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752Y1 - 육묘포트 - Google Patents

육묘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752Y1
KR200166752Y1 KR2019990013304U KR19990013304U KR200166752Y1 KR 200166752 Y1 KR200166752 Y1 KR 200166752Y1 KR 2019990013304 U KR2019990013304 U KR 2019990013304U KR 19990013304 U KR19990013304 U KR 19990013304U KR 200166752 Y1 KR200166752 Y1 KR 200166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ort
side wall
pot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게야마히데하루
Original Assignee
김두호
가부시키가이샤 도가이 가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호, 가부시키가이샤 도가이 가세이 filed Critical 김두호
Priority to KR2019990013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묘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측벽(4)과 해당 측벽(4)의 하단에 연속해 있고, 중앙부에서 상기 측벽(4)의 하단부에 걸쳐 연속해서 뻗어있는 내부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홈부(6)를 형성한 바닥면(2)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홈부(6)에 포트 내부를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8)를 형성한 것에 구성의 특징을 갖고, 돌출부(8)가 바닥면(2)의 둘레 단 테두리에서 배수구멍(3)근방에 걸쳐 연속해서 뻗어 있거나 홈부(6)의 대략 교차하는 바닥면(2) 중앙부에 배수구멍(3)이 뚫어 설치되어 있어 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바닥면의 물리 강도의 향상과 상하로 겹친 육묘 포트를 각각 1개씩 떼어내, 예를 들면 트레이에 삽입하는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육묘 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육묘 포트{POT FOR RAISING SEEDLINGS}
본 고안은 야채나 꽂나무 등의 모종을 육묘할 때 사용하는 육묘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바닥면의 물리강도의 향상과 상하에 겹친 육묘 포트를 각각 1개씩 떼어내, 예를 들면 트레이에 삽입하는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육묘 포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야채 모종 또는 꽃 모종 등을 육묘할 때는 폴리에틸렌 또는 비닐 등으로 대표되는 연질 플라스틱제 육묘 포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육묘포트로는 모두 상단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측벽과 해당 측벽 하단에 연속되는 바닥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바닥면의 중앙부에 1개의 배수구멍을, 또는 바닥면의 중앙부 이외의 위치에 복수의 배수구멍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를들면 측벽의 상단 개구 근방에서 바닥면의 중앙부에 걸쳐 연속해서 뻗어있는 복수의 홈부를 형성한 육묘 포트도 공지되어 있다.
이들 육묘 포트는 모두 사용시, 육묘용 바구니 트레이나 셀트레이에, 또는 육묘용 트레이에 설치한 수납 포켓내에 각각 1개씩 셋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육묘 포트는 일반적으로 그 복수개를 상하로 서로 겹친 상태로 보관, 반송, 그리고 시판되고 있고, 사용시에 서로 겹친 육묘 포트를 1개씩 떼어내 상기 트레이류에 셋트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육묘 포트는 모두 연질의 두께가 얇은 소재로, 또 서로 동일한 크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복수를 상하에 서로 겹치면 육묘 포트의 내부면과 인접 육묘 포트의 외부면이 서로 밀착된다. 그때문에, 육묘 포트를 각각 1개씩 떼어내 트레이류에 셋트할 경우, 복수개가 서로 겹쳐진 상대로 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하에 서로 겹쳐진 육묘 포트를 1개씩 떼어내기 어려워 셋트 작업성이 나쁜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각 포트의 측벽의 윗쪽에 오목하게 움푹 패인 형상의 간섭부를 설치하거나(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8-298875호 등), 측벽에 상하 방향의 홈이나 돌출부의 간섭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육묘 포트간의 밀착을 간섭시키도록 구성된 것 등이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예의 창안된 것으로서, 그 해결해야 하는 주요 과제는 상술한 종래의 육묘 포트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주 목적은 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상하로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각각 1개씩 떼어내, 예를 들면 육묘용 트레이의 수납 포켓내에 삽입하는 작업의 작업 효율 등의 향상이 도모되는 육묘 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트의 저면, 특히 측벽 하단과 바닥면의 연접부(둘레 단 테두리부)의 물리적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고, 또 제조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육묘 포트의 구체적인 한 실시예를 바닥측에서 윗쪽을 향해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육묘 포트의 저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육묘 포트 2개를 상하로 겹쳤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바닥면 3 : 배수구멍
4 : 측벽 5 : 움푹 패인 부분
6 : 홈부 8: 돌출부
