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994B1 - 잔디생육장치 - Google Patents

잔디생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994B1
KR100834994B1 KR1020070029472A KR20070029472A KR100834994B1 KR 100834994 B1 KR100834994 B1 KR 100834994B1 KR 1020070029472 A KR1020070029472 A KR 1020070029472A KR 20070029472 A KR20070029472 A KR 20070029472A KR 100834994 B1 KR100834994 B1 KR 100834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edling box
main body
outle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70029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츄리효과에 의해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잔디생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잔디생육장치는 저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육묘상자와, 육묘상자가 설치되는 육묘상자 설치부와 육묘상자 설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배출부를 가진 본체와, 본체의 물공급/배출부의 측벽에 관통 설치되어 물을 수평으로 고속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본체의 물공급/배출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물을 배수하는 배출구와, 분사노즐로 공급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구비하고, 배출구의 유로는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벤츄리 효과에 의해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배출구는 분사노즐의 단부의 직하방에 마련되어 배출구의 압력과 대기압 차이가 물의 수압보다 크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잔디생육장치에 의하면 벤츄리 효과에 의해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하여 배출구를 개폐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잔디생육, 육묘상자, 잔디, 벤츄리효과

Description

잔디생육장치{Apparatus for lawn cultiv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디생육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잔디생육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잔디가 생육되고 있는 잔디생육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벤츄리 효과에 의해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는 작동원리를 나타내 보인 잔디생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잔디생육장치 20: 본체
23: 육묘상자설치부 27: 물공급/배출부
30: 육묘상자 40: 분사노즐
60: 배출구 70: 저수조
본 발명은 잔디생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노즐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물의 벤츄리 효과에 의해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한 잔디생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잔디는 벼목 벼과에 속하는 다년초 식물로서, 줄기가 땅바닥에 붙어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마디 뿌리가 내려 자생력이 강한 식물인바, 현재 잔디의 종류로는 들잔디, 금잔디, 켄터키블루글래스 등 수십여 종이 있으며 주로 관상용이나 조경용 또는 지표면 보호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잔디를 재배함에 있어 종래에는 노지에서 재배함으로 인하여 여러모로 비생산적이었다. 즉 잔디를 노지에서 재배하게 되면 잔디 외에도 잡풀이 섞이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재배지 면적의 크기 이상으로 재배가 불가능하므로 비경제적이었다. 또한, 묘지나 산지의 경사면, 골프장 등 잔디를 필요로 하는 곳에, 이른바 뗏장 형상으로 떼어내어 잔디를 옮겨 심을 때에도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통상적인 뗏장 크기의 육묘상자 또는 육묘판에 직접 잔디를 심어 재배할 수 있는 육묘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육묘장치를 이용하여 잔디를 재배하는 경우 육묘상자를 여러 층으로 적층시킬 수가 있어 단위 면적당 재배면적이 노지에 비하여 수배이상 높아져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잔디를 옮겨 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렇게 육묘장치를 이용하여 잔디를 재배할 경우 많은 양의 물을 육묘장치 내의 육묘상자로 공급하여야 하는 데, 물공급 방법으로는 살수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육묘상자로 연통되는 수로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육묘장치는 본체에 설치된 육묘상자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 시키기 위해 매번 배출구를 개폐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작업의 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출구를 개폐하는 별도의 개폐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분사노즐의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잔디생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생육장치는 저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육묘상자와; 상기 육묘상자가 설치되는 육묘상자 설치부와, 상기 육묘상자 설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배출부를 가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물공급/배출부의 측벽에 관통 설치되어 물을 수평으로 고속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의 물공급/배출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물을 배수하는 배출구와;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의 유로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벤츄리효과에 의해 상기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의 직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의 압력과 대기압 차이가 물의 수압보다 크도록 설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잔디생육장치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디생육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잔디생육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잔디가 생육되고 있는 잔디생육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벤츄리 효과에 의해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는 작동원리를 나타내 보인 잔디생육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잔디생육장치(10)는 잔디가 생육되는 육묘상자(30)와, 육묘상자 설치부(23)와 육묘상자 설치부(23)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배출부(27)를 가진 본체(20)와, 본체(20)에 설치되는 분사노즐(40)과, 배출구(60)와,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70)를 구비한다.
육묘상자(30) 내에는 배양토가 깔리고 그 위에서 잔디(35)가 발아하여 생육된다. 따라서 육묘상자(30)의 내부의 배양토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육묘상자(3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30a)이 형성된다.
