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216Y1 -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 Google Patents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216Y1
KR200467216Y1 KR2020130002380U KR20130002380U KR200467216Y1 KR 200467216 Y1 KR200467216 Y1 KR 200467216Y1 KR 2020130002380 U KR2020130002380 U KR 2020130002380U KR 20130002380 U KR20130002380 U KR 20130002380U KR 200467216 Y1 KR200467216 Y1 KR 200467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support
light
reading light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130002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2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3Lighting, radio, tele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bedst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독서등 스탠드와 독서대가 내장되어 필요시 간단하게 끄집어내어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는, 지지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독서대(100)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대(100)가 투입구(40)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수단(150)과;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한 독서대(100)가 개방되도록 독서대(1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개방수단(170)과;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독서대(100)가 일정 각도로 개방되도록 개방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80)과; 상기 투입구(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독서등(200)과; 상기 독서등(200)이 상기 지지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독서등고정수단(220)과; 상기 독서등(200)이 상기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노출될때에 독서등(200)이 점등되도록 하는 점등수단(23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침대에서 독서가 편리하게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Bed have reading desk}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독서등 스탠드와 독서대가 내장되어 필요시 간단하게 끄집어내어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람이 누워 잘 수 있도록 만든 가구로, 긴 직사각 형상의 평상에 다리가 달려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매트리스가 더 구비되어 안락한 느낌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이와 같은 침대는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책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스탠드를 구비하여야 하고, 독서대를 따로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특허 제10-0819057호(발명의 명칭: 독서대가 구비된 에너지절약형 침대)와 같이,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의 구성이 개시되고는 있으나, 침대 옆에 별도의 독서대를 설치하는 원시적인 구성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침대를 원래의 용도인 수면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독서대가 방해가 되며, 별도의 독서등(스탠드)도 더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0819057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대의 지지대에 스탠드용 독서등과 독서대가 내장되어 필요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는, 하부에 구비되어, 인체를 지지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면에 형성되며, 책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차폐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책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독서대와; 상기 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책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책서랍과;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책이 상기 책서랍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투입통로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대가 상기 투입구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투입구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를 차폐한 독서대가 개방되도록 독서대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개방수단과;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어, 상기 독서대가 일정 각도로 개방되도록 개방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투입구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빛을 비추는 독서등과; 상기 독서등의 회전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등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태엽스프링과; 상기 독서등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등이 상기 지지대의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독서등고정수단과; 상기 독서등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등이 상기 지지대의 외측으로 노출될때에 독서등이 점등되도록 하는 점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서대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수단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이대가 형성되며; 상기 독서대의 다른 일단에는, 독서대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과 간섭되는 걸림단 및 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봉과, 상기 고정봉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고정버튼과, 상기 고정버튼이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강제하는 고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투입통로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독서대의 걸림단과 간섭되는 개방돌기와, 상기 개방돌기가 투입통로로 노출되도록 힘을 강제하는 개방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기 투입통로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림단 또는 걸림턱과 간섭되는 제어봉과, 상기 제어봉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봉에 일방향의 탄성 힘을 가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독서등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독서등봉과, 상기 독서등봉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전등버튼과, 상기 전등버튼이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강제하는 전등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점등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접지판과, 상기 독서등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독서등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 상기 접지판과 접하는 접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에 의하면, 침대에 독서등(스탠드)과 독서대가 함께 구비된다. 따라서,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언제나 스탠드와 독서대를 이용하여 독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독서등(스탠드)과 독서대가 침대의 지지대에 내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독서등과 독서대를 지지대 속으로 밀어넣으면 되므로, 침대 본연의 용도에 방해받지 않으면서도 독서를 편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는, 독서등(스탠드)가 침대의 지지대 속에 내장된 상태에서는 전원이 차단되고, 독서등이 지지대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점등된다. 따라서, 독서등(스탠드)의 점등과 소등이 편리해지는 한편, 전원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독서대의 뒷편에 책이 이동되는 투입통로가 구비되는 한편, 침대 아래쪽에는 책서랍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독서를 중단하고 수면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독서대를 밀어넣는 동작만으로도 독서대의 철수와 책의 보관작업이 동시에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독서대 설치상태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독서등 설치상태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독서대와 독서등이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독서대가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독서등이 열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개폐가 가능한 그레이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의 일실시예가 사시도 및 단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의 일실시예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독서대 및 독서등 설치상태의 상세 구성이 부분 단면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는, 하부에 구비되어 인체를 지지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일면에 형성되어 책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40)와,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책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독서대(100)와, 상기 투입구(40)를 통해 투입된 책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책서랍(50)과, 상기 지지대(20)의 내부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40)를 통해 투입된 책이 상기 책서랍(50)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투입통로(60)와, 상기 독서대(100)가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수단(150)과,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한 독서대(100)가 개방되도록 독서대(1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개방수단(170)과,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독서대(100)가 일정 각도로 개방되도록 개방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80)과, 상기 투입구(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빛을 비추는 독서등(200)과, 상기 독서등(200)의 회전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독서등(2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태엽스프링(210)과, 상기 독서등(200)이 상기 지지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독서등고정수단(220)과, 상기 독서등(200)이 상기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노출될때에 독서등(200)이 점등되도록 하는 점등수단(2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직사각 형상의 평상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여기에는 다수의 다리(12)가 하측에 구비되어 몸체(10)를 지지한다.
