 버스 정거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탑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정거장에는 탑승을 방해할 수 있는 버스 표지판, 휴지통 등의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버스 정거장에 이미 다른 버스가 정차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용이한 탑승을 위하여 구조물 또는 이미 정차한 버스를 피하여 탑승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현재 버스 정거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버스를 탑승하기 용이한 지점을 버스 탑승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스 정거장에서 사용자의 탑승 위치가 결정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버스 정거장의 공간적 범위(BS)에는 버스 안내 표지판, 휴지통과 같은 구조물이 존재할 수 있고, 버스 정거장에는 이미 정차한 버스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장 탑승이 용이한 위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며, 정차한 버스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이러한 위치인 s 를 탑승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버스 정거장에는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차 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정차하는 버스의 종류가 많은 일부 버스 정거장은, 버스 번호마다 기설정된 정차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탑승 희망 버스의 버스 번호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정차 위치를 탑승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탑승 위치에 탑승 버스가 정차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탑승 버스가 정차 위치에 정차하지 못하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탑승 버스가 정차 가능한 위치를 분석하여 수정된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수정된 탑승 위치를 전송한다. 보다 상세히, 탑승 위치로 지정한 곳에 탑승 버스보다 먼저 도착한 다른 버스가 정차하는 경우, 후에 도착하는 탑승 버스는 탑승 위치에 정차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다른 탑승 위치를 분석하여 수정된 탑승 위치로 결정(예를 들어, 현재 정차한 버스의 뒤에 정차하도록 결정)하고, 수정된 버스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탑승 위치에 탑승 버스가 정차하지 못한 상황이 이미 발생한 경우,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탑승 버스가 실제 정차한 위치를 수정된 탑승 위치로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300)에 수정된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제공한다. 보다 상세히, 탑승 버스가 지정된 정차 위치에 정차하지 못하고 다른 위치에 정차하였으며, 다른 정차 위치로 이동하는 것도 여의치 않을 때,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탑승 버스의 현재 위치를 수정된 탑승 위치로 결정함으로써, 불시의 경우가 발생하여도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탑승 버스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탑승 위치 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탑승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이 버스 정류장 내 혹은 근처에 위치하고, 그 위치가 탑승 버스가 정차 가능한 위치인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를 탑승 위치로 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차 위치 제공부(150)는 결정된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를 결정하고, 정차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탑승 버스의 버스 단말(200)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에 탑승 버스가 설 수 있도록, 정차 위치를 지정하는 신호를 탑승 버스의 버스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정차 위치를 안내받은 버스 단말(200)의 버스에서는, 운전기사가 버스 단말(200)의 알림을 보고 사용자를 태우기 위한 정차 위치에 정차할 수 있으므로, 시각 장애인들도 용이하게 탑승 희망 버스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정차 위치 제공부(150)는 사용자 단말(300)에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제공한 후, 탑승 버스가 정차 위치에 정차하기 전에, 버스 정거장에 정차할 가능성이 있는 하나 이상의 버스들의 버스 단말(200)에 정차 위치에 기초한 정차 제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정해진 탑승 위치에 탑승 버스가 정차하기 위해서는, 다른 버스들의 정차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차 위치 제공부(150)는, 정해진 탑승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를, 탑승 버스가 도착하기 전 도착하는 버스들의 정차 제한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착 시간 산출부(160)는 탑승 버스가 정차 위치에 정차할 예상 시각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시각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획득된 버스 운행 정보로부터, 버스의 현재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탑승 버스가 탑승 위치에 도착하는 예상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출된 예상 시각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예상 시각을 촉각 신호로 출력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는 탑승 버스의 도착 시각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오탑승 알림부(170)는 버스 단말(200)과 사용자 단말(300)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고, 버스 단말(200)이 설치된 버스의 번호와 탑승 희망 버스의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에 오탑승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승 위치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가 탑승 희망 버스가 아닌 잘못된 버스에 탑승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버스에 탑승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과 버스 단말(200)의 거리는 가까워질 것이므로, 오탑승 알림부(170)는 사용자 단말(300)과 탑승 희망 버스가 아닌 버스 단말(200)의 거리가 기준치 이상으로 가까워지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버스에 오탑승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오탑승 알림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버스에 잘못 탔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탑승 위치를 제공하고,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를 버스 단말(20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희망 버스에 탑승 할 수 있도록 하고, 버스 운전기사 역시 시각 장애인을 보다 용이하게 탑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3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0)은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입력부(311), 데이터 수신부(312), 데이터 변환부(320) 및 출력부(330)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0)은 단일 