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956A -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 Google Patents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956A
KR980007956A KR1019980005037A KR19980005037A KR980007956A KR 980007956 A KR980007956 A KR 980007956A KR 1019980005037 A KR1019980005037 A KR 1019980005037A KR 19980005037 A KR19980005037 A KR 19980005037A KR 980007956 A KR980007956 A KR 980007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water supply
water
box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5336B1 (ko
Inventor
왕희지
Original Assignee
왕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희지 filed Critical 왕희지
Priority to KR101998000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5336B1/ko
Publication of KR98000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956A/ko
Priority to GB9903603A priority patent/GB2334420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5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5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연결형 포트, 플러그 포트 및 분리형 포트와 같은 각종 육묘용기와 결합하여 관수를 간편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분이 구비된 육묘용기를 물을 담을 수 있는 관수용 상자 위에 결합하여 재배장에 종횡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묘용기의 각 단위분에 흙을 채우고 파종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용 상자의 일측부에 급수관을 연결하고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용 상자에 담기는 물을 상기 각 단위분에 흡수시켜 묘종에 공급하는 단계를 행하여 육묘하는 관수 육묘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육묘용기의 각 단위분의 바닥부가 접촉되어 간격부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받침돌조를 바닥부에 다수열 형성하고, 주벽의 일측부에는 관수를 위한 급수관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주벽 일측단부에 연장 형성한 지지판에 상기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급수관의 급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품질이 우수한 다량의 묘종을 빠른 기일안에 생산할 수 있고, 인건비 및 관리비를 포함한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발명은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 포트 및 분리형 포트와 같은 각종 육묘용기와 결합하여 관수를 간편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양질의 묘종을 빠른 기일안에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관수 육묘방법 및 육묘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육묘시에 합성수지재 연결형 포트 및 플러그 포트와 같은 육묘용기를 이용하여 육묘용기의 각 단위분에 흙을 채우고, 파종을 하여 묘종을 재배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바, 종래에 육묘용기를 이용하여 육묘를 함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인력으로 물을 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관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인건비가 증가될 뿐아니라, 효과적으로 관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적합하게 관수하기가 어려워 다량의 묘종을 생산하기도 어렵고, 묘종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여 자동관수하기 위해서는 시설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살수 범위가 중첩되거나, 살수되지 않는 부분이 있게 되어 균일 관수를 행하기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균일한 묘종을 얻기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플러그 포트 및 분리형 포트와 같은 각종 육묘용기와 결합하여 관수를 간편용이하게 하도록 하고, 양질의 묘종을 빠른 기일안에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관수 육묘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분이 구비된 육묘용기를 물을 담을 수 있는 관수용 상자 위에 결합하여 재배장에 종횡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묘용기의 각 단위분에 흙을 채우고 파종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용 상자의 일측부에 급수관을 연결하고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용 상자에 담기는 물을 상기 각 단위분에 흡수시켜 묘종에 공급하는 단계를 행하여 육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수 육묘상자는 육묘용기의 각 단위분의 바닥부가 접촉되어 간격부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받침돌조를 바닥부에 다수열 형성하고, 주벽의 일측부에는 관수를 위한 급수관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용기 본체의 주벽 일측단부에 연장 형성한 지지판에 상기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급수관의 급수공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에 형성되고 플러그 포트의 테두리가 접촉되는 테두리에는 상기 용기본체와 플러그 포트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절결홈을 형성하고, 각 절결홈 사이에는 하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을 교호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플러그 포트 및 분리형 포트와 같은 육묘용기에 파종을 하여 다량의 묘종을 재배하면서 육묘용기를 관수 육묘상자에 결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관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넓은 재배장에서 다량의 묘종을 재배하거나 또 소량으로 묘종을 재배하는 경우에도 관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고, 통기도 원활하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관수용 급수관으로서 점적 테이프 뿐아니라, 통상의 합성수지관을 이용하여 급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급수시 관수 육묘상자의 내부에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고, 배수량이 공급량 보다 훨씬 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묘종이 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육묘용기가 관수 육묘상자의 바닥면에 의해 지면과 격리되어 묘종의 뿌리가 지면으로 침투하는 일이 방지되고, 관수 육묘상장의 테두리에 다수개의 분리용 절결홈과 요입홈이 교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묘종이 성장된후 관수 육묘상장와 육묘용기를 분리시킬 때에 간편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관수 육묘상자, 플러그 포트 및 급수관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관수 육묘상자의 사시도.