상기 몸체(10)의 상측에는 매트리스(30)가 구비되어 안락함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몸체(10)의 우측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책서랍(50)이 구비된다. 상기 책서랍(50)은, 상기 몸체(10)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40)를 통해 투입된 책이 하측으로 내려와 수용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우측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0)의 좌측면에는 사각 형상의 투입구(40)가 구비되며, 이러한 투입구(40)는 사용자가 책을 지지대(20) 내측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입구가 된다.
상기 투입구(40)에는 상기 독서대(1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독서대(100)는, 상기 지지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책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상기 독서대(100)는 전체적으로는 상기 투입구(40)와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도록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투입구(40)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독서대(100)의 하단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102)이 더 구비된다.
상기 독서대(100)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수단(150)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이대(1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독서대(100)의 상단에는 'ㄱ'형상이 단면(도 2에서)을 가지는 걸이대(11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걸이대(110)의 원래 기능은, 사용자가 독서대(100)에 책을 놓는 경우에는 책의 하단을 잡아주는 역할이다.
상기 독서대(100)의 하단에는, 독서대(100)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180)과 간섭되는 걸림단(120) 및 걸림턱(122)이 더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독서대(100)의 하단에는 'ㄱ'가 형상의 단면(도 2에서)을 가지는 걸림단(120)이 일체로 더 형성되고, 이러한 걸림단(120)의 하단에는 우측 하방(도 2에서)으로 경사지게 걸림턱(122)이 더 연장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22)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수단(180)을 구성하는 제어봉(182)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투입구(40)의 후측으로는 상기 투입통로(6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투입통로(60)는, 상기 지지대(20)의 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40)를 통해 투입된 책이 아래 부분에 있는 상기 책서랍(50)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투입통로(60)는 일반적인 크기를 가지는 책이 통과 가능하도록 적어도 상기 독서대(100)의 폭 크기보다는 더 큰 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0)의 상반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대(100)가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지지대(20)의 상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봉(152)과, 상기 고정봉(15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고정버튼(154)과, 상기 고정버튼(154)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강제하는 고정스프링(15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봉(152)은, 가는 환봉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하단은 좌측으로 연장되어 후크(hook) 형상의 고정단(158)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단(158)이 상기 독서대(100)의 걸이대(110)에 걸리게 된다.
상기 고정단(158)의 상면과 상기 걸이대(110)의 하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단(158)과 걸이대(110)는 서로 결합은 부드럽게 이루어지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결합이 풀리지는 않게 된다.
상기 개방수단(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4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한 독서대(100)가 개방되도록 독서대(100)에 일방향(도 2에서는 우측방향)으로 탄성에 의한 힘을 가한다.