육묘상자(30)가 설치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2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본체(20)에 설치되는 육묘상자(30) 내부로 잔디(35)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흘려보낸다.
본체(20)는 다수개의 육묘상자(30)가 설치되는 육묘상자 설치부(23)와 육묘상자 설치부(23)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배출부(27)를 갖는다. 그리고 본체(20)의 하부에는 지면으로부터 본체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다리(29)가 마련된다.
육묘상자 설치부(23)에는 다수개의 육묘상자(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각각의 육묘상자(3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대(25)가 마련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대(25)가 선택사항임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수 개의 육묘상자(30)를 설치하기 위해 선반 형상으로 층층이 적층될 수 있도록 육묘상자 설치부(23)에는 별도의 적층부재가 마련되어 육묘상자(30)가 여러 층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20)의 일측에는 육묘상자설치부(23)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배출부(27)가 마련된다. 물공급/배출부(27)는 본체(20)의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잉여의 물을 본체(20)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물공급/배출부(27)에는 분사 노즐(40)과 배출구(60)가 설치된다.
분사노즐(40)은 본체(20)의 물공급/배출부(27)의 일 측벽에 본체(20)의 바닥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본체(20) 내부로 물을 수평으로 고속분사한다.
배출구(60)는 본체(20)의 물공급/배출부(27)의 저면에 설치되어, 본체(20)의 바닥에 고인 물을 배출시킨다. 그리고 배출되는 물은 배출구(60)에 연결된 물배출관(63)을 통해 저수조(70)로 배출된다.
분사노즐(40)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벤츄리효과에 의해 배출구(60)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배출구(60)가 분사노즐(40)의 단부의 직하방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노즐(40)에서 분사된 물이 배출구(60)의 상방으로 고속 통과하면 물의 빠른 유속에 의해 배출구(60) 부근의 압력이 낮아진다. 따라서 배출구(60)의 압력이 저수조(70)에 작용하는 대기압보다 현저히 낮아져 저수조(70)의 물을 물 배출관(63)을 통하여 배출구(60)측으로 상승시키는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 경우 배출 구(60)의 압력과 대기압의 차이가 물배출관(63) 내의 물의 수압보다 크도록 분사속도를 설정함으로써 상승된 물에 의해 배출구(60)의 유로가 폐쇄된다.
분사노즐(40)을 통한 물 분사가 중단되면 배출구(60)의 압력이 다시 높아져 대기압과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배출구(60)가 개방되어 본체(20)내의 물이 저수조(70)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구성에 따르면 물 배출시 별도의 개폐장치에 의해 매번 배출구(60)를 개폐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40)에 일정한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은 펌프(55)와 제 1물공급관(53)과 제 2물공급관(57)을 갖는다.
펌프(55)는 일측에 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타측에 물을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를 구비한다. 펌프(55)는 저수조(70)와 연결된 제 2물공급관(57)으로부터 물을 흡입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제 1물공급관(53)을 통해 물을 토출하여 분사노즐(40)로 물을 공급한다.
저수조(70)는 물공급수단에 의해 분사노즐(40)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저수조(70)의 내측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물공급/배출부(27)의 분사노즐(40)에서 물이 분사되어 본체(20) 내부로 공급되면, 물은 본체(20)의 바닥을 따라 육묘상자설치부(23)로 흘러간다. 그리고 육묘상자(30)의 내부의 배양토로 충분히 흡수되고 남은 잉여의 물은 물공급/배출부(27)의 배출구(60)를 통해 저수조(70)로 배출된다. 본체(20)의 배출구(6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다시 저수조(70)로 배수됨으로써 물 절감의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저수조(70)는 배출구(60)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분사노즐(40)에서 물의 분사가 중단되는 경우 본체(20)에 공급된 물은 배출구(60)를 통해 자연낙하하여 저수조(70)로 배출된다. 한편, 저수조(70)에는 잔디(35)의 생육에 필요한 영양액이 저장되어 본체(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디생육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수조(70)에 저장된 물은 제 2물공급관(57)을 통하여 펌프(55)에 흡입된다. 펌프(55)에 흡입된 물은 제 1물공급관(53)을 통하여 토출된다. 제 1물공급관(53)을 통하여 토출된 물은 분사노즐(40)을 통하여 고속으로 수평분사된다. 분사노즐(40)에서 물이 분사되는 동안 벤츄리 효과에 의해 배출구(60)의 유로는 폐쇄되므로, 공급된 물이 배출구(60)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분사노즐(40)에 의해 본체(20)의 내부로 분사된 물은 본체(20)의 바닥을 따라 육묘상자(30)가 설치되어 있는 육묘상자 설치부(23)로 흘러간다. 물이 본체(20)의 바닥에 일정 정도 저장이 되면 육묘상자(30)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육묘상자(30) 내부에서 생육되는 잔디(35)에 제공된다.
그리고 물의 분사가 중단되면 배출구(60)의 유로가 개방되어 육묘상자(30)에 제공되고 남은 잉여의 물이 배출구(60)를 통해 배출된다. 배출구(60)에서 배출된 물은 저수조(70)로 배수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디생육장치는, 분사노즐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물의 벤츄리 효과에 의해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하여 잔디생육장치에 물을 공급하거나 배출시 매번 배출구를 개폐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생육장치는 별도의 개폐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저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육묘상자와;
    상기 육묘상자가 설치되는 육묘상자 설치부와, 상기 육묘상자 설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배출부를 가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물공급/배출부의 측벽에 관통 설치되어 물을 수평으로 고속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본체의 물공급/배출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물을 배수하는 배출구와;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의 유로는 상기 분사노즐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벤츄리효과에 의해 상기 배출구의 유로가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생육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의 직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의 압력과 대기압 차이가 물의 수압보다 크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생육장치.
KR1020070029472A 2007-03-26 2007-03-26 잔디생육장치 KR100834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472A KR100834994B1 (ko) 2007-03-26 2007-03-26 잔디생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472A KR100834994B1 (ko) 2007-03-26 2007-03-26 잔디생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994B1 true KR100834994B1 (ko) 2008-06-10

