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706Y1 - 곡물건조기 - Google Patents

곡물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706Y1
KR200166706Y1 KR2019970031416U KR19970031416U KR200166706Y1 KR 200166706 Y1 KR200166706 Y1 KR 200166706Y1 KR 2019970031416 U KR2019970031416 U KR 2019970031416U KR 19970031416 U KR19970031416 U KR 19970031416U KR 200166706 Y1 KR200166706 Y1 KR 200166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torage tank
hot air
dry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192U (ko
Inventor
박양순
Original Assignee
박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순 filed Critical 박해순
Priority to KR2019970031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706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1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7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Abstract

본 고안은 벼 등 곡물이나 감자, 고구마등 구근류(球根類) 또는 고추, 참깨등 밭작물(이하 "곡물" 이라 함)를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 또는 건조시키는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는 저장 탱크내에 곡물 등을 투입하거나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서 대체하고 저장탱크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별도로 설치된 분배지관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저장탱크를 형성하는 프레임 및 고추, 참깨 등을 얹도록 하는 체반의 프레임내에 열풍을 공급하도록하여 열풍을 탱크내로 불어넣어 주도록 하므로서 곡물건조기의 설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곡물건조기의 건조기능을 강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인데, 본 고안의 곡물건조기는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저장탱크(100)와 저장탱크(100)에 곡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곡물을 이송하거나 저장탱크(100)으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저장포대 등에 담도록 이송하는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곡물 이송버킷콘베어(200) 그리고 저장탱크(100)에 곡물을 담기 위하여 곡물이송버킷콘베어(200)의 하단에 곡물을 싣도록 하는 장입호퍼(300) 그리고 곡물이송콘베어(200)의 상단부로부터 반출되는 곡물을 받아 곡물저장탱크(100)내로 투입하는 곡물유도장입부(400) 그리고 저장탱크(100)의 깔대기형태를 취한 한쌍의 배출구(101, 101)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이송콘베어(200)의 하단측으로 이송하는 곡물배출유로부(500) 및 저장탱크내(100)내로 열풍을 여러 형태의 풍관을 통해 송입시키는 열풍부(6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곡물건조기
제1도는 선원 고안에 따른 곡물저장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투시사시도,
제3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하측부 투시사시도,
제5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상측부 단면 저면도,
제6도는 본원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곡물이송콘베어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저장탱크 200 : 곡물이송콘베어
300 : 장입호퍼 400 : 곡물유도장입부
500 : 곡물배출유로부 600 : 열풍부
700 : 풍로
본 고안은 벼 등 곡물이나 감자, 고구마등 구근류(球根類) 또는 고추, 참깨등 밭작물(이하 "곡물" 이라 함)를 신선하게 장기간 보관 또는 건조시키는 곡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재래 곡물 저장장치는 지상에 곡물 저장탱크를 형성 설치하고 탱크의 사방면을 따라 공기가 통하는 통풍구만 가공하여 곡물을 저장하였기 대문에 곡물탱크에 다량의 곡물을 투입할때나 탱크안에 투입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할때에 인력을 동원하여 수동적으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원과 시간을 필요로 하였으며 또 탱크안에 다량의 곡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장기간 보관할때에는 건조가 잘 안된 곡물의 경우에는 탱크의 안쪽이나 깊은쪽에 있는 곡물은 통풍이 되지않아 부패되기 때문에 탱크를 대형으로 만들지 못하고 비교적 규모가 작은 탱크를 만들어 곡물을 단기간 저장하는 정도로 밖에 사용할 수가 없었다.
이와같은 재래의 곡물저장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본원 출원에 선행하는 곡물저장장치에 관하여 고안을 하고 출원하였는데(출원번호 실용신안 제 93-10625호, 이하 선출원 고안이라 한다) 선원 고안은 제1도에 도시된바처럼 탱크(1)를 대용량으로 형성하고 탱크(1)에는 탱크안에 곡물을 투입하는 투입장치(2)와 탱크안의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3)를 장착하여 탱크(1)에로의 곡물투입과 배출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장기간 보관시에는 탱크안에 저장된 곡물을 순환시키면서 건조와 통풍을 수시로 시행하도록 하므로서 다량의 곡물을 장기간 보관하여도 곡물이 부패하거나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 곡물을 신선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으며, 또한 콘바인에서 탈곡된 습한 곡물을 강제순환방식으로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곡물건조장치(5)가 있는 곡물저장장치인 것이다.
