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889Y1 - 이중 장착 로더 - Google Patents

이중 장착 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889Y1
KR200169889Y1 KR2019990018438U KR19990018438U KR200169889Y1 KR 200169889 Y1 KR200169889 Y1 KR 200169889Y1 KR 2019990018438 U KR2019990018438 U KR 2019990018438U KR 19990018438 U KR19990018438 U KR 19990018438U KR 200169889 Y1 KR200169889 Y1 KR 200169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point link
tractor
support ba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주
Original Assignee
이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주 filed Critical 이선주
Priority to KR2019990018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8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8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7/00Machines for lifting and treating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 후방에 삼점링크로 장착하여 풀이나 여러 가지 짐을 싣기위한 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상적인 로더와 스크래퍼의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장착로더에 관한 것이며, 트랙터(10)에 연결하는 로더에 있어서, 상기 로더(3)의 양측벽에 삼점링크 지지바(11)를 고정하고, 상기 삼점링크 지지바(11)의 상부에 삼점링크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는 삼점링크 지지부(5)를 고정하고, 상기 로더(3)의 후측벽에 또 하나의 삼점링크 고정부(2)를 형성하며, 상기 후측벽의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막대(14)를 고정하여 그 상부에 탑링크 고정홀(6)(7)이 형성된 탑링크 고정부(12)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장착 로더{Loader having two use}
본 고안은 트랙터 후방에 삼점링크로 장착하여 풀이나 여러 가지 짐을 싣기위한 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상적인 로더와 스크래퍼의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중 장착로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하는 로더는 로더 선단이 트랙터 후방을 향하도록 후면에 삼점링크로 고정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리고 흙등을 긁어 트랙터 쪽으로 끌어오는 스크래퍼(scraper)는 선단이 트랙터쪽을 향하도록 삼점링크 고정부를 만들어 고정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같이 선단이 향하는 방향이 다른 로더와 스크래퍼는 각각 제작하여 트랙터에 장착하여 사용하여 왔으므로 제작비용이 2중으로 들고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로더와 스크래퍼의 형상을 통일하여 전방과 후방에 각각 삼점링크를 부착할 수 있는 고정부를 형성하여 로더 선단을 트랙터쪽을 향하게 하면 스크래퍼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로더 선단이 후방을 향하게 삼점링크를 설치하며 일반 로더의 역할이 가능한 이중 장착 로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랙터에 연결하는 로더에 있어서, 상기 로더의 양측벽에 삼점링크 지지바를 고정하고, 상기 삼점링크 지지바의 상부에 삼점링크고정부가 형성되는 삼점링크 지지부를 고정하고, 상기 로더의 후측벽에 또 하나의 삼점링크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후측벽의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막대를 고정하여 그 상부에 탑링크 고정홀이 형성된 탑링크 고정부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장착 로더를 제공한다.
도 1은 본고안의 이중장착 로더를 스크래퍼 용도로 사용할때의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이중장착 로더를 스크래퍼 용도로 사용할 때의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중장착 로더를 일반 로더 용도로 사용할 때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탑링크 2 : 삼정링크 고정부
3 : 로더 4 : 로더 선단
5 : 삼점링크 지지부 6, 7 : 탑링크 고정홀
8 : 보강로드 10 : 트랙터
11 : 삼점링크 지지바 12 : 탑링크 고정부
14 : 수직막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 구성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더(3)의 전방은 로더선단(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더(3)의 선단에 인접한 양측벽에 삼점링크 지지바(11)를 고정하고 상기 삼점링크지지바(11)의 상부에 삼점링크 지지부(5)를 고정시킨다. 상기 삼점링크 지지바(11)는 로더(3)의 내부로 굽어지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로더의 양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삼점링크 지지부(5)에 스크래퍼용 삼점링크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더(3)의 후벽에 로더용 삼점링크 고정부(2)를 형성한다.
삼점링크중 탑링크(1)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로더(3)의 후측벽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막대(14)를 용접하여 부착하고, 상기 지지막대(14)의 상부에 탑링크 고정부(12)를 설치한다. 상기 탑링크 고정부(12)는 2개의 탑링크고정홀(6)(7)이 형성되어 스크래퍼용으로 사용할 때는 탑링크고정홀(6)에 탑링크(1)를 고정하고, 로더용으로 사용할 때는 또다른 탑링크 고정홀(7)에 탑링크(1)를 연결한다.
상기 수직막대(14)의 상단부와 삼점링크 지지부(5) 사이에 보강로드(8)를 연결하여 그 연결강도를 높인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스크래퍼와 로더를 별도로 만들 필요없이 하나의 로더에 전방과 후방에 각각 삼점링크를 부착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삼점링크를 연결하는 방향에 따라 로더와 스크래퍼 2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트랙터(10)에 연결하는 로더에 있어서, 상기 로더(3)의 양측벽에 삼점링크 지지바(11)를 고정하고, 상기 삼점링크 지지바(11)의 상부에 삼점링크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는 삼점링크 지지부(5)를 고정하고, 상기 로더(3)의 후측벽에 또 하나의 삼점링크 고정부(2)를 형성하며, 상기 후측벽의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막대(14)를 고정하여 그 상부에 탑링크 고정홀(6)(7)이 형성된 탑링크 고정부(12)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장착 로더.
KR2019990018438U 1999-09-01 1999-09-01 이중 장착 로더 KR200169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38U KR200169889Y1 (ko) 1999-09-01 1999-09-01 이중 장착 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438U KR200169889Y1 (ko) 1999-09-01 1999-09-01 이중 장착 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889Y1 true KR200169889Y1 (ko) 2000-02-15

Family

ID=1958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438U KR200169889Y1 (ko) 1999-09-01 1999-09-01 이중 장착 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8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724A (en) Front loader attaching structure
CN112977638A (zh) 车身接合结构
CA1095947A (en) Vehicle main frame
US7344187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protection member and work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0169889Y1 (ko) 이중 장착 로더
JP3561389B2 (ja) フロントローダ装着可能なトラクタ前部構造
KR20030077964A (ko) 전방 로더를 구비한 작업 차량과 전방 로더의 붐 구조
KR20040026608A (ko) 롤오버 프로텍트 시스템부착 트랙터를 위한 보강프레임 구조
US20080202779A1 (en) Rear Implement Mounting Frame Construction for Tractor
JP2519829Y2 (ja) 建設機械のジャッキアップ装置の取付け構造
JP2010163821A (ja) 作業機械のブーム
CN212473301U (zh) 房车拖车杠及房车
JP2989120B2 (ja) バックホーのブーム構造
JPH0338236Y2 (ko)
KR100434978B1 (ko) 적재함 데크 고정 구조
KR100756633B1 (ko) 트렁크 게이트 개구부 강성구조
KR100383739B1 (ko) 차량의 리어 트레일 암 마운팅 구조
CN213870569U (zh) 一种高强度易安装连接件
KR200310979Y1 (ko) 굴삭기의 어태치먼트 장착용 클램프
JPH11269907A (ja) フロントローダ
JPH1192084A (ja) アウトリガの補強部材
JP2667795B2 (ja) バケットの補強構造
JPH0246514Y2 (ko)
KR200161769Y1 (ko) 트랙터용 굴삭기/로우더 겸용 장착구조
JPS5913763Y2 (ja) ブラウのエクステンシヨ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