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483Y1 - 거푸집 - Google Patents
거푸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7483Y1 KR200167483Y1 KR2019990017132U KR19990017132U KR200167483Y1 KR 200167483 Y1 KR200167483 Y1 KR 200167483Y1 KR 2019990017132 U KR2019990017132 U KR 2019990017132U KR 19990017132 U KR19990017132 U KR 19990017132U KR 200167483 Y1 KR200167483 Y1 KR 2001674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p plate
- formwork
- plate
- concret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의 상판을 좌측 상판과 우측 상판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판 일측에 좌측판과 우측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좌.우 상판이 용접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제작 공정을 줄여 제작시의 번거로움과 제품 가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하중에 견고하게 버티며 제거시에도 상판과 측판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제거되는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거푸집의 상판을 좌측 상판과 우측 상판으로 분할하고 상기 좌측 상판의 좌측면과 우측 상판의 우측면에 각각 좌측판과 우측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좌측 상판의 우측면과 우측 상판의 좌측면이 결합되도록 용접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별도로 구비한 전측판과 후측판을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작시의 비용부담을 저렴히 하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또는 콘크리트가 굳은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판과 측판의 용접된 부분이 떨어져 서로 분리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에 신뢰를 주는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 또는 구조물 등을 형성할 때,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중에 견디며, 상기 콘크리트가 외부로 흘러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표면에 울퉁불퉁한 돌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 또는 구조물 등을 형성할 경우에는 먼저 거푸집으로 원하는 형태의 틀을 짠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굳힌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고 표면을 다듬질하여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완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을 사용하는 것은 콘크리트가 액체와 고체의 중간상태, 즉 겔(gel)과 같은 상태이기 때문에 타설시 특정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거푸집을 이용하여 특정의 형태를 잡아주기 위해서이며, 이러한 거푸집은 과거에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근래에 주로 사용되는 거푸집은 첨부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측판(2,3,4,5)과 저면에 보강리브(6)를 갖는 상판(1)으로 이루어졌는데, 좌측판(2)과 우측판(3)의 내측 상단에 단턱(2a, 3a)이 형성되고, 이 단턱(2a,3a)에 상판(1)이 올려져 용접되며, 전. 후면에 측판(4,5)을 용접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거푸집 여러 개를 상. 하. 좌. 우로 각각 서로 연결하여 틀을 만든 후, 상기 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굳힌 다음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면 건축물 또는 구조물이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은 콘크리트의 하중을 받는 상판(1)의 각 측면에 측판(2,3,4,5)을 각각 용접 연결하기 때문에 제작상의 불편함과 부품이 많아지고 인건비가 증가하는 등 비용상승에 따른 제품 가격이 고가인 점 외에도,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을 제대로 이기지 못하고 용접 부분이 떨어지게 되거나, 콘크리트가 굳은 후 거푸집을 제거할 때 용접부분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왔다.
즉, 콘크리트가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을 혼합하고 물을 섞어 반죽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당한 중량을 가지게 되며, 이 콘크리트가 거푸집을 연결해 놓은 틀의 내부로 타설이 되었을 때,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이 거푸집의 상판(1)에 걸리게 되는데, 이때 하중이 비교적 약한 부분인 용접된 부분에 집중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이 용접된 부분이 떨어져 콘크리트가 새 나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콘크리트가 굳은 후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상판(1)이 콘크리트에 단단하게 붙어있으므로 상판(1)과 측판(2,3,4,5)의 용접된 부분이 떨어져 상판(1)은 그대로 붙어있고, 측판(2,3,4,5)만 떨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가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거푸집의 상판을 좌측 상판과 우측 상판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상판 일측에 좌측판과 우측판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좌.우 상판이 용접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제작 공정을 줄여 제작시의 번거로움과 제품 가격이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의 하중에 견고하게 버티며 제거시에도 상판과 측판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제거되는 거푸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각 측면에 측판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상판을 좌측 상판과 우측 상판으로 분할하고 상기 좌측 상판의 좌측면과 우측 상판의 우측면에 각각 좌측판과 우측판을 일체로 형성하며, 좌측 상판의 우측면과 우측 상판의 좌측면이 결합되도록 용접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별도로 구비한 전측판과 후측판을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거푸집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거푸집 11 : 좌측 상판 12 : 우측 상판
13 : 좌측판 14 : 우측판 15 : 전측판
16 : 후측판 17 : 보강리브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고안에 의한 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판을 좌측 상판(11)과 우측 상판(12)으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좌측 상판(11)과 우측 상판(12)의 일측 즉, 좌측 상판(11)의 좌측에는 좌측판(13)을, 우측 상판(12)의 우측에는 우측판(14)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판(11,12)의 저면에는 보강리브(17)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하고, 상판(11,12)의 전면과 후면에 용접 형성되는 전측판(15)과 후측판(16)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고안은 상판(11,12)의 일측 즉, 측판(13,14)이 형성되지 않은 상판(11,12)의 다른 측면이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다른 측면을 용접하고, 이후 별도로 구비한 전측판(15)과 후측판(16)을 상기 상판(11,12)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용접하여 거푸집(10)을 구성한다.