이와같은 선출원 고안은 상기한바처럼 곡물을 탱크(1)내로 투입하는 곡물투입장치(2)와 곡물을 배출하는 배출장치(3)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였고, 탱크(1)내에 저장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곡물 건조장치(5)는 온풍기(51)의 열풍을 분배본관(52)과 분배지관(53)을 통하여 캥크(1)내에 균분하여 공급하는데, 상기 분배본관(52)을 탱크(1) 바닥면에 깔고 분배본관(52)에 연결된 다수개의 분배지관(53)을 탱크(1)내에 세워 설치하고 분배지관(53)과 분배본관(52)에는 분배구멍(54)을 형성시겼다.
이같은 선출원 고안에 따른 곡물저장장치를 개량 보완하여 본 고안을 창안하였는데 본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는 저장 탱크내에 곡물 등을 투입하거나 탱크 밖으로 배출하는 장치를 하나의 장치로서 대체하고 저장탱크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것을 별도로 설치된 분배지관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 저장탱크를 형성하는 프레임 및 고추, 참깨 등을 얹도록 하는 체반의 프레임내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하여 열풍을 탱크내로 불어넣어 주도록 하므로서 곡물건조기의 설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곡물 건조기의 건조기능을 강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에 대하여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부분분해투시사시도인데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고안의 곡물건조기는 곡물이 저장되는 곡물저장탱크(100)와 저장탱크(100)에 곡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곡물을 이송하거나 저장탱크(100)로부터 배출된 곡물을 저장포대 등에 담도록 이송하는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곡물, 이송버킷콘베어(200) 그리고 저장탱크(100)에 곡물을 담기 위하여 곡물이송버킷콘베어(200)의 하단에 곡물을 싣도록 하는 장입호퍼(300) 그리고 곡물이송콘베어(200)의 상단부로부터 반출되는 곡물을 받아 곡물저장탱크(100)내로 투입하는 곡물유도장입부(400) 그리고 저장탱크(100)의 깔대기형태를 취한 한쌍의 배출구(101, 101)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이송콘베어(200)의 하단측으로 이송하는 곡물배출유로부(500) 및 저장탱크내(100)내로 열풍을 여러 형태의 풍관을 통해 송입시키는 열풍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100)는 대략 육면체통 형상을 취하며, 그 바닥면은 경사진 2개의 깔대기 형태를 취하면서 그 하단부에 배출구(101)가 형성되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은 충상으로 된 구조를 취하고 그 내부공간은 후술하는 열풍부(600)의 저부열풍로(601)를 형성하며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의 내측판에는 저부 열풍로(601)의 열풍이 뿜어나오는 열풍구(102)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제4도 참조)
상기 곡물이송콘베어(200)는 제2도에 도시된바처럼 곡물저장탱크(10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버킷(201)을 벨트(202)에 연결 이 벨트(202)를 상,하 로울로(202R)에 장착하여 이를 구동모터(203)에 의해 버킷(201)을 상에서 하로, 하에서 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곡물이송버킷콘베어(200)의 하단부에 후술하는 장입호퍼(300)로부터 배출된 곡물은 일시 저장하는 곡물수집통(204)이 형성되며, 이 곡물수집통(204)의 일측면 윗쪽을 장입호퍼(300)가 형성되어 장입호퍼(300)에 장입된 곡물이 곡물수집통(204)로 투입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유도분배장입부(400)는 제3도에 도시된바처럼 저장탱크(100)의 상부판저면에 부착 형성된 것으로 원통상으로 되고 저부쪽에 곡물분배구(400h)가 형성된 분배통(401)과 이 분배통(401)내에는 분배스크류(40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분배통(401)의 