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032B1 - 곡물 건조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건조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032B1
KR100281032B1 KR1019980013781A KR19980013781A KR100281032B1 KR 100281032 B1 KR100281032 B1 KR 100281032B1 KR 1019980013781 A KR1019980013781 A KR 1019980013781A KR 19980013781 A KR19980013781 A KR 19980013781A KR 100281032 B1 KR100281032 B1 KR 100281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hopper
hopper bin
bin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0472A (ko
Inventor
윤홍선
정훈
오병기
조광환
김형만
Original Assignee
홍승무
주식회사동양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무, 주식회사동양기계 filed Critical 홍승무
Priority to KR101998001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1032B1/ko
Publication of KR1999008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032B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건조저장장치 및 건조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대(2)에 의해 지면으로 부터 상승된 위치에 설치된 호퍼 빈(3)과, 곡물투입용 호퍼(5)가 하단부에 제공되고 그로 부터 곡물을 호퍼 빈(3)의 상부로 송급하여 투입하거나 선택적으로 외부로의 하역을 위하여 배출하는 곡물승강수단(4), 상기 곡물승강수단과 함께 호퍼 빈(3)에 저장된 곡물을 순환시켜 건조하도록 그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6)측과 곡물승강수단의 하우징 사이에 제공되어 배출구로 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곡물승강수단(4)로 송급하는 이송수단(7), 상기 호퍼 빈(3)의 내부공간에 적재된 곡물을 건조시키도록 송풍기(12)와 그의 토출구측에 연결되어 호퍼 빈(3)의 내부공간의 중간부로 연장된 다공 송풍관(13)을 구비하여 외기를 내부공간으로 강제송풍시키는 송풍수단(12,13)을 포함하여, 이송수단(7)과 승강수단(4)을 사용하여 호퍼 빈내의 곡물을 순환시킴과 함께 송풍수단에 의해 외기를 호퍼 빈 내부로 강제 송풍하여 저장된 곡물 내부로 부터 곡물입자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곡물을 건조시키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온 통풍 및 곡물순환방식으로 저장하여 곡물을 균일 건조상태를 항상 유지하도록 하여 곡물 품질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곡물 건조 저장장치
본 발명은 곡물 건조저장장치 및 건조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곡물의 입출고를 자동화하고 저장빈의 내부에 저장된 곡물의 건조상태의 차이가 없이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온통풍 순환식의 건조수단을 구비하여 효율적으로 곡물을 건조함과 아울러 장기간 저장시에도 곡물의 변질이 없도록 필요에 따라 저장 곡물을 상온 통풍 및 순환건조시키면서 저장하는 곡물 건조저장장치 및 건조저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수확된 벼와 같은 곡물의 건조 및 간이 저장을 위하여 콘크리트로 만든 개량곳간을 사용하거나 또는 바닥이 평평한 원형 빈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개량 곳간은 벼의 입출고 작업을 인력에 의존하여 노동력이 많이 들고, 건조과정중 벼를 순환시킬 수 없어 하부의 곡물은 과다 건조되고 상부는 덜 건조되는 건조상태의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 곡물의 품질유지가 어렵고 저장하는 높이에 제약을 받아 시설면적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닥이 평평한 철제 원형 빈(bin)은 곡물의 입출고를 위해 빈 내부에 수평 오거(auger)를 설치하고, 빈 외부에 버킷엘리베이터, 수평 오거와 버킷엘리베이터를 연결하는 콘베이어를 장착해야 하며 또 빈 내부에서 곡물을 섞어주는 수직오거를 설치하는 등 고가의 많은 장치가 조합되므로 가겪이 비싸 개별 농가에서 설치하기 어렵고, 빈 내부의 곡물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잔곡을 별도로 처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곡물 건조저장장치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건조와 저장시 곡물의 입출고 작업이 자동적으로 처리되어 생력화하고, 빈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상온 통풍순환방식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시켜 적재 높이에 증가에도 곡물 변질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곡물을 생산할 수 있으며, 감소된 점유면적에 설치되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곡물 건조저장장치와 곡물 건조저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건조저장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은 제1도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건조장치를, 제1도와 다른 각도에서 본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곡물 건조장치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건조저장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변경된 구조의 송풍수단을 부분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조저장장치 2 : 지지대