상기 개방수단(170)은, 상기 지지대(20)의 내측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투입통로(60)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독서대(100)의 걸림단(120)과 간섭되는 개방돌기(172)와, 상기 개방돌기(172)가 투입통로(60)로 노출되도록 힘을 강제하는 개방스프링(17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방돌기(1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의 단면(도 2에서)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우측단이 상기 투입통로(60)로 노출되어 상기 걸림단(120)의 좌측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스프링(174)은 상기 개방돌기(172)의 좌측에 구비되며,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스프링 탄성으로 상기 개방돌기(172)를 우측으로 밀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180)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독서대(100)가 일정 각도로 개방되도록 개방 각도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수단(180)은 상기 투입구(40)의 후측(도 2에서) 즉, 상기 투입통로(60)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독서대(100)가 반시계방향(도 2에서)으로 회전되는 개방 각도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수단(180)은, 상기 지지대(20)로부터 상기 투입통로(60)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림단(120) 또는 걸림턱(122)과 간섭되는 제어봉(182)과, 상기 제어봉(18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봉(182)에 일방향의 탄성 힘을 가하는 완충스프링(18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봉(182)은, 사각형의 단면(도 2에서)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사각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선단은 상기 투입통로(60)의 내측(도 2에서는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독서대(100)가 개방되면, 상기 투입통로(60)로 돌출된 제어봉(182)의 선단 부분이 상기 독서대(100)의 걸림단(120) 하단부 또는 걸림턱(122)에 걸리게 된다.
상기 완충스프링(184)은 상기 지지대(20)의 내부에 내장되며,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봉(182)의 좌측(도 2에서)에 구비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제어봉(182)을 우측으로 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스프링(184)을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독서대(100)가 반시계방향(도 2에서)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될 때, 상기 걸림턱(122)과 제어봉(182)이 충돌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독서등(200)은, 상기 독서대(100)의 상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독서등(200)은, 상기 투입구(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빛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독서등(200)은 스탠드와 같이 조명을 발산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등힌지(202)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등힌지(202)의 외측에는 태엽스프링(2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태엽스프링(210)은, 상기 독서등(200)의 회전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등(2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게 된다. 즉 상기 태엽스프링(210)은, 상기 독서등(200)이 등힌지(20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3에서)으로 회전하도록 항상 힘을 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독서등(200)의 우측단(도 3에서)은 하측으로 더 연장되어 독서등턱(204)을 형성한다. 상기 독서등턱(204)은 아래에서 설명할 독서등걸이대(228)와 결합되는 부분이며, 독서등턱(204)의 좌측면(도 3에서)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접지(234)가 형성된다.
상기 독서등(200)의 우측에는 상기 독서등고정수단(220)이 구비된다.
상기 독서등고정수단(220)은, 상기 독서등(200)이 상기 지지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상기 독서등(200)이 도 3과 같이 지지대(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독서등고정수단(220)은, 상기 지지대(20)의 상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독서등봉(222)과, 상기 독서등봉(2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전등버튼(224)과, 상기 전등버튼(224)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강제하는 전등스프링(2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독서등봉(222)의 하단에는 독서등걸이대(228)가 더 구비된다. 상기 독서등걸이대(2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독서등봉(222)의 하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러한 독서등걸이대(228)의 좌측 끝단은 '∠'와 같이 후크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독서등걸이대(228)의 좌측 끝단부가 상기 독서등턱(204)의 하단에 걸리게 되면, 상기 독서등(200)은 시계방향(도 3에서)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점등수단(230)은, 상기 독서등(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등(200)이 상기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노출될 때에만 독서등(200)이 점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점등수단(230)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접지판(232)과, 상기 독서등(2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독서등(200)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 상기 접지판(232)과 접하는 접지(2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판(2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독서등(200)의 바로 아래 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20)의 내면에 형성되며,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재질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지(234)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독서등턱(204)의 