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606Y1 -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 Google Patents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606Y1
KR200167606Y1 KR2019990014851U KR19990014851U KR200167606Y1 KR 200167606 Y1 KR200167606 Y1 KR 200167606Y1 KR 2019990014851 U KR2019990014851 U KR 2019990014851U KR 19990014851 U KR19990014851 U KR 19990014851U KR 200167606 Y1 KR200167606 Y1 KR 200167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main body
auxiliary
guide rai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대경칠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칠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경칠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4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6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방 쪽으로 분필기재가 가능한 판서면(11)과, 이 판서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외곽틀체(12)의 상하부틀체 상에 설치되는 안내레일(13)을 포함하여 상하로 승강자재하게 이루어지는 칠판본체(10)와,
이 칠판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칠판본체(10)가 아랫쪽으로 하강하려는 힘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칠판본체(10)를 지지하는 승강수단(30)과,
상기 칠판본체(10)와는 별도로 그 측방에 칠판본체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칠판본체(10)와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며, 그 내부에 보조칠판(40)을 수납하는 공간을 보유함과 아울러, 이 보조칠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수납함체(20)로 구성되는 승하강칠판에 있어서,
상기 칠판본체(10)와 상기 수납함체(20)의 인접부근에는, 상기 상하 승강자재한 칠판본체(10)에 부속된 안내레일(13)과 상기 칠판본체(10)의 측방에 고정설치되는 수납함체(20)에 부속된 안내레일(13' )이 서로 동일 수평상에 놓이는 위치에서, 상기 칠판본체를 수납함체에 일체로 결속시키는 본체지지수단(5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으로서, 상기 본체지지수단 중의 잠금핀(51)을 걸림편(52)에 대하여 진퇴시키는 것만으로 칠판본체를 상기 수납함체(20)에 착탈가능하게 지지하여 안내레일(13)(13' )의 위치를 일치시켜서 보조칠판(40)을 필요에 응하여 개폐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Moving board with rear balancing apparatus and sliding board.}
본 고안은 중앙부위에 배치되고, 그 후방에 설치된 승강수단에 지지되어 상하로 높이조절되는 칠판본체와, 이 칠판본체의 좌우 양옆으로 칠판본체와 간격을 두어 수납함체를 배치하고, 그 수납함체 내의 공간 내부에는 보조칠판을 입출자재하게 구비하여 두었다가 필요시에 이 보조칠판을 상기 칠판본체의 전방으로 꺼내서 칠판본체에 탑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수납함체 상의 안내레일이 칠판본체 상의 안내레일과 수평상에 일치하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본체지지부재를 동작하여 칠판본체를 일시적으로 지지시키도록 된 보조칠판의 개폐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수납함체 내에 구비되어 있는 좌우 어느 한쪽의 보조칠판이 안내레일을 따라 외출하여 상기 칠판본체 상에 탑재되면 보조칠판의 무게만큼 중량이 증대하므로 칠판본체를 지지하고 있는 후술의 승강수단이 그 늘어난 중량을 감당할수 없게 되므로 칠판본체가 아래로 처져 내려오는 현상이 생길 수밖에 없음으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보조칠판을 포함하는 칠판본체를 지지할 본체 지지부재를 써서 칠판본체가 밑으로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려 함이다.
본 고안에서 후방균형식이라 함은 칠판본체를 지지하는 승강수단이 칠판본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출원인에 의한 이 고안은 종래의 국내 실용실안 등록 제 129585호 '승강칠판의 안전보호장치'에서 기재하고 있는 공지의 기술수단에 대하여 그 고안의 등록권자가 간과하고 있는 구성적 결함부분을 말끔하게 해소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즉 상기의 선행기술에서는 그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상에 있어서,
『 중앙부에 위치되고 공지의 승강조작수단에 의해 승강조작되는 본 칠판기틀의 전면으로 설치되어 칠판의 주기능을 하는 본 칠판과, 상기 본 칠판의 좌우에 배치되고 일정높이의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보조칠판기틀에 대하여 필요시 본 칠판 전면으로 수평이동되어져 칠판의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칠판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승강칠판 구조에 있어서…(중략)』라고 기재하고 있는 가운데 상기 공지의 승강조작수단에 의하여 승강조작되는 본 칠판기틀의 실시예로서 국내 실용신안 공개 제 95-7959호 또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52-110541호에 기재된 선행기술을 들고 있다.