3 : 호퍼 빈 4 : 버킷엘레베이터
5 : 호퍼 6 : 배출구
7 : 스크류콘베이어 8 : 구동수단
9 : 투입관 10 : 배출관
11 : 방향전환기 12 : 송풍기
13 : 송풍관 14 : 배출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곡물 건조저장장치는 복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지면으로 부터 상승된 위치에 설치된 호퍼 빈과, 투입호퍼가 하단부에 제공되고 그로 부터 곡물을 호퍼 빈의 상부로 송급하여 투입하거나 선택적으로 외부로의 하역을 위하여 배출하도록 상부에 방향전환기를 구비한 곡물승강수단, 상기 곡물 승강수단과 함께 호퍼 빈에 저장된 곡물을 순환시켜 건조하도록 그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측과 곡물승강수단 사이에 제공되어 배출구조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승강수단으로 송급하는 이송수단, 상기 호퍼 빈의 내부공간에 저재된 곡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송풍기를 구비하고 그의 토출구측에 연결되어 호퍼 빈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통로가 형성된 송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는 관형체로서 그 내부공간이 호퍼 빈의 내부공간 상부와 연통되고 송풍기에 의해 호퍼 빈으로 유입되어 곡물 입자들 사이를 통해 순환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공기배출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그로 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곡물승강수단 하단부로 투입되도록 하여 곡물승강수단과 함께 호퍼 빈에 저장된 곡물을 계속하여 순환시켜 건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호퍼 빈에의 곡물 건조저장방법은 저장된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도록 호퍼 빈 하부를 통해 저장된 곡물을 배출하여 이송수단과 승강수단을 통하여 호퍼 빈 내부에 저장된 곡물위로 재투입하는 것을 반복하여 저장된 상하부 곡물을 순환시키며, 송풍수단에 의해 외기를 호퍼 빈의 내부로 강제 송풍하여 공기가 곡물 입자들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곡물을 상온 통풍 순환건조시키면서 저장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곡물 건조저장장치(1)는 복수개의 지지대(2)에 의해 지면으로 부터 상승된 위치에 설치되고 하부가 깔떼기와 같이 형성된 호퍼 빈(3)을 포함한다. 상기 호퍼 빈(3)의 일측에는 호퍼 빈으로 곡물을 투입하도록 하는 버킷엘레베이터(4)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승강되는 버켓에 곡물이 적재되도록 하는 호퍼(5)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호퍼 빈 하단에 형성된 곡물 배출구(6)에는 곡물 이송수단으로서 스크류콘베이어(7)가 설치되어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 곡물이 버킷엘레베이터(4)의 하단부의 공간에 의해 다시 호퍼 빈(3)으로 재투입되도록 하여 버킷엘레베이터와 함께 호퍼 빈에 저장된 곡물을 순환시켜 건조하도록 한다.
상기 버킷엘레베이터(4)는 관형 하우징 내부에 서로 연결된 다수의 버킷들이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버킷엘레베이터 자체는 통상의 것이다. 상기 버킷엘레베이터의 상단부에는 구동수단(8)이 제공되어 호퍼(5)에서 곡물을 담은 버킷들을 상부로 승강시키는 한편, 상부에서 하역한 다음 다시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버킷엘레베에터(4)의 상부에는 버킷에 의해 승강된 곡물을 다시 호퍼 빈(3)으로 재투입하기 위한 투입관(9)과 곡물을 하역시키도록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0)이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관과 배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하는 방향전환기(11)가 제공되어 있어 곡물하역작업과 곡물순환건조작업을 선택적으로 자동화하여 노동력의 절감 및 작업효율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같이 스크류콘베이어(7)와 버킷엘레베이터(4) 및 투입관(9)에 의해 호퍼 빈(3)에 저장된 곡물을 필요에 따라 순환시켜 균일하게 건조시킴으로써 호퍼 빈(3)에 곡물이 장기간 저장될 때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게 되어 고품질이 유지되게 한다.