Family

ID=39769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472A KR100834994B1 (ko) 2007-03-26 2007-03-26 잔디생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3475A1 (de) * 2021-07-26 2023-05-03 Wolfgang Plattner Dachkonstruktion, gebäude mit dachkonstruktio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achkonstruk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101U (ko) * 1996-03-04 1997-10-13 한솔제지주식회사 가정용 수경 재배기
KR20000000077A (ko) * 1999-09-07 2000-01-15 김종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된 무공해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KR100245336B1 (ko) 1998-02-18 2000-02-15 왕희지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KR200344780Y1 (ko) 2003-12-02 2004-03-11 주식회사 남진농기 육묘장치
KR100607134B1 (ko) 2004-10-25 2006-08-02 최영순 은도금된 잔디재배용 육묘상자를 이용한 잔디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101U (ko) * 1996-03-04 1997-10-13 한솔제지주식회사 가정용 수경 재배기
KR100245336B1 (ko) 1998-02-18 2000-02-15 왕희지 관수 육묘방법 및 관수 육묘상자
KR20000000077A (ko) * 1999-09-07 2000-01-15 김종대 미네랄이 다량 함유된 무공해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KR200344780Y1 (ko) 2003-12-02 2004-03-11 주식회사 남진농기 육묘장치
KR100607134B1 (ko) 2004-10-25 2006-08-02 최영순 은도금된 잔디재배용 육묘상자를 이용한 잔디재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73475A1 (de) * 2021-07-26 2023-05-03 Wolfgang Plattner Dachkonstruktion, gebäude mit dachkonstruktio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achkonstruk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605B1 (ko) 수경재배기
US8904705B2 (en) Aeroponic system and sprayer device for improved plant growth and aeration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US20120297678A1 (en)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CN108157028A (zh) 农用大棚及大棚种植方法
KR101644630B1 (ko) 농사용 공기주입장치
US10701874B2 (en) Pot flower
KR20130121821A (ko) 다층 원예 구조물용 급수 및 배수 장치
KR20100109751A (ko) 수경 재배기
CN210445021U (zh) 一种农业苗木种植用育苗装置
CN107926492A (zh) 一种浇水均匀的蘑菇培育装置
KR100834994B1 (ko) 잔디생육장치
KR100991332B1 (ko) 가로등 화분의 급수장치
JP2007236294A (ja) 隔離床栽培用プランター
KR20190045694A (ko) 관수장치가 구비된 롤러타입 양파 파종기
CN105875389A (zh) 植物栽培装置
JP5259330B2 (ja) 育苗箱ホルダー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TWM450205U (zh) 植物栽培模組
KR20120129724A (ko) 수경재배기를 위한 이중 구조 양액 배출기
KR20120037621A (ko) 콩나물 재배기
CN111448921A (zh) 植物培养装置
WO2014042286A1 (ja) 自動底面灌水装置
KR102545541B1 (ko) 모듈형 토양관제화 식물재배기
KR102414636B1 (ko) 식물재배가 용이한 주머니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