일측은 곡물이송버킷콘베어(200)의 상부측에 연통되어 버킷(201)에 의해 담겨 이송되어온 곡물이 분배통(401)으로 공급되도록 분배통(401)의 일측 상부면에 투입구(401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곡물배출유도부(500)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저장탱크(100)의 배출구(101)의 아래측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의 경사진면으로 된 외측 바닥면 중앙에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반원통상의 배출통(501)이 형성되고 이 배출통(501)내에는 배출스크류(502)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배출통(501)의 타단부는 상기 곡물이송콘베어(200)의 곡물수집통(204)에 연통되어 상기 저장탱크(100)의 배출구(101)에는 배출개폐판(503)이 형성되어 자동제어되도록 되어 있는데(제4도참조) 저장탱크(100)로부터 곡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는 배출개폐판(503)으로 하여금 배출구(101)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곡물이송버킷콘베어(200)의 상단부측면에 하단측의 곡물수집통(204)로부터 버킷(201)에 의하여 이송되어온 배출되는 곡물을 건조기 밖으로 내보내는 반출구(OT) 및 반출호스(OTH)가 형성되는데 상기 반출구(OT)는 상기 유도분배장입구(400)의 분배통(401)의 자유단부측에 연이어 형성되고 분배통(401)과 반출구(OT)사이 격벽상부에 힌지 조립되어 반출구(OT)와 분배통(401)의 투입구(401h)는 교호적으로 막거나 개방하는 곡물투입안내판(P)이 형성되는데 이 곡물투입안내판(P)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즉, 곡물수집통(204)로부터 버킷(201)이 상부측으로 이송되어 오면 이송되어오는 곡물을 건조기 밖으로 반출하고자할때는 분배통(401)의 투입구(401h)를 곡물투입안내판(P)에 의해 차단하여 이송되어온 곡물을 반출호스(OTH)로 내보내도로 하며 버킷(201)에 의해 이송되어온 곡물을 저장탱크(100)내에 저장하고자할대는 반출구(OT)를 곡물투입안내판(P)으로 막아 곡물을 분배통(401)의 투입구(201h)로 투입시켜 저장탱크(100)내로 분배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열풍부(600)는 히터 및 송풍기로 구성되는 발풍기(610)와 저장탱크(100)의 저면에 형성된 저부열풍로(601)와 측면열풍로(602)로 구성되로, 상기 풍로(700)는 저장탱크(100)의 내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그 상단부를 개방구로 하고 상기 유도분배장입부(400)의 분배통(401)에 일측단부측 저면측에 형성된 곡물분배구(400h)의 직하단에 설치하여 저장탱크(100)내로 떨어지는 곡물에 섞여 있는 가벼운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날려보내도록 한 것으로 그 하단부는 열풍팬(도시생략)이 형성되고, 이 열풍팬은 곡물저장탱크(100)의 아래측 건조기의 외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열풍부(600)의 저부열풍로(601)와, 측면열풍로(602) 발풍기(610)와 상호 연통되어 발풍기(601)로부터 발생된 열풍 또는 바람은 상기 저부와 측면 풍로(601, 602)으로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열풍로(602)에는 복수개의 열풍채반(604)가 연통되어 형성되며, 이 열풍채반(604)에는 다수개의 풍구(604h)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고추나 참깨 등을 얹어 놓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풍로(700)는 곡물분배구(400h)로부터 저장탱크(100)내로 떨어질 때 곡물중에 섞여 있는 먼지나 티끌을 흡입하여 건조기의 밖으로 반출하도록 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장입호퍼(300)로 곡물이 투입되면 곡물이송버킷콘베어(200)의 곡물수집통(204)로 곡물이 이동하고 곡물수집통(204)에 수집된 곡물은 벨트(202)에 이해 순환하는 버킷(201)이 곡물수집통(204)에서 퍼담아서 상부측으로 이송하여 유도분배장입부(400)의 분배통(401)에 형성된 투입구(401h)로 곡물을 장입하면 분배스크류(400)에 의해 곡물을 이송하여 다수개의 곡물분배구(400h)를 통해 저장탱크(100)내에 분배하면서 곡물을 저장하는 것이다.