장치일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로 통신하는 별도의 2 개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입력부(311) 및 출력부(330)는 서로 다른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11)는 스마트폰에 구현될 수 있고, 출력부(330)는 스마트 폰과 통신하는 스마트 시계에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입력부(311)는 사용자로부터 탑승 희망 버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해, 입력부(311)는 자판, 마이크, 터치패드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모든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311)가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 데이터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312)는 서버(100)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수신부(312)는 서버(100)로부터 탑승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312)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환부(320)는 출력 데이터를 출력부(330)가 해석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데이터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일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320)는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가 촉각 신호로 출력부(330)에서 출력될 수 있도록, 출력부(330)의 특성에 따라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출력부(330)가 진동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데이터 변환부(320)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진동이 생성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부(330)가 신경 또는 세포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데이터 변환부(320)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자극, 감각 등이 생성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320)는 사용자의 뇌 신경, 뇌 세포로 바로 전달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감각을 감지할 수 있는 신경 또는 세포로 바로 전달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변환부(320)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제어 신호의 형식, 형태, 포맷은 전달되는 방식, 방법,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다음으로, 출력부(330)는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히, 출력부(330)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되거나 비접촉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330)는 점자 돌기 신호, 햅틱 신호 등의 촉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출력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1차원인 점과 같은 형태의 자극을 주거나, 좌우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2차원인 선과 같은 형태의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들은 동시에 사용자를 타격하거나 순차적으로 타격함으로써, 현실 세계에서의 액션 및 가상 세계에서의 액션과 대응되는 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제어 신호는 돌기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가 움직이는 방향, 움직이는 시점, 지속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출력부(330)는 사용자의 신경, 세포 또는 혈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경, 세포 또는 혈관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부(330)는 사용자가 신경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자극, 및/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부(330)는 사용자의 뇌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뇌를 통해 이해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330)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3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300)의 일 부분에 구비된 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표현 면에 사용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돌기들(30n)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면에 현출되는 상기 돌기들(30n)의 선택적 출입에 의한 돌출 신호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으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돌기들(30n)에 의해 타격을 받은 위치에서의 직접적인 진동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에 의해 형성된 돌출 신호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진동 신호와는 달리 타겟 주위에 잔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출 신호에 의해 점자와 같이 촉각을 통해 취득되는 신호를 구현할 수 있고, 그 외에도 군사 신호, 그림 신호, 부호 신호, 방향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0)의 표현 면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a)를 참조하면,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출력부(330)를 가진 사용자 단말(30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시계줄을 포함하는 스마트 시계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스마트 시계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300) 내부에는, 비록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술한 데이터 수신부(310) 및 데이터 변환부(3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돌기(30n)의 직선운동에 의해 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기기 일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30n)를 접촉하여 객체 정보와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돌기들(30n)의 선택적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의 (b)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0)에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출력부(330)가 결합되어 포함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중 하나로 구현되어 있고, 스마트 시계의 하부는 출력부(330)의 돌기(30n)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0)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시계를 착용한 신체의 일부분이 돌기(30n)의 직선운동을 감지하여 검출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0)에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출력부(330)가 결합되어 포함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c)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유닛과 사용자 단말(300)의 돌기(30n)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0)과 