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334Y1 - 육류구이기용숯불용기의공기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육류구이기용숯불용기의공기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334Y1
KR200166334Y1 KR2019990014132U KR19990014132U KR200166334Y1 KR 200166334 Y1 KR200166334 Y1 KR 200166334Y1 KR 2019990014132 U KR2019990014132 U KR 2019990014132U KR 19990014132 U KR19990014132 U KR 19990014132U KR 200166334 Y1 KR200166334 Y1 KR 200166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charcoal container
container
air
gu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진
Original Assignee
스와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와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와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4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육류 구이기용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각 하단부가 상기 육류 구이기(10)의 물받이(12)에 수용되는 물에 잠기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숯불용기(20)의 양 측면(24A,24B)에 고정 설치되는 측면 유도부재(32A,32B);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전방측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20)의 전방면(26)에 고정 설치되는 전방 유도부재(34);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후방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20)의 후방면(28)에 하단부가 상기 물받이(12)의 물에 잠기도록 고정 설치되는 후방 차단판(36); 및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와 상기 전방 유도부재(34)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숯불용기(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와류 형성부재(38)로 구성된 공기유도부(30)가 숯불용기(20)의 저부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송풍팬(19)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숯불용기(20)에 수납된 숯불(22)로만 공급되어 숯불(22)의 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숯불용기(20)의 숯불(22)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육류 구이기용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AIR VENTILATION DEVICE OF LIVE CHARCOAL POT FOR MEAT ROASTER}
본 고안은 육류 구이기용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류 구이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숯불용기의 저부에 공기유도부를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숯불로만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숯불의 화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구이기에 사용되는 숯불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육류 구이기(3)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송풍팬(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숯불용기(1)로 유입된 후, 육류 구이기(3)의 내부로 분산되어, 숯불용기(1)의 숯불(1-1)의 화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숯불용기(1)가 육류 구이기(3)에 설치된 상태에서 송풍팬(2)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숯불용기(1)의 전,후 양측면으로 분산되어 유출됨으로써, 숯불(1-1)의 화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육류의 조리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송풍팬(2)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숯불용기(1)의 저면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유도하거나 적절하게 통풍킬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육류 구이기의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숯불용기로만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숯불의 화력을 증강시킬 수 있고, 송풍팬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숯불이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육류 구이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숯불용기에 있어서, 상기 숯불용기의 저부에는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숯불로만 공급되도록 공기유도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용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공기유도부는 각 하단부가 상기 육류 구이기의 물받이에 수용되는 물에 잠기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숯불용기의 양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측면 유도부재;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의 전방측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의 전방면에 고정 설치되는 전방 유도부재;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의 후방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의 후방면에 하단부가 상기 물받이의 물에 잠기도록 고정 설치되는 후방 차단판; 및 상기 측면 유도부재와 상기 전방 유도부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숯불용기의 저면에 설치되는 와류 형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 유도부재의 하단부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유출방지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육류 구이기의 숯불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숯불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숯불용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숯불용기의 측단면도이고, 4b는 숯불용기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육류 구이기 12 : 물받이
19 : 송풍팬 20 : 숯불용기
22 : 숯불 24A,24B : 측면
26 : 전방면 28 : 후방면
30 : 공기유도부 32A,32B : 측면 유도부재
33A,33B : 유출방지단 34 : 전방 유도부재
36 : 후방 차단판 38 : 와류 형성부재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숯불용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숯불용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숯불용기의 측단면도이고, 4b는 숯불용기의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전방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을 지칭하는 것이고, 후방은 우측을 지칭하는 것이며, 양 측면은 도 3을 기준으로 좌,우측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도 동일하다.
한편, 미설명 부호 '25'는 숯불용기(20)의 바닥면에 천공된 다수개의 통풍공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숯불용기(20)는 바닥면에 다수개의 통풍공(25)이 형성된 것으로, 양 측면(24A,24B)과 전방면(26), 그리고 후방면(28)에 측면 유도부재(32A,32B)와 전방 유도부재(34)와, 후방 차단판(36) 및 와류 형성부재(38)가 각각 설치되는 공기유도부(30)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유도부(30)는 송풍팬(19)에 의해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숯불용기(20)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풍공(25)으로만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측면 유도부재(32A,32B)와 전방 유도부재(34)와, 후방 차단판(36) 및 와류 형성부재(38)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는 상기 숯불용기(20)의 양 측면(24A,24B)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각각의 하단부에 유출방지단(33A,33B)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2A,32B)는 숯불용기(20)의 양 측면(24A,24B)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숯불용기(20)의 하부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것이고, 각각의 하단부에는 유출방지단(33A,33B)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육류 구이기(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물받이(12)에 채워지는 물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방 유도부재(34)는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전방측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20)의 전방면(26)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전방면(26)에 고정 설치되고, 양단은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전방측 상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상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후방 차단판(36)은 상기 숯불용기(20)의 후방면(28)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송풍팬(19)에 의해 공급된 공기가 후방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일단은 상기 후방면(28)에 고정 설치되고, 양단은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후방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숯불용기(20)의 양 측면(24A,24B)에 측면 유도부재(32A,32B)가 설치되고, 전,후방 측면(26,28)에 전방 유도부재(34)와 후방 차단판(36)이 각각 설치됨으로써,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부에는 전방부와 하부가 개구된 공기유도부(30)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유출방지단(33A,33B)과, 후방 차단판(36)의 하단부는 상기 물받이(12)에 채워지는 물에 잠기게 되어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와류 형성부재(38)는 송풍팬(19)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숯불용기(20)의 공기유도부(30) 내부로 유입되면서 중앙부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면 중앙에 설치된다.