즉, 상기 실용신안 등록 제 129585호의 등록권자는 상기 본 칠판의 중량을 평형상태에서 지지하므로서, 본 칠판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승강조작수단이 본 칠판의 후방에 설치되는 칠판의 좌우 양옆으로 이 칠판과는 별개체로 구성되는 보조칠판기틀을 고정 배치하고, 필요시에 본 칠판의 전면으로 수평이동 되어져 칠판의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칠판으로 이루어진 승하강칠판 구조를 공지의 기술수단으로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칠판구조는 공지의 기술수단으로 인정할만한조건이 완전하게 구비되어져 있지 않다.
즉 상기 본 칠판만은 공지의 기술이 분명하지만 이 본 칠판의 좌우 양옆으로별도의 보조칠판기틀을 배치하여 필요시 보조칠판을 꺼내 쓸 수 있도록 하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칠판을 상기 본 칠판 상에 탑재하였을 경우에, 중량이 가중됨에 의하여 본 칠판이 밑으로 하강하려는 현상을 억제시키거나 구속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되고
이와 아울러, 보조칠판이 순조롭게 안내레일을 타고 본 칠판 상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본 칠판 상의 안내레일과, 수납함체 상의 안내레일의 수평위치를 일치시키는 수단을 요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실용신안 등록 제 129585호의 등록권자가 공지기술로서 기재하거나 도면상에 도시하고 있는 기술내용 그대로 라면 그 구체적인 실시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해소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고안의 외부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a는 칠판본체가 하강하고 보조칠판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체지지부재에 의하여 칠판본체가 수납함체에 일체로 결속되어 보조칠판이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적용가능한 수강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칠판본체 20 - 수납함체
30 - 승강수단 40 - 보조칠판
50 - 본체지지수단
본 고안은 전방쪽에 분필기재가 가능한 판서면(11)과 이 판서면(1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외곽틀체(12)의 상하부 틀체 상에 설치되는 안내레일(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칠판본체(10)와, 이 칠판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칠판본체(10)가 아랫쪽으로 하강하려는 힘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칠판본체(10)를 지지하는 승강수단(30)과,
상기 칠판본체의 측방에 칠판본체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칠판본체와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내부에 보조칠판(40)을 수납하는 공간을 보유함과 아울러 이 보조칠판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수납함체(20)로 구성되는 승하강칠판에 있어서,
상기 칠판본체(10)의 상의 안내레일(13)의 위치가 수납함체(20) 상의 안내레일(13' ) 위치와 대략 수평상에 위치하는 지점에서 상기 칠판본체(10)의 상하동작을 구속함에 의하여 상기 보조칠판(40)이 상기 안내레일(13)(13′)의 연장선상을 따라서 칠판본체쪽으로 출입이동자재하게 하도록 상기 칠판본체(10)와 수납함체(20)의 인접개소에 본체 지지수단(5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칠판의 입출 및 탑재가능한 승하강칠판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본체지지수단(50)을 칠판본체(10의 하부틀체의 좌측저면과 좌측수납함체(20)의 우측저면에 설치하고 있다.
즉 상기 본체지지수단(50)은 칠판본체측에 형성된 걸림편(52)과 수납함체측에 설치되는 잠금핀(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핀은 핀홀더(53)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진퇴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관한 승강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인장복렬스프링을 써서 칠판본체를 지지하도록 된 것이며 도 2b는 가스스프링 도 2c는 중량추를 각각 승강수단으로 채택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승강수단의 실시예에서 빗금표시한 부분은 교실벽체 등에 고정되는 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따라거 도 2a의 경우에는 승강수단(50)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케이싱(51)만이 벽체에 고정되어서, 상기 케이싱(51)과 분리동작하도록 이루어진 칠판본체(10)만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이와는 달리 도 2b 내지 도 2c의 구성은 상기 칠판본체(10)와 케이싱(51)이일체로 형성되어 움직이도록 된 구조이며, 대신에 베어링하우징(63)과 가스스프링의 실린더(62) 또는 로울브라켓트(74) 등이 벽체에 고정되어 상기 칠판본체와 케이싱(51)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칠판본체(10)의 두께와 케이싱(51)의 두께를 합친 길이는 대략 수납함체(20)의 두께(T)와 비슷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중앙의 칠판본체(10)와 그 좌우 양옆으로 배치되는 수납함체(20)는 서로 별개의 구성이지만 보조칠판(40)의 사용 목적에 관해서 서로 상관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즉 칠판본체 만을 상하이동시키면서 사용할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본체지지수단(50) 중의 잠금핀(51)은 칠판본체(10)의 이동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바깥쪽으로 후퇴시킨다.
