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386B1 -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 Google Patents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386B1
KR102574386B1 KR1020220140750A KR20220140750A KR102574386B1 KR 102574386 B1 KR102574386 B1 KR 102574386B1 KR 1020220140750 A KR1020220140750 A KR 1020220140750A KR 20220140750 A KR20220140750 A KR 20220140750A KR 102574386 B1 KR102574386 B1 KR 102574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rawer
module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스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스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스파
Priority to KR102022014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56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pivotable o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로프모듈; 상기 로프모듈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내측로프고정모듈; 상기 내측로프고정모듈이 일측에서 삽입되어 내측에 상기 내측로프고정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외측로프고정모듈; 상기 외측로프고정모듈의 타측에 연결되며 소정 길이를 가지고 타측에 나사산부가 구비되되 포스트에 관통 삽입되는 봉강부; 및 상기 봉강부의 나사산부에 체결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Bed frame with rotatable cover module}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공간을 가지며 내부 청소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침대는 인간의 수면과 휴식에 사용되는 가구로서, 가능한 한 편안한 자세로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궁극적으로 하지만 최근에는 이 기본적인 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된 침대가 제작되고 있다. 그 예로 보편적인 서민들의 실생활에서 있어서 생활용품 수납공간의 부족을 해소하는데 일조하고자, 침대에 수납공간을 갖는 수납기능성 침대가 제작되기도 하였는데, 매트리스를 받치는 침대 본체의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서랍식 수납함이 구비된 서랍형 침대가 있다.
최근 들어 각 가구의 기능을 복합화하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줄이고 활용도를 최대화하는 기능성 위주의 가구의 개발하여, 좁은 공간을 활용하고 싶거나 특히 콤팩트한 디자인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수납공간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침대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14216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대 내부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침대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의 개폐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침대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대 하부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침대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한 개 이상의 커버모듈; 상기 메인바디의 수용공간을 적어도 두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기 설정 영역 상부를 폐쇄하는 고정커버부와, 상기 고정커버부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설정 영역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커버부를 포함하는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커버부는 마킹펜을 이용 소정 문양 및 문구를 적을 수 있는 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커버보는 상기 보드부 상부를 덮어 감싸는 투명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드부에 소정 색상의 문양 및 문구를 적는 펜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의하면, 침대 내부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의하면, 힌지에 의하여 연결된 개폐커버부의 용이한 회동작업을 통하여 수납공간의 개폐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의하면, 서랍모듈의 인출 작업 시 침대 하부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개폐커버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커버모듈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적용되는 서랍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4에 적용되는 서랍모듈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개폐커버부를 회동시켜 내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100)은 메인바디, 커버모듈(140), 구획 플레이트(102)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는 침대프레임(100)의 전체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바디는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한 쌍의 측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커버모듈(140)은 상기 메인바디의 상기 각 프레임 내측으로 상부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구성을 이룬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두 개의 커버모듈(140)이 설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한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커버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커버모듈(140)은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기 설정 영역 상부를 폐쇄하는 고정커버부(142)와, 상기 고정커버부(142)의 일측에 힌지(15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설정 영역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커버부(141)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바디의 수용공간을 적어도 두개의 수용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획 플레이트(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의하면, 힌지에 의하여 연결된 개폐커버부의 용이한 회동작업을 통하여 수납공간의 개폐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3은 커버모듈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모듈(140)은 개폐커버부(141)의 상측으로 별도의 마킹펜을 이용 소정 문양 및 문구를 적을 수 있는 보드부(16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커버부(141)는 상기 보드부(162) 상부를 착탈식으로 덮어 감싸는 투명커버부(164)를 더 구비하며,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보드부(162)에 소정 색상의 문양 및 문구를 적는 펜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추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적용되는 서랍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4에 적용되는 서랍모듈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도 메인바디, 커버모듈(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도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한 쌍의 측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부프레임(130) 하부는 측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의 서랍수용홈(133)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측부프레임(130)을 연결하는 형태로 격벽부(1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수용홈(133) 각각에 인입 및 인출되는 서랍모듈(200)이 구비된다.