좌측면(도 3에서)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이러한 접지(234)는 양(+)접지 또는 음(-)접지 중 어느 하나이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접지판(232)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에 연결되고, 상기 접지(234)는 상기 독서등(200)의 전원공급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접지(234)와 접지판(232)이 서로 접하는 경우에만 상기 독서등(2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독서대와 독서등이 열린 상태를 보인 외관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독서대 및 독서등이 열린 상태를 보인 각각의 단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독서대(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이때에는 상기 독서대(100)와 독서등(200)은 상기 지지대(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즉, 상기 독서대(100)는 상기 고정수단(15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독서등(200)은 상기 독서등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고정버튼(154)과 전등버튼(224)은 상기 지지대(2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독서대(1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버튼(154)을 누른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봉(152)과 고정단(158)이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므로 고정단(158)에 걸리어 있던 걸이대(110)가 고정단(158)을 벗어나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개방수단(170)이 상기 걸림단(120)을 우측으로 밀고 있으므로 상기 독서대(100)는 항상 반시계방향(도 2에서)으로 회전하려 한다. 이때 상기 고정버튼(154)이 눌러지면, 상기 걸이대(110)가 고정단(158)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상기 독서대(100)는 상기 회전축(10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독서대(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수록 상기 걸림턱(122)은 점차 상기 제어수단(180)의 제어봉(182)에 근접하게 되고, 상기 걸림턱(122)이 제어봉(182)에 닿게 되면 상기 독서대(100)의 회전(개방)이 멈추게 된다. 상기 걸림턱(122)이 상기 제어봉(182)에 닿게 되면, 상기 완충스프링(184)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걸림턱(122)과 제어봉(182)의 충돌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독서대(100)가 개방되는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전등버튼(224)을 하측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독서등걸이대(228)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독서등(200)이 시계방향(도 3에서)으로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태엽스프링(210)은 상기 독서등(200)이 항상 시계방향(도 3에서)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강제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독서등턱(204)이 상기 독서등걸이대(228)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독서등(200)은 시계방향(도 3에서)으로 회전하여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독서등(200)이 돌출되는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접지(234)가 상기 접지판(232)에 닿게 되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독서등(200)으로 전달되어 독서등(200)이 점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독서대(100)와 독서등(200)이 모두 개방되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독서대(1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밤에도 독서를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독서를 완료한 다음에는, 상기 독서대(100)에 책이 놓인 상태로 그대로 독서대(100)를 투입구(40)로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독서대(100)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고정수단(150)이 상기 독서대(100)를 고정하게 되므로 독서대(100)는 도 2와 같이 지지대(20)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독서등(200)은 도 6과 같이 좌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우측으로 밀어넣게 되면, 도 3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대(20)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독서등고정수단(220)이 독서등(200)을 고정하게 되므로 독서등(200)은 도 3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몸체 20. 지지대
30. 매트리스 40. 투입구
50. 책서랍 60. 투입통로
100. 독서대 150. 고정수단
170. 개방수단 180. 제어수단
200. 독서등 210. 태엽스프링
220. 독서등고정수단 230. 점등수단

Claims (2)

  1. 하부에 구비되어, 인체를 지지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책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40)와;
    상기 지지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책을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독서대(100)와;
    상기 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40)를 통해 투입된 책이 수용되어 저장되는 책서랍(50)과;
    상기 지지대(20)의 내부에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40)를 통해 투입된 책이 상기 책서랍(50)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투입통로(60)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대(100)가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수단(150)과;
    상기 투입구(4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40)를 차폐한 독서대(100)가 개방되도록 독서대(1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개방수단(170)과;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어, 상기 독서대(100)가 일정 각도로 개방되도록 개방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80)과;
    상기 투입구(4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빛을 비추는 독서등(200)과;
