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781Y1 -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781Y1
KR200169781Y1 KR2019990018672U KR19990018672U KR200169781Y1 KR 200169781 Y1 KR200169781 Y1 KR 200169781Y1 KR 2019990018672 U KR2019990018672 U KR 2019990018672U KR 19990018672 U KR19990018672 U KR 19990018672U KR 200169781 Y1 KR200169781 Y1 KR 200169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shock absorber
waste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고속도로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고속도로관리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고속도로관리공단
Priority to KR2019990018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분기점 및 터널 입구등 구조물과의 차량 충돌이 잦은 지역에 설치되는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타이어를 다수 적층하되, 그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을 탄설하고, 폐타이어의 하부에는 신축탄성재를 구성하여 이를 사고예상지역에 앵커에 의해 매설하므로서, 차량의 충돌시 타이어에 의한 충격흡수효과는 물론 스프링에 의해 완충장치가 쓰러지며 2차 충격을 흡수하여 인명 및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충돌차량의 제거시 신축 탄성재 및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그 완충장치가 복원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Collision shock absorber using waste tire}
본 고안은 도로의 분기점 및 터널 입구등 구조물과의 차량 충돌이 잦은 지역에 설치되는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타이어를 스프링에 의해 적층하여 입설하므로서, 차량과의 충돌시 그 충격이 최대한 완화되게 하여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함은 물론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고, 충돌후에도 완충장치의 손상이 거의없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충돌 완충장치는 도로의 분기점이나 터널입구, 톨 게이트 입구 및 굴곡진 도로등 차량과 구조물의 충돌이 잦은 지역이나 급경사 지역등 사고다발지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이탈에 의한 충돌사고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함은 물론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되게 하는등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 것이다.
통상적인 충돌 완화장치는 철재를 이용한 펜스를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시 철재 펜스가 휘어지며 그 강성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게 하는 방법과, 드럼내에 물이나 모래를 넣어 사고예상지역에 세워두므로서 차량의 충돌시 완충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충돌 완화장치에 있어서, 철재 펜스에 의한 완화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철재의 강성에 의해 탑승자에게 충격을 주게되며, 차량의 파손이 매우 심하며, 철재의 강성에 의해 차량이 미끄러지며 2차 충돌을 유도하는 문제점과, 차량과 충돌된 철재 펜스는 복원이 불가능하여 이를 해체하고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시설 유지비가 많이 소모됨은 물론 수시로 점검 및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드럼에 의한 충돌 완화장치는 그 충격 흡수효과가 극히 미약하여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없으며 역시 전기한 바와 같이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취급이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폐타이어를 다수 적층하되, 그 사이의 공간에 스프링을 탄설하고, 폐타이어의 하부에는 신축탄성재를 구성하여 이를 사고예상지역에 앵커에 의해 매설하므로서, 차량의 충돌시 타이어에 의한 충격흡수효과는 물론 스프링에 의해 완충장치가 쓰러지며 2차 충격을 흡수하여 인명 및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충돌차량의 제거시 신축 탄성재 및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그 완충장치가 복원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완충장치의 측단면설명도
도 3a 내지 도 3c는 차량의 충돌에 따른 작동설명도로서,
도 3a는 충돌직전의 상태도
도 3b는 충돌중의 작동상태도
도 3c는 충돌후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도
도 5는 타실시예에 의한 측면 작동설명도
도 6은 타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주봉 2 : 앵커
3 : 와이어 4 : 신축탄성재
5,5' : 폐타이어 6,6' : 스프링
7,7' : 신축튜브 8 : 마감판
9,9' : 너트 10 : 표식용 덮개
20 : 완충장치 21 : 지지판
30 : 차량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완충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그 결합상태의 측단면설명도이다.
상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지주봉(1)과 앵커(2)를 원형의 와이어(3)에 의해 연결하고, 그 지주봉(1)에는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신축탄성재(4)와 다수의 폐타이어(5)(5')를 적층하고, 폐타이어(5)(5')의 사이에는 스프링(6)(6')을 탄설하여 이에 의해 폐타이어(5)(5')가 탄지되게 하고, 상단의 폐타이어(5)에는 마감판(8)을 형성하고 이를 너트(9)(9')에 의해 전기한 지주봉(1)의 나사부와 결합하여 구성하되, 스프링(6)(6')의 외주연에는 신축튜브(7)(7')를 삽입하며, 폐타이어(5)(5')의 외주면에는 무늬가 있는 표식용 덮개(10)를 삽입하여 완충장치(20)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완충장치(20)를 차량에 의해 이동가능한 지지판(21)에 다수 입설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지지판(21)의 중간부에 힌지 결합하여 절곡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은 차량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완충장치는 사고 다발지역 즉, 도로의 분기점이나 톨게이트 입구, 터널입구 및 굴곡진 도로등 그 위험이 예상되는 부분에 앵커(2)를 콘크리트 타설하여 고정한 후, 그 앵커(2)에 와이어(3)를 이용하여 지주봉(1)을 연결한 다음, 그 지주봉(1)에 신축탄성재(4) 및 스프링(6)을 삽입하고, 그 상부에 소형차종의 폐타이어(5)를 안치시킨후 그 상부에 또다른 스프링(6') 및 신축튜브(7)를 삽입하며, 다시 그 상부에 중간크기의 폐타이어(5')를 삽입하고 또다른 스프링(6') 및 신축튜브(7')를 삽입하며, 그 상부에는 대형차종의 폐타이어(5)를 삽입하고, 그 폐타이어(5)의 상부면에는 마감판(8)을 안치시켜 마감판(8)의 중간부로 지주봉(1)의 나사부가 돌출되게 한 다음 너트(9)(9')에 의해 강하게 고정하며, 폐타이어(5)(5')의 외주면에는 무늬가 형성된 표식용 덮개(10)를 씌워 식별력을 높게하면 완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완성된 완충장치는 도 3a 내지 도 3c의 도시와 같이 차량의 충돌에 대하여 뛰어난 완충효과를 갖는 것인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3a의 도시와 같이 앵커(2)에 의해 지면에 입설되어 있는 본 고안 완충장치(20)는 도 3b의 도시와 같이 차량의 충돌에 의해 충돌 반대방향으로 쓰러지는데, 먼저 폐타이어(5)(5')의 신축탄성력에 의해 차량(30)의 충격을 감소시키고, 이후 완충장치(20)가 쓰러지며 내부의 스프링(6)(6')을 압축시키므로 그 스프링(6)(6')의 반발력에 의해 2차 충격감소의 효과를 갖는 것이며, 하부의 신축탄성재(4)에 의해 제 3차 충격흡수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기 3단계의 충격 흡수단계에 의해 차량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므로 차량(30)내부의 탑승자는 물론 차량의 피해 또한 최소화되게 하므로서 그 재산상의 손실이 최소가 되는 것이다.