상기 서랍모듈(200)은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밑면을 폐쇄하는 바닥부(201)와, 상기 바닥부(201)의 둘레부에 각각 전방서랍프레임(210), 후방서랍프레임(230) 및 한 쌍의 측부서랍프레임(2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측부서랍프레임(220)은 상기 전방서랍프레임(210)과 후방서랍프레임(230)보다 상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210) 하측으로 소정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서랍프레임(230)의 후방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솔모듈(280)이 구비된다.
상기 솔모듈(280)은 후방서랍프레임(23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거나 1 ~ 2 cm 짧은 길이를 가지는 몸체부(282)와, 상기 몸체부(282) 하측에 구비되는 솔부(288) 및 상기 몸체부(282)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끼움부(28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측부서랍프레임(220)은 상기 전방서랍프레임(210)이 결합되는 위치로 관통공(252)이 구비되되, 상기 전방서랍프레임(210)은 상당한 두께를 가지되 상기 관통공(252)에 연통되는 형태로 내부가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는 설치홈(25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후방서랍프레임(230)은 상하로 기 설정 이격된 위치로 상기 후방서랍프레임(230)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측 끼움공(241)과 하측 끼움공(242)이 구비되되, 상기 상측 끼움공(241)과 하측 끼움공(242)을 연결하는 연결홈(24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홈(243)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끼움부(284)가 압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끼움공(241)과 하측 끼움공(242)은 상기 끼움부(284)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측 상측 끼움공(241)에 상기 끼움부(284)가 끼워져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솔모듈(280)의 솔부(288)가 바닥에서 상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하측 끼움공(242)에 상기 끼움부(284)가 끼워져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솔모듈(280)의 솔부(288)가 바닥에 닿아 서랍모듈(200)의 인출 시 바닥의 먼지가 함께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설치홈(254)에 수용시키고 상황에 따라 인출하여 사용하는 보조솔부(27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솔부(270)은 손잡이부(272)와 솔몸체부(274) 및 솔부(276)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대프레임은 메인바디, 커버모듈(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도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전방프레임(110), 후방프레임(120) 및 한 쌍의 측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부프레임(130) 하부는 측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 개의 서랍수용홈(133)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측부프레임(130)을 연결하는 형태로 격벽부(13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수용홈(133) 각각에 인입 및 인출되는 서랍모듈(200)이 구비된다.
상기 서랍모듈(200)은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밑면을 폐쇄하는 바닥부(201)와, 상기 바닥부(201)의 둘레부에 각각 전방서랍프레임(210), 후방서랍프레임(230) 및 한 쌍의 측부서랍프레임(220)이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전방서랍프레임(210)의 전방측으로 링형 관통공이 형성된 돌출부(290)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290)에는 탄성재질의 링부(29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모듈(200)은 세 개가 설치 적용되는 구성을 이루되, 한 개의 서랍모듈(200)의 전방서랍프레임(210)에 상기 돌출부(290)는 두 개가 구비되고, 나머지 두 개의 서랍모듈(200)의 전방서랍프레임(210)는 한 개의 돌출부(290)가 중앙측에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로드부(311, 312, 313, 314)가 서로 직경이 다르게 이루어져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장되거나 합쳐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형성된 로드모듈(300)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모듈(300)은 최외곽 로드부(314) 내측으로 나머지 로드부(311, 312, 313)를 위치시킨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일측 서랍모듈(200)의 두 개의 돌출부(290)에 배치시키었다가, 상기 각 로드부를 도 7에서와 같이, 신장시킨 경우에는 상기 서랍모듈(200)의 돌출부(290)를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하여 동시에 모든 서랍모듈(20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재질의 링부(295)는 상기 각 로드부(311, 312, 313, 314)가 상기 돌출부(190)의 관통공에 밀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침대프레임
110: 전방프레임
120: 후방프레임
130: 측부프레임
140: 커버모듈
141: 개폐커버부
142: 고정커버부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사각 프레임 형태의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한 개 이상의 커버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메인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기 설정 영역 상부를 폐쇄하는 고정커버부와,
    상기 고정커버부의 일측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설정 영역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커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는 전방프레임, 후방프레임 및 한 쌍의 측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부프레임 하부는 다수 개의 서랍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형태로 격벽부가 구비되며,