결합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0)의 의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를 접촉하여 검출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0)은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으로써의 사용자 단말(300)에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출력부(330)가 결합되어 포함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출력부(330)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는 사용자 단말(300)의 출력부(33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출력부(330)는 복수개의 돌기(331), 복수개의 구동부(332) 및 돌기 제어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돌기(331)는 예를 들어, 가로 8열 세로 3행의 총 24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구동부(332)는 24개의 돌기(331) 각각에 연결된 총 24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331) 각각은 복수개의 구동부(33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구동부(332) 각각은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선 선택된 돌기는 선택되지 않은 돌기 보다 더 상승되는 위치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돌기 제어부(333)는 수신된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신호 즉, 사전에 약속된 돌기 선택신호, 돌기 돌출 시간, 돌기 돌출 주기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구동부(332)로 출력하고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구동부(332)는 해당 돌기(331)를 직선운동 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를 구비한 사용자는 돌기(331)의 직선운동으로 객체가 설명하고자 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출력부(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331) 각각이 하나의 구동부(3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구동부(332)는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출력부(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331) 중 일부의 돌기(331) 각각이 복수개의 구동부(332) 중 어느 한 구동부(3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구동부(332)는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도 5 및 도 6 에서 예시한 돌기들의 운동에 의해, 사용자는 탑승 버스의 탑승 위치를 촉각 신호로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돌기에 의한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330)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력부(330)는 촉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승 정보 안내 방법의 실행 순서를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먼저 버스 단말(200)은 버스 정보 신호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한다(S01).
다음으로, 서버(100)가 하나 이상의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200)로부터 버스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에 대한 버스 운행 정보를 획득한다(S02).
다음으로,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다(S03).
다음으로, 서버(100)가 접근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탑승 희망 정보를 수신하고, 탑승 희망 정보를 버스 운행 정보와 매칭하여 탑승 버스를 결정한다(S04).
다음으로, 서버(100)가 탑승 버스의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한다(S05).
다음으로, 서버(100)가 결정된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를 결정하고, 정차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탑승 버스의 버스 단말(200)에 제공한다(S06).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0)이 탑승 위치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고, 버스 단말이 정차 위치를 출력한다(S07).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200: 버스 단말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로부터 버스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에 대한 버스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버스 정보 획득부;
    사용자 단말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사용자 단말 감지부;
    접근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탑승 희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탑승 희망 정보를 상기 버스 운행 정보와 매칭하여 탑승 버스를 결정하는 탑승 버스 결정부;
    버스 정거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탑승을 방해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를 탑승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탑승 위치 제공부;
    결정된 상기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정차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탑승 버스의 버스 단말에 제공하는 정차 위치 제공부;
    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버스 결정부는,
    상기 탑승 희망 정보와 상기 버스 운행 정보의 버스 번호를 매칭하여, 일치하는 버스 번호를 갖는 버스 중에서, 현재 위치가 상기 버스 정거장과 가장 가까운 버스를 탑승 버스로 결정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버스 결정부는,
    상기 탑승 희망 정보와 상기 버스 운행 정보의 버스 번호를 매칭하여, 일치하는 버스 번호를 갖는 버스 중에서, 상기 버스 정거장으로의 도착 예정 시간이 가장 빠른 버스를 탑승 버스로 결정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거장에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차 위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탑승 위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기설정된 하나 이상의 정차 위치 중 하나를 상기 탑승 위치로 결정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버스가 상기 정차 위치에 정차할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예상 시간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도착 시간 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으며, 상기 버스 단말이 설치된 버스의 버스 번호와 상기 탑승 희망 정보의 버스 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오탑승 신호를 제공하는 오탑승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위치 제공부는,
    상기 탑승 버스가 상기 정차 위치에 정차하지 못하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탑승 버스가 정차 가능한 위치를 분석하여 수정된 탑승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정된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위치 제공부는,