제3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포트가 결합된 형태를 보인 길이방향 종단면도.
제4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플러그 포트가 결합된 형태를 보인 폭방향 부분 종단면도.
제5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5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급수관이 결합된 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6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분리형 포트가 담긴 형태를 보인 평면도.
제7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분리형 포트가 담긴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8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분리형 포트가 담긴 형태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
제9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분리형 포트가 담긴형태를 보인 부분 확대 종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제10도는 플러그 포트, 관수 육묘상자 및 급수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11도는 결합된 상태를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본체 110 : 주벽
111 : 테두리 112 : 절결홈
113 : 요입홈 120 : 바닥부
130 : 받침돌조 131 : 돌출부
140 : 지지판 150 : 결합홈
160 : 안내로 170 : 지지돌부
171 : 배수공 200 : 육묘용기
200' : 플러그 포트 210 : 단위분
211 : 주벽 216 : 바닥부
230 : 결합홈 231 : 통수공
223 : 테두리 300 : 급수관
301 : 급수공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관수 육묘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분이 구비된 육묘용기를 물을 담을 수 있는 관수용 상자 위에 결합하여 재배장에 종횡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묘용기의 각 단위분에 흙을 채우고 파종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용 상자의 일측부에 급수관을 연결하고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용 상자에 담기는 물을 상기 각 단위분에 흡수시켜 묘종에 공급하는 단계를 행하여 육묘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관수 육묘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도면으로서, 제1도에는 관수 육묘상자, 플러그 포트 및 급수관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제2도에는 관수 육묘상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3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포트가 결합된 형태를 보인 길이방향 종단면도가 도시되고, 제4도에는 관수 육묘상자에 플러그 포트가 결합된 형태를 보인 폭방향 부분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관수 육묘상자의 용기본체(100) 위에 육묘용기(200)가 겹쳐지도록 결합되고, 급수관(300)이 일측부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형태가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육묘용기(200)에는 플러그 포트(200')가 사용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이하, 제1도 내지 제4도를 함께 참조하면, 용기본체(100)는 주벽(110)의 상단부에 테두리(111)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이 길이방향 일측단부에는 지지판(140)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판(140)에는 결합홈(150)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이 결합홈(150)에 급수관(300)이 삽입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 포트(200')는 합성수지 박판으로 공간부(S)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분(210)이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상면판(220)에 일체로 형성되고 각 단위분(210)의 주벽(211)이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부(216)에는 개구부(217)가 형성되고, 상면판(220)의 주연부에는 절곡부(221)와 날개부(222)를 가지는 테두리(223)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에는 복수개의 받침돌조(130)가 배열형성되어 있으며, 각 받침돌조(130)는 복수개의 돌출부(131)로 이루어지고, 각 돌출부(131) 사이에는 통로(132)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각 받침돌조(130)의 양단측 돌출부(131)와 주벽(110) 사이에도 통로가(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100)의 돌출부(131)에는 플러그 포트(200')에 구비된 단위분(210)의 하단부가 접촉됨으로써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와 플러그 포트(200')의 바닥부(216) 사이에는 간격부(D)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급수관(300)에 의해 용기본체(100)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각 통로(132)와 간격부(D)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퍼지게 되며, 공기도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받침돌조(130)의 돌출부(131)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132)는 물이 보다 균일하게 퍼질 수 있도록 인접한 받침돌조(130)의 통로(132)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의 타측 단부에는 물이 배수되도록 배수공(171)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100)의 배수공(171)은 바닥부(120)에 요입부(172)를 형성하고, 이 요입부(172)에 형성하는 것이나, 이와 반대로 바닥부(120)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형성하거나, 평편한 바닥부(120)에 바로 형성할수도 있다.
상기 급수관(300)은 예를 들어 통상의 합성수지관의 주벽에 급수공(301)을 형성한 것을 이용하며, 이 때 배수공(171)의 직경이 급수공(301)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물의 배수량이 공급량 보다 적게 되어 용기본체(100)의 내측에 물이 보다 오래 동안 담겨 있도록 한다.