    상기 독서등(200)의 회전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등(20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태엽스프링(210)과;
    상기 독서등(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등(200)이 상기 지지대(20)의 외부로 노출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독서등고정수단(220)과;
    상기 독서등(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독서등(200)이 상기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노출될때에 독서등(200)이 점등되도록 하는 점등수단(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서대(100)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수단(150)의 하단과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이대(110)가 형성되며;
    상기 독서대(100)의 다른 일단에는, 독서대(100)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수단(180)과 간섭되는 걸림단(120) 및 걸림턱(122)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지지대(20)의 상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봉(152)과, 상기 고정봉(15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고정버튼(154)과, 상기 고정버튼(154)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강제하는 고정스프링(156)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수단(170)은,
    상기 지지대(20)의 내측에 수용되며 일단이 상기 투입통로(60)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독서대(100)의 걸림단(120)과 간섭되는 개방돌기(172)와, 상기 개방돌기(172)가 투입통로(60)로 노출되도록 힘을 강제하는 개방스프링(174)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80)은,
    상기 지지대(20)로부터 상기 투입통로(60)로 일단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걸림단(120) 또는 걸림턱(122)과 간섭되는 제어봉(182)과, 상기 제어봉(182)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어봉(182)에 일방향의 탄성 힘을 가하는 완충스프링(184)을 포함하며;
    상기 독서등고정수단(220)은,
    상기 지지대(20)의 상반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독서등봉(222)과, 상기 독서등봉(2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전등버튼(224)과, 상기 전등버튼(224)이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강제하는 전등스프링(226)을 포함하며;
    상기 점등수단(230)은,
    상기 지지대(20)에 구비되는 금속재질의 접지판(232)과, 상기 독서등(200)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독서등(200)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 상기 접지판(232)과 접하는 접지(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KR2020130002380U 2013-03-29 2013-03-29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KR200467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80U KR200467216Y1 (ko) 2013-03-29 2013-03-29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380U KR200467216Y1 (ko) 2013-03-29 2013-03-29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216Y1 true KR200467216Y1 (ko) 2013-06-07

Family

ID=5138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380U KR200467216Y1 (ko) 2013-03-29 2013-03-29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2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3065A (zh) * 2019-10-17 2020-01-14 安徽华夏显示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调光及转动功能的座舱聚光灯及其制作工艺
KR102117001B1 (ko) * 2018-12-21 2020-05-29 하영웅 모션베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103Y2 (ja) 1991-05-21 1998-07-09 天龍工業株式会社 座席の読書灯
KR200235232Y1 (ko) 2001-03-12 2001-10-06 이달수 책상기능을 갖는 침대
KR20030018764A (ko) * 2001-08-31 2003-03-06 남병성 책상 겸용 침대
KR200316527Y1 (ko) 2003-03-31 2003-06-18 김순태 책상과 옷장을 일체로 겸비한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103Y2 (ja) 1991-05-21 1998-07-09 天龍工業株式会社 座席の読書灯
KR200235232Y1 (ko) 2001-03-12 2001-10-06 이달수 책상기능을 갖는 침대
KR20030018764A (ko) * 2001-08-31 2003-03-06 남병성 책상 겸용 침대
KR200316527Y1 (ko) 2003-03-31 2003-06-18 김순태 책상과 옷장을 일체로 겸비한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001B1 (ko) * 2018-12-21 2020-05-29 하영웅 모션베드
CN110683065A (zh) * 2019-10-17 2020-01-14 安徽华夏显示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调光及转动功能的座舱聚光灯及其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652Y1 (ko) 의자 일체형 가구
KR200467216Y1 (ko) 독서대가 구비된 침대
JP6740510B1 (ja) 固定に便利な読書灯
CN204587517U (zh) 抽屉式鸡蛋存储装置
US7500759B2 (en) Retractable lighting device for barbecue stove
CN203611832U (zh) 一种司钻控制座椅用杯架
CN202552847U (zh) 一种按键式升降课桌
KR100826188B1 (ko) 조명용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78058Y1 (ko) 모니터 사이드 조명이 구비된 문서 거치대
KR200401463Y1 (ko) 책상용 조명장치
CN201434262Y (zh) 多功能台灯
CN207453728U (zh) 一种省力装置及其带有省力装置的箱子
KR200311004Y1 (ko) 독서대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CN202981122U (zh) 带床头灯的床
CN216316310U (zh) 一种多功能阅读架
CA2568037C (en) Foldable lighting device for barbecue stove
KR102574386B1 (ko) 회동 가능한 커버모듈이 구비된 침대프레임
KR101132542B1 (ko) 파티션이 구비된 책상
CN201563925U (zh) 书桌
CN203776480U (zh) 一种具有收纳功能的床
KR102448471B1 (ko) 모니터 받침대
CN211883072U (zh) 一种带有护眼灯的沙发
CN107625339A (zh) 一种能够防止婴儿摔落的红木大床
KR100307381B1 (ko) 컴퓨터의 마우스 받침판과 팔걸이기구가 일체로 형성된 키보드서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