10 : 육묘 포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이 채택한 수단의 요지는 등록청구범위에 기재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청구항에 기재된 육묘 포트에 의하면 바닥면의 중앙부에서 측벽 하단부에 걸쳐 연속해서 뻗어있는 내부 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홈부에 포트 내부를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가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육묘포트를 상하로 서로 겹쳐도 육묘 포트간의 밀착 방지가 도모되고, 예를 들면 트레이에 대해 각각 1개씩 떼어내 계속해서 삽입하는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 등의 공지된 성형 방법으로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닥면의 중앙부에서 측벽에 걸쳐 연속해서 뻗어있는 내부방향으로 움푹 패인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홈부중에 바닥면 중앙부에서 측벽 둘레단 테두리에 걸쳐 연속되는 돌출부가 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포트의 바닥면 및 바닥면과 측벽의 연접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로서 작용하므로 이들 작용의 덕분으로 원재료가 되는 시트의 두께를 변경하지 않고 포트 전체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육묘 포트의 내부에 배양토가 충전되어도 배양토의 자체 무게에 저항하는 강력한 응력이 얻어져 바닥면이 아래로 드리워지는 일이 없다. 즉, 측벽 지지용 부재를 적극적으로 구비한 구조를 갖고 있지 않은 재배용 선반이나, 예를 들면 바구니 트레이와 같은 트레이라도 포트 자체를 전도시키지 않고, 각각을 자립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홈부의 한단이 특히 측벽 윗쪽의 개구 근방에 위치하는 구성이 채택되어 있으면, 뿌리가 생육하여 포트의 측벽 내측면을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신장해가기 시작할 경우 뿌리의 성장점이 포트의 측벽에 맞닿아 그 이상 가로 방향으로 자라지 않고 아래쪽으로 신장하게 된다. 즉, 뿌리가 엉켜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성장이 좋은 모종을 육묘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3에 기재된 육묘 포트에 의하면 홈부는 육묘 포트 바닥면에서 내부방향으로 움푹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각 홈사이의 바닥면 부분은 아래쪽으로 움푹 패이게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배수구멍은 통기구멍으로서의 작용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육묘 포트를 평탄한 장소에 놓아도 배수구멍에 의해 배수와 공기의 흐름을 촉구할 수 있다.
그리고, 육묘 포트에 채워진 배양토가 건조되면 배양토간의 좁은 틈을 통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윗쪽으로 물이 이동하는 작용이 가해지게 되고, 이들 작용에 영향을 받아 육묘 포트내의 배양토의 수분 유지와 통기를 적절하게 지속시킬 수 있는 등의 구성 전체의 작용에 의한 잇점을 얻을 수 있다.
(고안의 실시형태)
본 고안에 따른 육묘 포트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도시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대표적인 것을 나타낸 것으로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육묘 포트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재료 시트를 소정의 형상을 갖는 금형(金型)상에 배치하고, 진공성형법 또는 압공성형법으로 전체 외관 형상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또, 육묘 포트의 재질은 성형의 용이함이나 비용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연질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육묘 포트(10)를 바닥면(2) 측에서 윗쪽을 향해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동일 육묘 포트(10)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르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육묘 포트(10)를 상하로 겹쳤을 때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이 육묘 포트(10)는 기본적으로는 단측에 있어서 개구 테두리에서 종단하는 횡단면이 원 형상으로 윗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통형상의 경사측벽(4)과 해당 측벽(4)의 축방향 하단측에 연속되는 바닥면(2)으로 이루어지며, 바닥면(2) 중앙부에서 바닥면(2) 둘레 단 테두리에 걸쳐 연속해서 뻗어있는 포트 내부 방향으로 움푹 패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홈부(6)가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홈부(6)중에는 포트(10) 내부를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8)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홈부(6)의 대략 교차하는 바닥면(2)의 중앙부에는 배수구멍(3)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 육묘 포트(10)는 횡단면이 원형상이지만, 횡단면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또는 그 외의 형상이라도 좋고, 어떤 형상이라도 관계없다.
도면에 도시된 홈부(6)의 한단은 포트(10) 측벽(4)의 상단 개구 테두리에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서 종단하고 있다. 이 홈부(6)는 측벽(4)의 중앙 부근이나 하단부에서 뻗어나도 좋지만, 뿌리엉킴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측벽(4)의 상단 개구 테두리 근방에서 뻗어 있는 것이 좋다.
홈부(6)의 깊이와 폭 크기는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할 필요는 없고, 도중에 크기가 달라도 좋다. 홈부(6)의 수는 전부 3∼12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둘레방향으로 가능한한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홈부(6)의 크기 형상이나 배치 위치, 또는 그 전체 형상 등은 모두 적절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사항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돌출부(8)의 한단은 바닥면(4)에 뚫어 설치된 배수구멍(3)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종단해 있고, 타단은 측벽(4)과 바닥면(2)이 교차하는 위치, 즉 바닥면(2)의 둘레 단 테두리에서 종단해 있다. 단, 이 돌출부(8)의 선단 위치를 각각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홈부(6) 전부에 걸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1개마다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돌출부(8)의 깊이와 폭 크기는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할 필요는 없고 도중에 크기가 달라도 좋다.