용기본체(100)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연장 형성된 지지판(140)에는 결합홈(150)에 결합된 급수관(300)의 급수공(301)에서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만곡형 안내로(160)가 급수공(301)과 대응되도록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31)는 바닥부(12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안내로(160)는 바닥부(120)를 향하여 하측으로 만곡 경사되게 형성되며, 안내로(160)의 양측벽은 바닥부(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로(160)의 양측벽과 돌출부(131)는 위에 설명한 기능외에도 보강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0)의 테두리(111)에는 다수개의 절결홈(112)이 형성되고, 각 절결홈(112) 사이에는 하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113)이 교호로 형성되어 묘종이 성장된후 플러그 포트(200')와 용기본체(100)를 분리할 때에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 관수 육묘상자는 용기본체(100)에 결합되는 플러그 포트(200')의 단위분(210)의 공간부(S)에 흙을 채우고 파종한 후, 다수개의 용기본체(100)를 재배장에 배치 정렬시키며, 주벽(11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50)에 급수관(300)을 결합하여, 급수관(300)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묘종을 기르게 된다.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주기적으로 급수를 행하여 용기본체(100)에 물이 담겨지면, 이 물이 플러그 포트(200')에 담긴 흙 속으로 흡수되고, 이 물을 묘종이 흡수하여 성장하게 된다.
플러그 포트(200')는 하단부가 받침돌조(130)의 돌출부(131) 위에 접촉되어 용기본체(100)와 플러그 포트(200')의 바닥부(120),(216) 사이에는 간격부(D)가 유지되어 있고, 플러그 포트(200')의 바닥부(216)에는 개구부(2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본체(100)에 담긴 물이 플러그 포트(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흡수되고, 또 공기도 플러그 포트(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묘종이 왕성하게 성장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급수공(301)이 타측 단부에 형성된 배수공(17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이 공급되는 양 보다 배수되는 양이 적게 되어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담기는 물이 보다 오래 동안 머물러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묘종이 물을 흡수하는 시간이 길게 연장된다.
또,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바닥부(216)와 지면이 격리되어 있으므로, 묘종이 성장함에 따라 바닥부(216)의 개구부(217)를 통해 하측으로 뻗어 자라는 뿌리가 지면으로 침투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100)의 테두리(111)에는 다수개의 절결홈(112)과 요입홈(113)이 교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묘종이 성장된후 플러그 포트(200')와 용기본체(100)를 분리할 때에 테두리(111)의 절결홈(112)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플러그 포트(200')의 날개부(222)를 잡아 올리고, 요입홈(113)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용기본체(100)의 테두리(111)를 밀어 내림으로써 용기본체(100)와 플러그 포트(2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예를 들어 장방형으로 형성하고, 진공성형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기본체(100)의 형상 및 형성방법은 이에 한정할 필요가 없다.
제5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제5도에는 관수 육묘상자에 급수관이 결합된 형태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제6도에는 관수 육묘상자에 분리형 포트가 담긴 형태를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7도에는 관수 육묘상자에 분리형 포트가 담긴 형내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수 육묘상자의 용기본체(100)는 주벽(110)의 상단부에 테두리(111)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긴 길이측 양쪽 주벽(110)의 중간부에는 결합홈(150)이 형성되어 있다.
제8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분리형 포트가 담긴 형태를 보인 부분 절결 사시도를 보인 것이고, 제9도는 관수 육묘상자에 분리형 포트가 담긴 형태를 보인 부분 확대 종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이하 제5도 내지 제9도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분리형 포트(200)가 가지런히 담기게 되며, 용기본체(100)의 주벽(110)에 형성된 결합홈(150)에는 급수관(300)이 결합된다.