그리고 저장탱크(100)의 배출구(101)에 설치된 배출개폐판(503)을 젖히어 배출구(101)를 개방하면 저장된 곡물이 곡물배출유도부(500)의 배출통(501)으로 쏟아져 들어가게 되고 배출스크류(502)가 작동되어 곡물이송버킷콘베어(200)의 하단에 형성된 곡물수집통(204)으로 곡물이 이송되고 이렇게 곡물수집통(204)에 수집된 배출된 곡물은 곡물이송버킷콘베어(200)의 작동으로 벨트(202)를 따라 순회하는 버킷(201)이 퍼담아 곡물이송콘베어(200)의 상부측에 형성된 곡물투입안내판(P)이 유도분배장입부(400)의 분배동(401)의 투입구(401h)를 차단하면 반출구(OT)쪽으로 곡물 이송하여 퍼부어주면 곡물은 반출호스(OTH)를 따라 건조기 밖으로 반출되는 것이며, 반대로 곡물투입안내판(P)이 반출구(OT)를 차단하면 버팃(201)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곡물은 유도분배장입부(400)의 분배통(401)의 투입구(401h)에 쏟아져 저장탱크(100)내로 다시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제6도 참조)
그리고 저장탱크(100)내에 저장된 곡물을 건조시키고자 할 때는 열풍부(600)의 발풍기(610)를 작동시키는데 이때 히터를 작동시키면 열풍이 발생되고 또는 열풍이 불필요할때에는 홴만 작동시켜 바람을 일으키도록하여 열풍 또는 바람을 풍로(603)와 열풍채반(604)에 동시에 공급하여 저장된 곡물을 건조하도록 하는 것이며, 풍로(700)는 유도분배장입부(400)의 분배통(401)으로 곡물이 공급될 때 섞여있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날려보낼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저장되는 곡물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곡물건조기는 본 출원인의 상기된 선출원고안에 따른 곡물저장장치와 같은 기능을 함에 불구하고 선출원고안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단순화되면서도 건조기능 및 저장기능에 아무런 저하없이 오히려 건조기능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하였다 할 것이다.

Claims (6)

  1. 통상의 저장탱크에 곡물을 장입하고 배출함을 자동으로 하고 열풍을 불어놓어 저장탱크내에 저장시킨 곡물이나 고추, 캐등 밭작물을 건조 저장하는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육면체 통상의 저장탱크(100)의 일측면에 길게 세워 설치되어 곡물의 장입과 배출 및 순환을 하나의 콘베어로 달성하도록 되고 상단부는 곡물이송콘베어(200)와 열풍 또는 바람은 저장탱크(100)내로 공급함에 있어 저장탱크(100)의 바닥면에서 또는 열풍채반(604)을 통하여 공급하도록 하는 열풍부(600) 및 곡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저장탱크(100)내에서 흡입하여 회부로 반출시키는 풍로(700)로 구성된 곡물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곡물이송컨베어(200)의 상단은 곡물유도장입부(400)와 분배통(401)의 투입구(401h)로 연결되고 하단은 곡물수집등(204)에 의해 장입호퍼(300) 및 곡물배출유도부(500)와 연결되며, 곡물이송콘베어(200)의 상단 곡물유도장입부(400)와 연결된 부분에 이송되어온 곡물은 건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반출구(OT)가 반출호스(OTH)와 함께 형성되며, 상기 곡물유도장입부(400)의 투입구(401h)와 반출구(OT)는 서로 연접하고 그 사이에 곡물투입안내판(P)가 형성되어 이송되어온 곡물을 투입구(401h) 또는 반출구(OT)로 선택하여 안내하도록 하는 곡물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저장탱크(100)의 내측 바닥면은 "W"자 형태의 깔때기 형상을 취하고 그 밑으로 외측 바닥면이 형성되어 층상구조로 되며 그 사이 공간은 열풍부(600)의 저부열풍로(601)를 형성하며, 상기 내측바닥면에 다수개의 열풍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바닥면의 중앙에 배출스크류(502)가 형성된 곡물배출유도부(500)가 형성되어 그 일측단이 곡물수집통(204)와 연결되어 있고 저장탱크(100)의 