또한, 고무재의 폐타이어(5)(5')와 스프링(6)(6') 및 신축탄성재(4)에 의해 구성된 것이므로 차량의 충격은 최소화되게 하면서도 차량을 파손시키거나 2차 충돌을 유도하는 등의 문제가 없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차량의 충돌을 완화시켜 차량을 정지시킨 후, 사고 차량을 제거하면 신축탄성재(4)의 복원력과 스프링(6)(6')의 탄발력 및 타이어(5)(5')의 탄성에 의해 다시 완충장치(20)가 입설된 상태로 복원되므로, 이를 교체하거나 보수하여야 하는 불편이 없으며 그 관리 또한 매우 용이하여 재사용으로 인한 관리비 및 유지보수비의 절감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완충장치(20)는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이동 가능한 지지판(21)의 상부에 본 고안 완충장치(20)를 다수 입설하고, 그 지지판(21)의 일측 중간부를 힌지결합하여 절곡가능하게 사용하므로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차량(3)에 그 지지판(21)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완충장치(20)는 고속도로등의 델리네이터 교체 작업 및 각종 도로 보수 작업시 타 차량으로부터 작업자 및 작업차량이 보호되게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는 폐타이어를 활용하므로 자원의 재활용 효과가 있으며, 차량의 충돌시 타이어에 의한 충격흡수효과는 물론 스프링에 의해 완충장치가 쓰러지며 2차 충격을 흡수하여 인명 및 차량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충돌차량의 제거시 신축 탄성재 및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그 완충장치가 복원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지주봉(1)과 앵커(2)를 와이어(3)에 의해 연결하고, 그 지주봉(1)에는 하부로부터 신축탄성재(4)와 다수의 폐타이어(5)(5')를 적층하고, 폐타이어(5)(5')의 사이에는 스프링(6)(6')을 탄설하여 이에 의해 탄지되게 하고, 상단의 폐타이어(5)에는 마감판(8)을 형성하고 이를 너트(9)(9')에 의해 전기한 지주봉(1)의 나사부와 결합하여 구성하되,
    스프링(6)(6')의 외주연에는 신축튜브(7)(7')를 삽입하며, 폐타이어(5)(5')의 외주면에는 표식용 덮개(10)를 삽입하여 완충장치(2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완충장치(20)를 차량에 의해 이동가능한 지지판(21)에 다수 입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KR2019990018672U 1999-09-03 1999-09-03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KR200169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672U KR200169781Y1 (ko) 1999-09-03 1999-09-03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672U KR200169781Y1 (ko) 1999-09-03 1999-09-03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781Y1 true KR200169781Y1 (ko) 2000-02-15

Family

ID=1958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672U KR200169781Y1 (ko) 1999-09-03 1999-09-03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7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856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KR20100103276A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100348707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1000588B1 (ko)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1344082B1 (ko) 지주 보강 가드레일 및 그 시공방법
KR100915423B1 (ko) 도로변 시설물용 지주
KR200169781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돌 완충장치
KR100376970B1 (ko)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20130116619A (ko) 보강형 방호울타리
KR20040028894A (ko) 차량용 안전지주
KR20018018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265873Y1 (ko) 도로 시설물의 지주 보호용 충격 흡수커버
JP2906013B2 (ja) ガードフェンス
JPH06167009A (ja) 防護ブロック
KR200175441Y1 (ko)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KR200326711Y1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200239181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우레탄고무를 이용한 이동식충격흡수장치
CN214459979U (zh) 一种公路工程维修用的防撞缓冲装置
KR200239180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KR200248390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의 충격흡수형 안전시설물
KR200239182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충격흡수장치
KR200324535Y1 (ko) 교각 보호 구조
KR200347915Y1 (ko) 탄성 자동차 진입 금지봉
KR200283362Y1 (ko) 이중 가드레일판으로 되는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