상기 분리형 포트(220)는 합성수지 박판으로 형성되어 주벽(211)이 하측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고, 공간부(S)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분(210)이 칸막이 걸림벽(212)에 의해 구분되도록 일체로 연결 형성된 구성이고, 칸막이 걸림벽(212)의 하단부에 연결 받침돌부(213)가 상기 단위분(210)의 바닥부(216) 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 받침돌부(213)의 중간에 절첩부(214)가 형성되고, 주벽 상단부에는 걸림돌조(215)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216)에는 개구부(217)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용기본체(100)에 담긴 분리형 포트(200)의 공간부(S)에는 흙을 채우고, 파종하여 묘종을 기르면서 급수관(300)으로 물을 공급하여 점적시키면 용기본체(100)에 물이 담겨지고, 이 물이 분리형 포트(200)에 담긴 흙 속으로 흡수되어 묘종이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수분이 유지된다.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에는 복수개의 받침돌조(130)가 배열형성되고, 각 받침돌조(130)는 복수개의 돌출부(13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 돌출부(131) 사이에는 통로(132)가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각 받침돌조(130)의 양단측 돌출부(131)와 주벽(110) 사이에도 통로(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100)의 돌출부(131)에는 분리형 포트(200)의 연결 받침돌부(213)가 접촉됨으로써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와 분리형 포트(200)의 바닥부(216) 사이에는 간격부(D)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각 통로(132)와 간격부(D)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퍼지게 되며, 공기도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각 모퉁이부에는 분리형 포트(200)의 하단부 주벽이 걸려 보다 안정하게 접촉 지지되도록 지지돌부(170)가 형성되고, 각 지지돌부(170)의 상면에는 물이 넘치도록 배수공(17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가 유지된다.
용기본체(10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1)와 지지돌부(170)는 바닥부(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가 요입되도록 형성되며, 이 돌출부(131)와 지지돌부(170)는 위에 설명한 기능외에도 보강 기능을 갖게 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 관수 육묘상자는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담기는 분리형 포트(200)의 공간부(S)에 흙을 채우고 파종한 후, 다수개의 용기본체(100)를 재배장에 배치 정렬시키며, 각 용기본체(100)의 주벽(110)에 형성된 결합홈(150)에 급수관(300)을 결합하여, 급수관(300)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묘종을 기르게 된다.
분리형 포트(200)는 연결 받침돌부(213)가 받침돌조(130)의 돌출부(131) 위에 접촉되어 용기본체(100)와 분리형 포트(200)의 바닥부(120),(216) 사이에는 간격부(D)가 유지되어 있고, 분리형 포트(200)의 바닥부(216)에는 개구부(2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기본체(100)에 담긴 물이 분리형 포트(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흡수되고, 또 공기도 분리형 포트(200) 내부로 원활하게 통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묘종이 왕성하게 성장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네귀퉁이에 형성된 지지돌부(170)에는 배수공(171)이 형성되어 물이 넘치도록 되어 있으므로 용기본체(100)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 수위가 유지되고, 이에 따라 분리형 포트(200) 내부로 흡수되는 물의 량이 일정하게 조절된다.
또,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에 의해 분리형 포트(200)의 바닥부(216)가 지면과 격리되어 있으므로, 묘종이 성장함에 따라 바닥부(216)의 개구부(217)를 통해 하측으로 뻗어 자라는 뿌리가 지면으로 침투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 급수관(300)에는 통상의 합성수지관에 급수공(301)을 형성한 것 이외에 점적 테이프(點適 tape)을 이용할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관수 육묘상자는 플러그 포트(200') 및 분리형 포트(200)와 같은 육묘용기(200)를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연결형 포트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여러가지 다른 형태의 육묘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포트, 관수 육묘상자 및 급수관이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제11도는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포트(200')가 용기본체(100)에 결합되고, 플러그 포트(200')의 중간부에 급수관(300)이 결합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일 실시예에서 관수 육묘상자는 용기본체(100)의 일측부에 지지판(140)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판(140)에 결합홈(150)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관수 육묘상자는 지지판(140)이 형성되지 않고, 용기본체(100)의 주벽 상단부에 테두리(111)가 전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포트(200')는 합성수지로 공간부(S)를 가지는 테이퍼형 단위분(210)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상면판(220)에 일체로 형성되고, 각 단위분(210)의 바닥부(216)에는 개구부(217)가 형성되고, 상면판(220)의 주연부에는 절곡부(221)와 날개부(222)를 가지는 테두리(223)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판(220)의 중간부에는 급수공(301)을 가지는 급수관(300)이 결합됨과 아울러 통수공(231)이 구비되는 결합홈(230)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벽 중간부에는 제5도에 도시한 관수 육묘상자의 실시예와 같이 결합홈(150)이 형성되어, 상기 육묘용기(200)의 결합홈(230)이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 양측단부에는 배수공(1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포트(200')의 결합홈(230)에 형성되는 통수공(231)은 급수관(300)의 급수공(301)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원활하게 유통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71)은 통수공(231)의 보다 훨씬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0도 및 제11도와 같이 관수 육묘상자의 용기본체(100) 위에 플러그 포트(200')를 결합하고, 플러그 포트(200')의 중간부에 형성된 결합홈(230)에 급수관(300)을 결합하여 육묘를 행하게 되며, 육묘, 관수 작용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행하여진다.