즉, 돌출부(8)의 크기 형상이나 배치 위치, 또는 그 전체 형상등도 또 적절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사항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육묘 포트는 구조가 매우 간단한 것으로서, 플라스틱의 성형 가공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며, 다량 생산에 적합한 점 등에서 매우 유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육묘 포트에 의하면,
①바닥면에서 내부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홈부에 포트 내부를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육묘 포트를 서로 겹쳐도 육묘 포트 사이가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 1개씩 떼어내, 예를 들면 트레이에 삽입하는 작업의 작업효과가 향상된다.
②홈부와 홈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모두 보강 리브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작용의 덕분으로 원재료가 되는 시트의 두께를 변경하지 않고 포트 전체의 기계적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③육묘 포트의 내부에 배양토가 충전되어도 배양토의 자체무게에 저항하는 강력한 응력이 얻어져 바닥면이 아래쪽으로 드리워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측벽 지지용 부재를 적극적으로 구비하는 구성이 채택되어 있지 않은 선반이나, 예를 들면 바구니 트레이와 같은 트레이라도 포트를 전도시키지 않고 각각 자립시킬 수 있다.
④홈부의 한단이 특히 측벽 윗쪽의 개구 근방에 위치하는 구성이 채택되어 있으면 뿌리가 생육하여 포트의 측벽 내측면을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신장해가기 시작하면 뿌리의 성장점이 포트의 측벽에 맞닿아 그 이상 가로방향으로 자라지 않고 아래쪽으로 신장하게 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뿌리 엉킴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어 고품질의 모종을 육묘할 수 있다.
⑤특히, 청구항 3에 기재된 육묘 포트에 의하면 홈부는 육묘 포트 바닥면에서 내부 방향으로 움푹 패이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홈부 사이의 바닥면 부분은 아래쪽으로 움푹 패이게 되고, 그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 배수구멍은 통기구멍으로서의 작용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육묘 포트를 평탄한 장소에 놓아도 배수구멍에 의해 배수와 공기의 흐름을 촉구할 수 있다. 그리고, 육묘 포트상에 채워진 배양토가 건조되면 배양토간의 좁은 틈을 통과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윗쪽을 향해서 물이 이동하는 작용이 가해지므로, 이들 작용의 덕분으로 육묘 포트내의 배양토의 수분유지와 통기를 적절하게 지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양토중에 뿌리가 잘 자라 뿌리 엉킴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이식 후는 활착이 좋고, 또 뿌리의 생육이 좋아 깊은 층까지 신장되는 이상적인 모종을 육묘할 수 있다. 또한, 매우 실효성이 우수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상단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측벽과, 해당 측벽 하단에 연속해 있고 중앙부에서 상기 측벽 하단부에 걸쳐 연속해서 뻗어있는 내부방향으로 움푹 패인 복수의 홈부를 형성한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육묘 포트로서,
    해당 홈부에 포트내쪽으로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포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바닥면의 둘레 단 테두리에서 상기 배수 구멍 근방에 걸쳐 연속해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포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대략 교차하는 상기 바닥면의 중앙부에 배수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 포트.
KR2019990013304U 1999-07-07 1999-07-07 육묘포트 KR200166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304U KR200166752Y1 (ko) 1999-07-07 1999-07-07 육묘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304U KR200166752Y1 (ko) 1999-07-07 1999-07-07 육묘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752Y1 true KR200166752Y1 (ko) 2000-02-15

Family

ID=1958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304U KR200166752Y1 (ko) 1999-07-07 1999-07-07 육묘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7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0506A (zh) * 2019-11-20 2020-02-18 恩施州源惠科技开发有限公司 鸡头黄精移栽大田时使用的营养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0506A (zh) * 2019-11-20 2020-02-18 恩施州源惠科技开发有限公司 鸡头黄精移栽大田时使用的营养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91170A (en) Container and plant tray
JP4564984B2 (ja) 育苗装置
KR980007956A (ko)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KR200166752Y1 (ko) 육묘포트
JP2000201544A (ja) 育苗用栽培容器
KR200166753Y1 (ko) 육묘용재배용기
JP2000300083A (ja) 育苗ポット
JPH10295193A (ja) 育苗用ポット及び育苗用セルトレー
JP3702380B2 (ja) 栽培容器の製造方法、栽培容器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200234604Y1 (ko) 딸기모종용 포트
KR20100004168U (ko) 공기통공을 구비한 육묘용 연결포트
KR101558845B1 (ko) 식재용 화분 제조방법
CN205389690U (zh) 一种可层叠式蔬菜种植穴盘
JPH119108A (ja) 苗木栽培用容器、苗木の取出装置、及び苗木の取出方法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KR200190628Y1 (ko) 육묘 포트
CN217546811U (zh) 一种引导植物根系生长的注塑育秧盘
JP3058231U (ja) 園芸用トレイ
KR20160141417A (ko) 육묘용 포트
JP3022696U (ja) 野菜用育苗トレイ
JP3738410B2 (ja) 育苗用トレー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JP2002125474A (ja) 栽培容器の製造方法
KR20050109825A (ko) 침엽수용 양묘 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