다음으로 칠판사용자(예컨대 교사 등) 교과목에 따라서 오선지(음악과목용)모눈그래프(산수과목용) 등 특정의 학습보조용 모양이 도안되어 있는 보조칠판을 사용할 필요를 느낄 때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같이 칠판본체(10)를 끌어내리거나밀어올려서 수납함체(20)의 상하방향 높이를 대략 맞추고, 상기 본체지지수단 중의 잠금핀(51)을 칠판본체 쪽으로 밀어서 칠판본체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걸림편(52)에 끼워서 체결시킨다. 이렇게 하므로써 칠판본체와 수납함체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안내레일(13)(13′)이 수평상에 놓이게 되어 보조칠판(40)을 수납함체에서 꺼내서 칠판본체(10)상에 탑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후방에 칠판의 중량을 지지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칠판본체의 측방에 보조칠판을 사용할 목적으로 수납함체를 별도로 배치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칠판으로 인하여 가중(加重)되는 중량을 지지함과 아울러, 보조칠판의 슬라이드 동작을 안내하기 위하여 칠판본체와 수납함체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안내레일을 수평상에 일치되게 놓이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본체지지부재(50)를 상기 칠판본체(10)와 수납함체(20)의 인접부근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체지지수단 중의 잠금핀(51)을 진퇴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하이동의 칠판본체(10)를 벽체에 고정되는 수납함체(20)에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므로써 필요에 따라서 미닫이식의 보조칠판(40)을 칠판본체쪽으로 꺼내서 사용할 수도 있어서 학습효과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전방쪽으로 분필기재가 가능한 판서면(11)과, 이 판서면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외곽틀체(12)의 상하부틀체 상에 설치되는 안내레일(13)을 포함하여 상하로 승강자재하게 이루어지는 칠판본체(10)와, 이 칠판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칠판본체(10)가 아랫쪽으로 하강하려는 힘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칠판본체(10)를 지지하는 승강수단(30)과,
    상기 칠판본체(10)의 측방에서, 칠판본체가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칠판본체(10)와 소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며, 그 내부에 보조칠판(40)을 수납하는 공간을 보유함과 아울러, 이 보조칠판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수납함체(20)로 구성되는 승하강칠판에 있어서,
    상기 칠판본체와 상기 수납함체(20)의 인접부근에는, 상기 상하 승강자재한 칠판본체(10)에 부속된 안내레일(13)과 상기 칠판본체(10)의 측방에 고정설치되는 수납함체(20)에 부속된 안내레일(13′)이 서로 동일 수평상에 놓이는 위치에서, 상기 칠판본체를 수납함체에 일체로 결속시키는 본체지지수단(5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KR2019990014851U 1999-07-23 1999-07-23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KR200167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851U KR200167606Y1 (ko) 1999-07-23 1999-07-23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851U KR200167606Y1 (ko) 1999-07-23 1999-07-23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606Y1 true KR200167606Y1 (ko) 2000-02-15

Family

ID=1958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851U KR200167606Y1 (ko) 1999-07-23 1999-07-23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60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158B2 (en)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a keyboard instrument cover
KR101406380B1 (ko) 개폐식 덮개를 갖는 책상용 컴퓨터 모니터 및 키보드 수납함
KR200167606Y1 (ko) 보조칠판의 개폐 사용이 가능한 후방균형식 승하강칠판
KR100576264B1 (ko) 승강칠판의 최하점 위치결정장치
CN110342075A (zh) 一种用于物理实验的器材收纳箱
CN210636463U (zh) 一种后配重翻盖井
CN109109758B (zh) 一种多功能式车载工具箱及其使用方法
JPH073948Y2 (ja)
CN111990764A (zh) 一种话筒自动伸出与收回装置
KR100847910B1 (ko) 다기능 모자이크 학습판
CN107060551B (zh) 一种轨道组件及推拉门
KR101997658B1 (ko) 승하강 칠판
JP2015086614A (ja) パーティション
CN216651709U (zh) 一种基于x型升降台的翻盖式多功能课桌
JP3126128U (ja) 多機能棚体の構造
KR102574386B1 (ko)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KR910006652Y1 (ko) 컴퓨터용 일체형 테이블
CN207821391U (zh) 一种具有书籍固定功能的讲台
JPH073946Y2 (ja) Oa機器用机
CN219608040U (zh) 一种国土空间规划设计用测绘制图设备
CN210804802U (zh) 一种计算机辅助教育教学设备
CN100552597C (zh) 壳体及具有该壳体的电子装置
CN211810849U (zh) 一种具有推拉板的置物盒
CN219720070U (zh) 一种电脑桌显示器开闭联动机构
CN215820126U (zh) 一种智能会议宣讲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