상기 플러그 포트(200')에 형성되는 결합홈(230)은 하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결합홈(230)을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할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는 플러그 포트(200')를 용기본체(100) 위에 결합하고, 플러그 포트(200')의 위로 볼록한 결합홈(230)과 용기본체(100)의 결합홈(150)사이에 급수관(300)을 결합하여 관수를 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육묘용기(200)에 플러그 포트(200') 및 분리형 포트(200)가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연결형 포트 및 하나씩 분리형성된 통상의 개별분에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으며, 그외 다른 형태의 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플러그 포트 및 분리형 포트와 같은 육묘용기에 파종을 하여 다량의 묘종을 재배하면서 육묘용기를 관수 육묘상자에 결합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관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넓은 재배장에서 다량의 묘종을 재배하거나 또 소량을 묘종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관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되고, 통기도 원활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 관수용 급수관으로서 점적 테이프 뿐아니라, 통상의 합성수지판을 이용하여 급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급수시 관수 육묘상자의 내부에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고, 배수량이 공급량 보다 훨씬 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묘종이 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육묘용기가 관수 육묘상자의 바닥면에 의해 지면과 격리되어 묘종의 뿌리가 지면으로 침투하는 일이 방지되고, 관수 육묘상자의 테두리에 다수개의 분리용 절결홈과 요입홈이 교호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묘종이 성장된후 관수 육묘상자와 육묘용기를 분리시킬 때에 간편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품질이 우수한 다량의 묘종을 빠른 기일안에 생산할 수 있고, 인건비 및 관리비를 포함한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분이 구비된 육묘용기를 물을 담을 수 있는 관수용 상자 위에 결합하여 재배장에 종횡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육묘용기의 각 단위분에 흙을 채우고 파종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용 상자의 일측부에 급수관을 연결하고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관수용 상자에 담기는 물을 상기 각 단위분에 흡수시켜 묘종에 공급하는 단계를 행하여 육묘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육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용 상자에 공급 및 배수되는 물의 양을 배수량이 공급량 보다 적게 되도록 관수하여 물이 체류되고 흡수되는 시간이 연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육묘방법.
  3. 육묘용기(2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분(210)의 바닥부(216)가 접촉되어 간격부(D)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돌출부(131)가 구비되는 받침돌조(130)를 용기본체(100)의 바닥부(120)에 다수열 형성하고, 주벽(211)의 일측부에는 관수를 위한 급수관(30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50)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육묘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주벽(211) 일측단부에 연장 형성한 지지판(140)에 상기 결합홈(15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40)에는 급수관(300)의 급수공(301)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로(160)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며, 상기 바닥부(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171)을 형성하여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육묘상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에 형성되고 플러그 포트(200')의 테두리(223)가 접촉되는 테두리(111)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와 플러그 포트(20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절결홈(112)을 형성하고, 각 절결홈(112) 사이에는 하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113)을 교호로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육묘상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양측 주벽(110)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상기 급수관(3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150)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 육묘상자.