상기 호퍼 빈(3)에는 외기를 강제 송풍하여 그에 저장된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호퍼 빈의 외측 중간부에는 송풍기(12)가 장착되고 그 토출구에 송풍관(13)이 연결되고, 송풍관은 호퍼 빈(3)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어있으며 곡물 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14)들이 천공되어 있어서 송풍기(12)에 의해 송풍된 외기를 호퍼 빈(3)에 수용된 곡물속으로 인입되게 하고 곡물 입자들 사이를 통과하여 호퍼 빈의 상부의 빈 공간으로 모이게 됨으로써 곡물로 부터 수분을 빼앗토록 하여 호퍼 빈에서 내측부와 외측부의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하게 된다.
또한, 호퍼 빈(3)을 지지하도록 고정된 지지대(2)는 관형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단은 호퍼 빈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한편 하측에는 배출구(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송풍기에 의해 호퍼 빈 내부로 송풍되어 곡물 입자들 사이를 통과하여 호퍼 빈의 상부 공간으로 모이는 공기가 호퍼 빈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호퍼 빈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어 설치비의 부담을 경감시키며, 이때 복수개의 이격된 환형 금속 테로 지지대에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아울러 연결구를 사용하여 버킷엘레베이터도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도의 실시예보다 통풍건조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개선한 구조이다. 호퍼빈(3')의 하부에는 제1도의 호퍼빈(3)과 달리 하부 자체가 호퍼형태로 되지 않고 그 내부에 호퍼 형태로 되어 배출구(6)를 향해 직경이 좁아지게 경사지고 곡물 입자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16)들이 다수 형성되어 공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된 천공판요소(15)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지면 근처에 장착된 송풍기(12)로 부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호퍼빈(3')의 저면과 천공판요소(15) 사이의 빈 공간에 유입되어 천공판요소(15)의 구멍(16)들을 통해 인입되어 그 위의 호퍼빈(3') 내부에 쌓여진 곡물 입자들 사이의 공극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키게 되므로 제1도의 실시예에서 보다 통풍건조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빈(3')의 일측에 하역용으로 작은 호퍼(17)가 장착되고 하역을 위해 배출관(10)으로 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하역작업시 용기 교체 시간중에도 버킷엘레베이터(4)를 정지시키지 않고도 호퍼(17)에 일시 저장하여 새로운 용기에 담을 수 있으며, 제1도에서의 실시예에서 용기 교체시에 배출관으로 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지면에 떨어져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곡물 건조저장장치에 의하여 호퍼 빈(3,3')의 곡물을 건조저장하는 방법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두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곡물의 신속한 건조를 위하여 곡물을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면서 호퍼 빈(3,3')의 내부에 상온의 공기를 불어넣어 곡물을 건조하면서 저장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버킷엘레베이터(4) 상단에 제공된 방향전환기(11)를 전환하여 버킷엘레베이터로 부터 승강되는 곡물을 호퍼 빈(3,3')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호퍼 빈 하부의 배출구(6)를 열고 스크류콘베이어(7)를 작동시켜 배출구로 부터 배출된 곡물이 버킷엘레베이터(4)로 향하게 하며 버킷엘레베이터를 가동시켜 그 저부에 있는 곡물을 담는 한편 호퍼(5)로 부터 배출되는 곡물로 버킷을 채워 승강시켜 호퍼 빈(3,3')으로 다시 투입하는 것을 반복하여 수행하며, 이때 송풍기(12)를 가동하여 외기를 호퍼 빈 내부, 특히 중간이하의 위치로 송풍시킨 공기가 곡물입자들을 통과하여 상부로 모이게 되고 지지대(2)의 배출구(14)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호퍼 빈의 상하부에 저장된 곡물을 균일하게 섞이도록 하고 건조속도가 빨라 신속하고 균일한 곡물 건조저장이 달성된다.