내부에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열풍채반(604)이 층상으로 형성되어 고추, 참깨 등을 얹어 건조하도록 하는 곡물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저장탱크(100)의 "W"자 깔때기 형태를 취하는 내측바닥면에 있어 2개의 깔때기 첨단부에 각각 배출구(101)이 형성되고 여기에 자동으로 제어되는 배출개폐판(503)이 형성되어 저장탱크(100)내에 있는 곡물을 곡물배출유도부(500)의 배출통(501)로 보내거나 차단하는 곡물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열풍부(600)는 자동 제어되는 히터 및 송풍기로 된 발풍기(601)가 열풍 또는 바람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도록 하며, 열풍채반(604)의 프레임에 열풍 또는 바람이 유통되도록 하고 프레임에 다수개의 풍구(604h)를 형성시킨 곡물 건조기.
  6. 제1항에 있어서, 풍로(700)는 긴 사각통상으로 되어 저장탱크(100) 내측벽 등에 부착 형성되고 그 상단 개방구는 곡물유로장입부(400)의 곡물분배구(400h) 직한 방에 형성되고 그 하단 개방구는 건조기 밖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여기에 흡입팬을 설치하여 곡물이 곡물분배구(400h)에서 저장탱큰(100)내에 떨어질 때 곡물에 섞여 있는 가벼운 이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날려 보내도록 구성된 곡물건조기.
KR2019970031416U 1997-11-07 1997-11-07 곡물건조기 KR200166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416U KR200166706Y1 (ko) 1997-11-07 1997-11-07 곡물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416U KR200166706Y1 (ko) 1997-11-07 1997-11-07 곡물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192U KR19990018192U (ko) 1999-06-05
KR200166706Y1 true KR200166706Y1 (ko) 2000-01-15

Family

ID=1951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416U KR200166706Y1 (ko) 1997-11-07 1997-11-07 곡물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70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192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6706Y1 (ko) 곡물건조기
CN211064982U (zh) 一种低温混流循环花生干燥机
CN110613152B (zh) 一种低温混流循环花生干燥机及其干燥方法
EP0097681A1 (en) DEVICE WITH FLOOR AIR CHANNELS FOR AIR DRYING GRAIN IN A DRYING HOUSING AND FOR REMOVING THE GRAIN FROM THE HOUSING.
JP2012002378A (ja) 穀物燥機における穀物張込装置
JPH10325681A (ja) 穀物乾燥装置
KR20000040206A (ko) 곡물 및 고추 건조장치
JPS6310819Y2 (ko)
CN207890718U (zh) 带烘干的葛根输送装置
JPS6310470Y2 (ko)
KR100281032B1 (ko) 곡물 건조 저장장치
JP2581471B2 (ja) 穀物の切替供給装置
JPS6143782Y2 (ko)
JP2001050661A (ja) 試料穀物乾燥装置
JP2022013233A (ja) 穀物乾燥設備及び該穀物乾燥設備における穀物乾燥方法
JP2022096290A (ja) 穀物乾燥機
JP2549971Y2 (ja) 浸種コンテナ
JP3893306B2 (ja) 穀物乾燥装置
JPH079027Y2 (ja) 穀物乾燥機
JPH04194584A (ja) 穀粒乾燥機の除塵装置
KR960005907Y1 (ko) 곡물 저장장치
KR20010000046U (ko) 곡물건조기의 순환 건조장치
JPH10339576A (ja) 循環式穀物乾燥装置
JPS60207891A (ja) 穀粒乾燥機の清掃装置
JPH116685A (ja) 循環式穀物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