    상기 탑승 위치에 상기 탑승 버스가 정차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탑승 버스가 실제 정차한 위치를 수정된 탑승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수정된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위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상기 탑승 위치로 결정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 버스 결정부는,
    상기 탑승 희망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버스 운행 정보를 갖는 버스들 중에서 상기 탑승 버스를 결정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제공한 후 상기 탑승 버스가 상기 정차 위치에 정차하기 전에 상기 버스 정거장에 정차하는 하나 이상의 버스의 버스 단말에, 상기 정차 위치에 기초하여 정차 제한 영역을 제공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정보는 상기 버스 단말이 설치된 버스의 번호 및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탑승 희망 버스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돌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를 직선 운동 시킴으로써 상기 탑승 위치로 상기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는 촉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서로 통신하는 별도의 2 개의 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는 서로 다른 장치에 구현된,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15. 하나 이상의 버스에 설치된 버스 단말로부터 버스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버스 각각에 대한 버스 운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버스 정거장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
    접근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탑승 희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탑승 희망 정보를 상기 버스 운행 정보와 매칭하여 탑승 버스를 결정하는 단계;
    버스 정거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탑승을 방해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를 탑승 위치로 결정하고, 상기 탑승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탑승 위치에 대응하는 정차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정차 위치를 안내하는 신호를 상기 탑승 버스의 버스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탑승 정보 안내 방법.
KR1020180027698A 2016-10-25 2018-03-08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463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698A KR102463030B1 (ko) 2016-10-25 2018-03-08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287A KR101840027B1 (ko) 2016-10-25 2016-10-25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0180027698A KR102463030B1 (ko) 2016-10-25 2018-03-08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287A Division KR101840027B1 (ko) 2016-10-21 2016-10-25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74A KR20180045874A (ko) 2018-05-04
KR102463030B1 true KR102463030B1 (ko) 2022-11-07

Family

ID=84043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698A KR102463030B1 (ko) 2016-10-25 2018-03-08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05B1 (ko) * 2019-06-21 2020-12-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류장 버스 승차위치 안내용 led 전광블록
KR102304612B1 (ko) * 2020-11-16 2021-09-27 경기도 버스 승차대기 알림을 위한 승차벨 방법 및 승차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84B1 (ko) * 2008-08-11 2011-06-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936B1 (ko) * 2013-05-09 2019-11-19 주식회사 케이티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통안내 서비스 방법,및 시각장애인 교통안내 서비스를 위한 버스 정류장 안내 단말
KR20140138510A (ko) * 2013-05-24 2014-12-04 (주)코스텍시스템 버스 정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384B1 (ko) * 2008-08-11 2011-06-3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Rf 통신기반의 점자정보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874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7625A1 (en) Guidance Of Autonomous Vehicles In Destination Vicinities Using Intent Signals
JP5779641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2105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handwriting track
CN104898825A (zh) 用于输出反馈的电子设备和方法
CN104823147A (zh) 作为与应用的交互的多模式用户表达和用户力度
CN110718089A (zh) 一种出行服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620257A (zh) 基于深度的语境识别
KR102547441B1 (ko) 차량 간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2463030B1 (ko)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6811578B2 (ja) 移動情報提供方法、移動情報提供装置、及び移動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07160403A (zh) 一种具有多功能人机接口模块的智能机器人系统
CN112712701B (zh) 基于识别装置的路线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20100862A (ko) 스마트 링
Kim et al. Enhancing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IoT and open data infrastructures
US20190318624A1 (en) Boarding inform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and procedur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101654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2372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3835570B (zh) 车辆中显示屏的控制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
CN11207485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13901341A (zh) 导航信息提示方法、装置、介质及程序产品
KR101840027B1 (ko)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6529429B2 (ja) 交通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交通情報出力方法
US20220293009A1 (en) Boarding inform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and procedur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Lee et al. TalkingCane: Designing Interactive White Can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s Bus Usage
JP6881838B2 (ja) マッチングシステム、端末装置、マッチ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