    상기 서랍수용홈 각각에 인입 및 인출되는 서랍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서랍모듈은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되, 밑면을 폐쇄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전방서랍프레임, 후방서랍프레임 및 한 쌍의 측부서랍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서랍프레임은 상기 전방서랍프레임과 후방서랍프레임보다 상하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 하측으로 여유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서랍프레임의 후방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솔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솔모듈은 상기 후방서랍프레임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하측에 구비되는 솔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끼움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서랍프레임은 상기 전방서랍프레임이 결합되는 위치로 관통공이 구비되되, 상기 전방서랍프레임은 상당한 두께를 가지고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는 형태로 내부가 드럼 형태로 이루어지는 설치홈이 구비되며,
    상기 후방서랍프레임은 상하 기 설정 이격된 위치로 상기 후방서랍프레임을 관통하는 형태로 상측 끼움공과 하측 끼움공이 구비되되, 상기 상측 끼움공과 하측 끼움공을 연결하는 연결홈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홈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끼움부가 압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끼움공과 하측 끼움공은 상기 끼움부가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측 끼움공에 상기 끼움부가 끼워져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솔모듈의 솔부가 바닥에서 상측으로 소정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되 상기 하측 끼움공에 상기 끼움부가 끼워져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솔모듈의 솔부가 바닥에 닿아 상기 서랍모듈의 인출 시 바닥의 먼지가 함께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설치홈에 수용되는 보조솔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솔부은 손잡이부와 솔몸체부 및 솔부로 이루어지는,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부는,
    마킹펜을 이용 소정 문양 및 문구를 적을 수 있는 보드부가 더 구비되는,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부는 상기 보드부 상부를 덮어 감싸는 투명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보드부에 소정 색상의 문양 및 문구를 적는 펜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더 구비되는,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KR1020220140750A 2022-10-27 2022-10-27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KR10257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50A KR102574386B1 (ko) 2022-10-27 2022-10-27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750A KR102574386B1 (ko) 2022-10-27 2022-10-27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386B1 true KR102574386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750A KR102574386B1 (ko) 2022-10-27 2022-10-27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3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744U (ko) * 2009-03-25 2010-10-05 장동열 메모판이 구비된 서랍식 수납함
KR200458881Y1 (ko) * 2009-11-03 2012-03-16 신현곤 상부 회전 개방형 수납공간을 겸한 침대
KR101142161B1 (ko) 2011-12-28 2012-05-07 신기봉 서랍형 침대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744U (ko) * 2009-03-25 2010-10-05 장동열 메모판이 구비된 서랍식 수납함
KR200458881Y1 (ko) * 2009-11-03 2012-03-16 신현곤 상부 회전 개방형 수납공간을 겸한 침대
KR101142161B1 (ko) 2011-12-28 2012-05-07 신기봉 서랍형 침대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758B2 (en) Folding cabinet bed with telescoping slide-out support platform
CN106388390B (zh) 一种多功能柜
KR102574386B1 (ko)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CN208630170U (zh) 一种便携毛笔免洗保护盒
CN206333845U (zh) 淋浴用搓澡气囊
CN206380976U (zh) 一种多功能座椅
CN209822080U (zh) 一种艺术教学用教学桌
US3985410A (en) Miniature bar
KR20170002860U (ko) 수납장이 구비된 이층침대
KR200467216Y1 (ko)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CN111951615A (zh) 创新创业教育互动多媒体装置
KR200432197Y1 (ko) 의자용 팔걸이
CN212604244U (zh) 一种美术画箱
CN207855418U (zh) 一种便于上下的上下铺
CN219720184U (zh) 一种储物藤椅
CN214415576U (zh) 一种教育型亲子棋
KR200432804Y1 (ko) 항균 세라믹 볼을 구비한 책상
KR102551561B1 (ko) 기능성 소파
CN215936832U (zh) 一种教学用便于搬运的椅子
CN215076794U (zh) 一种多功能办公桌
CN211180384U (zh) 一种用于显微镜的金属底座结构
KR200466937Y1 (ko) 코인 뱅크 테이블
CN211862276U (zh) 一种化妆品储放架
CN209769654U (zh) 一种折叠收纳型的单人阅读学习装置
KR101342999B1 (ko) 접이식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