두 번째 방법은, 곡물을 간헐적으로 순환시키고 호퍼 빈(3,3') 내부로 공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곡물을 건조시켜 저장하는 방법이다. 이때는 송풍기(12)만을 우선 작동시켜 외기가 송풍기와 호퍼 빈(3,3') 내부에 설치된 다공 송풍관(13) 또는 천공판요소(15)를 통하여 호퍼빈의 내부로 유입되어 곡물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며 곡물로 부터 수분을 빼앗은 다음, 호퍼 빈(3,3')의 상부와 연통된 지지대(2)의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되게 한다. 이 경우에는 호퍼 빈(3,3') 하부에 있는 곡물이 호퍼 빈 상부에 있는 곡물보다 빨리 건조되므로 적당한 시간 경과를 두고 스크류콘베이어(7)와 버킷엘레베이터(4)를 작동시켜 호퍼 빈의 곡물을 순환시키는, 즉 호퍼 빈의 하부에 있는 곡물을 배출시켜 다시 호퍼 빈의 상부로 투입하고 호퍼 빈(3,3')의 상부에 있던 곡물을 호퍼 빈의 하부로 내려보내는 작업을 일정한 주기로 반복하여 호퍼 빈내의 곡물 건조가 균일하게 되도록 한다.
이 방법은 곡물의 장기간 저장시에 일정시간을 두고 간헐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곡물의 장기저장시에 장마철과 같이 외기 습도가 높은 날이 연속된 경우나, 일교차가 커서 호퍼 빈 내부에 결로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을 때는 날씨가 좋은 날에 송풍기를 가동하여 호퍼빈 내부에 외기를 송풍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저장중 곡물의 변질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부가 깔때기 형상으로 된 호퍼 빈을 사용하여 곡물의 배출시 잔류되는 것이 없고 설치 높이의 제한이 없어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어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송풍기와 다공송풍관에 의해 호퍼 빈의 중간부로 공기를 강제송풍하여 저장된 곡물입자들 사이로 통과하면서 곡물을 건조시키게 되며, 스크류콘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과 버킷엘레베이터와 같은 승강수단을 사용하여 호퍼 빈의 상하부에 저장된 곡물을 순환시켜 곡물의 건조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고, 이와같이 송풍기에 의한 상온 통풍 건조와 곡물순환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저장시에도 곡물 품질의 저하가 초래되지 않도록 하고 건조 및 입출고 작업이 자동화되어 노동력의 절감과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복수개의 관형체인 지지대(2)에 의해 지면으로 부터 상승된 위치에 설치되어 그 내부공간 상부가 상기 지지대(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호퍼 빈(3,3')과, 곡물투입용 호퍼(5)가 하단부에 제공되고 그로 부터 곡물을 호퍼 빈(3,3')의 상부로 송급하여 투입하거나 선택적으로 외부로의 하역을 위하여 배출하는 곡물승강수단(4), 상기 곡물승강수단과 함께 호퍼 빈(3,3')에 저장된 곡물을 순환시켜 건조하도록 그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6)측과 곡물승강수단 사이에 제공되어 배출구로 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승강수단으로 송급하는 이송수단(7), 상기 호퍼 빈(3.3')의 내부공간에 적재된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시키도록 송풍기(12)로 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호퍼 빈의 내부공간의 하부로 부터 인입되도록 하는 송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곡물 건조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 승강수단은 버킷엘레베이터(4)로서 그 상부에 방향전환기(11)가 제공되어 승강된 곡물을 곡물순환건조시에는 호퍼 빈(3.3')으로 재투입하도록 투입관(9)을 개방하고 배출관(10)을 폐쇄하도록 하는 한편, 곡물 하역시에는 배출관(10)을 개방하고 투입관(9)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는 호퍼 빈(3.3') 내부로 강제 송풍되어 곡물입자들 사이를 통과하여 순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공기 배출구(14)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빈(3.3')은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빈(3')은 그 하부에 호퍼 형태로 경사지고 곡물입자들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16)들이 다수 형성된 천공판요소(15)가 호퍼 빈의 저면과 사이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제공되어 송풍기(12)로 부터 송풍된 공기가 호퍼 빈의 저부의 빈 공간부로 부터 호퍼 빈(3') 내부로 인입되어 곡물 입자들 사이의 공극을 통해 유동하여 균일하게 건조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2)는 호퍼 빈(3)의 중간부에 장착되고 그로 부터 송풍관(13)이 호퍼 빈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며 송풍관에는 곡물 입자보다 작은 직경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호퍼 빈 내부의 곡물로 외기를 강제 송풍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저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 빈(3.3')의 일측에 개폐가능한 배출구를 구비한 작은 호퍼(17)가 제공되고 배출관(10)의 단부가 그 속으로 연장되어 하역작업시 용기 교체 시간동안에도 승강수단을 정지시키지 않고도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저장장치.