  7. 합성수지로 공간부(S)를 가지는 테이퍼형 단위분(210) 복수개가 종,횡으로 배열되도록 상면판(220)에 일체로 형성하고, 각 단위분(210)의 바닥부(216)에는 개구부(217)가 형성되고, 상면판(220)의 주연부에는 절곡부(221)와 날개부(222)를 가지는 테두리(223)가 형성되며, 상기 상면판(220)의 중간부에는 급수공(301)을 가지는 급수관(300)이 결합됨과 아울러 통수공(231)이 구비되는 결합홈(230)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포트.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80005037A 1998-02-18 1998-02-18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KR100245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037A KR100245336B1 (ko) 1998-02-18 1998-02-18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GB9903603A GB2334420B (en) 1998-02-18 1999-02-18 Water supply type plant cul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037A KR100245336B1 (ko) 1998-02-18 1998-02-18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956A true KR980007956A (ko) 1998-04-30
KR100245336B1 KR100245336B1 (ko) 2000-02-15

Family

ID=1953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037A KR100245336B1 (ko) 1998-02-18 1998-02-18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45336B1 (ko)
GB (1) GB23344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30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포이엔 해충 방제 기능을 가지는 식생기반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3838C2 (nl) * 1999-12-14 2001-06-15 Synprodo Plantpak B V Systeem omvattende een in een bak positioneerbare plaatvormige drager.
GB2358571B (en) * 2000-01-27 2003-11-26 John Brennan Wyncoll Slug and snail deterrent device
BE1015887A3 (nl) * 2004-02-04 2005-11-08 Didak Injection Nv Verbeterde tray voor het cultiveren en/of transporteren van planten en inrichting voor het irrigeren van zulke trays.
FR2884107B1 (fr) * 2005-04-07 2008-11-14 Prm Soc Par Actions Simplifiee Dispositif a reservoir de liquide pour la culture d'une surface
GB2433015A (en) * 2005-12-09 2007-06-13 Smith Plastics Ltd H Plant pot unit
KR100834994B1 (ko) 2007-03-26 2008-06-10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잔디생육장치
KR100876048B1 (ko)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US20130205664A1 (en) * 2010-05-19 2013-08-15 Suntory Holdings Limited Plant cultivation container
KR200469008Y1 (ko) * 2011-06-14 2013-09-11 고양시농업기술센터 소형 분화 유통트레이
CN103362251A (zh) * 2012-04-06 2013-10-23 西南科技大学 一种滴灌种植屋面砖
KR101315283B1 (ko) 2013-01-11 2013-10-08 주식회사 가드닝 식재 모듈과 이를 갖는 인공 구조물의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DK2803261T3 (en) 2013-05-16 2017-04-24 Nelson Garden AB Plant propagation container, a tray and a greenhouse for the container, and a method for propagating the growth of cuttings
CN106613490A (zh) * 2017-02-16 2017-05-10 马玉荣 一种用于花卉种子栽培的育苗穴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20945A (en) * 1964-04-30 1966-02-23 Lustroid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plant pots
GB2115664B (en) * 1982-02-25 1985-08-14 Stephen John Scrivens Plant watering apparatus
GB2331907A (en) * 1997-12-03 1999-06-09 Nutriculture Limited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30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포이엔 해충 방제 기능을 가지는 식생기반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5336B1 (ko) 2000-02-15
GB2334420B (en) 2000-11-08
GB2334420A (en) 1999-08-25
GB9903603D0 (en) 199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336B1 (ko)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JP4564984B2 (ja) 育苗装置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101382834B1 (ko) 관수와 이식이 용이한 육묘용 포트
TWM606075U (zh) 盆栽植物栽培端盤底部灌溉系統
KR101915125B1 (ko) 수경재배용 베드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JP3689352B2 (ja) 栽培容器用補助具
KR20070093504A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부재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191189Y1 (ko) 화분용 관수육묘상자
CN210094111U (zh) 一种富贵子种植用育苗装置
JP4029136B2 (ja) 水耕栽培用ベッド部材と水耕栽培用ベッド
JP2002153134A (ja) 高設栽培容器
JP7445217B2 (ja) 植物栽培用容器及び植物の栽培方法
CN217936633U (zh) 重叠结构双层育苗盘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CN218042726U (zh) 一种分离式草莓育苗盘
KR200183234Y1 (ko) 배수돌편이 구비된 육묘상자
CN217445987U (zh) 一种草莓育苗穴盘
KR200146903Y1 (ko) 미니화분세트
JPH0741331Y2 (ja) かいわれ大根の栽培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