첨부한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좌측 상판(11)과 우측 상판(12)을 결합시킬 때 용접시키는 부분이며, B는 콘크리트 속에 존재하는 기포가 배출될 수 있도록 용접하지 않은 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축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거푸집(10)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로 틀을 짜게 된다.
이와 같이 틀을 짤 때에는 상기 거푸집(10)을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의 틀을 형성하며, 각 거푸집(10)의 연결은 조립 핀, 볼트 등으로 연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거푸집(10)을 각각 상. 하. 좌. 우로 연결하여 틀이 완성되면 상기 틀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후 틀 내부로 타설시킨 콘크리트가 굳으면 거푸집(10)을 제거하여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완성한다.
거푸집(10)을 제거할 때는 상기 거푸집(10)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조립핀, 볼트 등을 제거한 다음 견고하게 굳은 콘크리트로부터 거푸집을 제거하면 된다.
상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판(11,12)과 좌. 우측판(13,14)이 일체로 되었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콘크리트의 타설시 상판(11,12)이 콘크리트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격판(13,14,15,16)과 떨어져 분리되는 일이 없으며,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은 후 거푸집을 제거할 때에도 상판(11,12)은 콘크리트에 붙어있는 상태에서 격판(13,14,15,16)만이 떨어져 분리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상판과 좌. 우측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작시의 비용부담을 저렴하게 하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또는 콘크리트가 굳은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판과 측판의 용접된 부분이 떨어져 서로 분리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에 신뢰를 주는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 도 3에서와 같이 좌측 상판과 우측 상판을 용접 결합할 때 용접되는 면 전체를 용접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간격으로 군데 군데 즉, 'A'부분을 용접하여 결합시키기 때문에 'B'부분은 틈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콘크리트에 존재하는 기포가 상기와 같이 틈이 있는 'B'부분으로 빠져 나와 더욱 견고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 저면에 보강리브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각 측면에 측판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거푸집에 있어서,상기 상판을 좌측 상판(11)과 우측 상판(12)으로 분할하고 상기 좌측 상판(11)의 좌측면과 우측 상판(12)의 우측면에 각각 좌측판(13)과 우측판(14)을 일체로 형성하며, 좌측 상판(11)의 우측면과 우측 상판(12)의 좌측면이 결합되도록 용접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별도로 구비한 전측판(15)과 후측판(16)을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7132U KR200167483Y1 (ko) | 1999-08-18 | 1999-08-18 | 거푸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7132U KR200167483Y1 (ko) | 1999-08-18 | 1999-08-18 | 거푸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7483Y1 true KR200167483Y1 (ko) | 2000-02-15 |
Family
ID=1958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7132U KR200167483Y1 (ko) | 1999-08-18 | 1999-08-18 | 거푸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7483Y1 (ko) |
-
1999
- 1999-08-18 KR KR2019990017132U patent/KR20016748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78940A (en) | Method for forming an irregular surface block | |
US5217630A (en) | Apparatus for forming an irregular surface block | |
CN112627033A (zh) | 一种弯桥上预制梁的横隔板浇筑模板及浇筑方法 | |
KR200167483Y1 (ko) | 거푸집 | |
CN111321889A (zh) | 一种预制柱现浇连接节点模板 | |
JP3021990B2 (ja) | 複曲面金型の製造方法 | |
CN215202580U (zh) | 一种预制构件浇筑通道模具的固定工装 | |
CN101204831A (zh) | 一种带肋预制构件板制作方法 | |
CN212224620U (zh) | 一种预制柱现浇连接节点模板 | |
CN219466479U (zh) | 一种密肋组合板成型模具 | |
JP4379840B2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製造用型枠、及びそれを使っ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製造方法 | |
CN214981867U (zh) | 一种便于拆卸的预制建筑成型模具 | |
JPH072175Y2 (ja) | コンクリートトラフ製造用母型枠 | |
CN214977545U (zh) | 用于制作压兰的消失模铸造模具 | |
CN215471899U (zh) | 一种装配式墙体加工模具 | |
CN210387441U (zh) | 一种精铸模 | |
CN210190280U (zh) | 一种新型模具 | |
CN213926607U (zh) | 一种便捷多段式检查井钢模板 | |
CN210086055U (zh) | 针对桥面板的模具装置 | |
CN209920374U (zh) | 一种树脂排水沟生产模具 | |
CN209408831U (zh) | Pc预制构件凸窗外墙朝下钢模 | |
JPH09155846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の製造方法 | |
CN214981840U (zh) | 一种预制件的成型模具 | |
CN211993465U (zh) | 一种预制构件模具的挡浆垫块 | |
CN210685374U (zh) | 一种下沉式现浇板早拆加浆孔体系盖模施工体系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