  8. 곡물을 저장하는 건조저장방법에 있어서, 저장된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도록 호퍼 빈(3.3')의 저장된 하부의 곡물을 배출하여 이송수단(7)과 승강수단(4)을 통하여 호퍼 빈(3.3') 내부공간의 상부로 재투입하는 것을 반복하여 저장된 상하부 곡물을 순환시키며, 송풍수단(12, 13 또는 15)에 의해 외기를 호퍼 빈(3.3')의 내부로 강제 송풍하여 공기가 곡물 입자들 사이를 통과하여 관형체로서 그 내부공간이 호퍼 빈(3.3')의 내부공간 상부와 연통되는 지지대(2)에 형성된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온 통풍 순환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저장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먼저 송풍수단에 의해 외기를 호퍼 빈(3.3')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한편, 이송수단(7)과 승강수단(4)에 의한 곡물 순환은 간헐적으로 수행하여 호퍼 빈에 저장된 곡물을 균일하게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건조저장방법.
KR1019980013781A 1998-04-17 1998-04-17 곡물 건조 저장장치 KR10028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781A KR100281032B1 (ko) 1998-04-17 1998-04-17 곡물 건조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3781A KR100281032B1 (ko) 1998-04-17 1998-04-17 곡물 건조 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472A KR19990080472A (ko) 1999-11-05
KR100281032B1 true KR100281032B1 (ko) 2001-02-01

Family

ID=6589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781A KR100281032B1 (ko) 1998-04-17 1998-04-17 곡물 건조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1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974B1 (ko) * 2001-03-12 2004-06-23 주식회사 아니코 멀티 스태틱 믹서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974B1 (ko) * 2001-03-12 2004-06-23 주식회사 아니코 멀티 스태틱 믹서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0472A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7081A (en) Grain dryer
US3755918A (en) Grain storage bin construction
KR100281032B1 (ko) 곡물 건조 저장장치
CN211064982U (zh) 一种低温混流循环花生干燥机
CN110613152B (zh) 一种低温混流循环花生干燥机及其干燥方法
US5020246A (en) Grain drying system
CN107300316A (zh) 一种稻谷热风循环利用干燥除糠一体装置的使用方法
US4456156A (en) Unloading apparatus for silo
KR20010000046U (ko) 곡물건조기의 순환 건조장치
JP2535408Y2 (ja) 乾燥施設における穀物供給装置
KR20080045008A (ko) 곡물류와 농산물의 건조저장장치
JP2022013233A (ja) 穀物乾燥設備及び該穀物乾燥設備における穀物乾燥方法
JPH10313671A (ja) 穀物貯蔵装置
JPH10339576A (ja) 循環式穀物乾燥装置
KR200166706Y1 (ko) 곡물건조기
JPH09296985A (ja) 非循環・累積撹拌混合方式の竪型筒状の穀物貯蔵乾燥装置における除塵方法
KR900000813Y1 (ko) 곡물저장 건조장치
FI96544B (fi) Käpykuivuri
JPH08233462A (ja) 穀粒乾燥貯蔵施設の撹拌装置
JPH06288675A (ja) 穀物貯蔵ビンにおける穀物乾燥装置
JPH116685A (ja) 循環式穀物乾燥装置
KR19990039923U (ko) 농산물 건조기의 곡물 투입 및 배출 장치
KR200363075Y1 (ko) 균일 순환장치가 마련된 원통형 상온통풍 곡물건조기
JPH07218133A (ja) 縦型乾燥装置
JPH01273984A (ja) 穀物乾燥方法および穀物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5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