이러한 와류 형성부재(38)는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면 여러곳에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 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불용기(20) 양 측면(24A,24B)에 측면 유도부재(32A,32B)가 설치되고, 상기 숯불용기(20)의 전방면(26)에 전방 유도부재(34)가 설치되며, 후방면(28)에는 후방 차단판(36)이 설치되고, 숯불용기(20)의 저면에 와류 형성부재(38)가 설치되면,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류 구이기(10)의 내부에 상기와 같이 공기유도부(30)을 구비한 숯불용기(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육류 구이기(10)의 내부 바닥면에는 물이 채워진 물받이(12)가 설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송풍팬(19)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전방 유도부재(34)와 측면 유도부재(32A,32B) 그리고 후방 차단판(36)에 의해 상기 숯불용기(20)의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고, 저면에 천공된 다수개의 통풍공(25)을 통하여 숯불(22)에 공급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송풍팬(19)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숯불용기(20)의 전방면(26)과 양 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 전방 유도부재(34)와 측면 유도부재(32A,32B) 그리고 후방 차단판(36)에 의해 형성된 밀폐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양단이 물받이(12)에 채워진 물에 잠긴 상태이고,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전방 상부가 전방 유도부재(34)에 의해 밀폐되며, 후방은 상기 후방 차단판(36)에 의해 밀폐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각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 밀폐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는 다른 곳으로의 유출됨이 없이 상기 숯불용기(20)의 통풍공(25)으로만 유입되어 상기 숯불용기(20)에 수용된 숯불(22)에 균일하게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받이(12)에 잠겨지는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유출방지단(33A,33B)은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물받이(12)의 물이 증발하여 수위가 낮아질 경우에,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부에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곧바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여, 유출되는 공기의 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숯불용기(10)의 저부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면 중앙에 설치되는 와류 형성부재(38)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와 전방 유도부재(34)에 의해 숯불용기(20)의 저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와류 형성부재(38)에 부딪혀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후방으로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고,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통풍공(25)을 통하여 숯불(22)에 공급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숯불용기(20) 중앙부의 화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와류 형성부재(38)를 중앙부 뿐만 아니라, 여러곳에 다수개 설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육류 구이기(10)의 숯불용기(20) 저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가 다른 곳으로 새지않고, 숯불용기(20)의 숯불(22)로만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육류 구이기용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는 육류 구이기에 설치되는 숯불용기의 저부에 전방 유도부재와 측면 유도부재, 그리고 후방 차단판을 각각 설치하여 밀폐된 공간부를 형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숯불용기의 저부에 밀폐된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송풍팬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숯불용기에 수납된 숯불로만 공급되어 숯불의 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숯불용기의 숯불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숯불이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육류 구이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숯불용기에 있어서,
    상기 숯불용기(20)의 저부에는 송풍팬(19)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숯불(22)로만 공급되도록 공기유도부(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용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부(30)는 각 하단부가 상기 육류 구이기(10)의 물받이(12)에 수용되는 물에 잠기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숯불용기(20)의 양 측면(24A,24B)에 고정 설치되는 측면 유도부재(32A,32B);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전방측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20)의 전방면(26)에 고정 설치되는 전방 유도부재(34);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후방측을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20)의 후방면(28)에 고정 설치되는 후방 차단판(36); 및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와 상기 전방 유도부재(34)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숯불용기(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와류 형성부재(3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용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유도부재(32A,32B)의 하단부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유출방지단(33A,33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용 숯불용기의 공기유도장치.
KR2019990014132U 1999-07-16 1999-07-16 육류구이기용숯불용기의공기유도장치 KR200166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132U KR200166334Y1 (ko) 1999-07-16 1999-07-16 육류구이기용숯불용기의공기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132U KR200166334Y1 (ko) 1999-07-16 1999-07-16 육류구이기용숯불용기의공기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334Y1 true KR200166334Y1 (ko) 2000-02-15

Family

ID=1958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132U KR200166334Y1 (ko) 1999-07-16 1999-07-16 육류구이기용숯불용기의공기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3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45632T3 (es) Placa de cocina con aspiración central hacia abajo de los vapores de cocina
ES2872078T3 (es) Sistema de control de vapor para horno multizona
US6904903B1 (en) Convection steamer with forced recirculation through steam bath
US7049551B2 (en) Natural convection steam cooking device
ES2901252T3 (es) Horno multizona que comprende un sistema de desagüe combinado
CN210871132U (zh) 一种空气炸锅
KR200166334Y1 (ko) 육류구이기용숯불용기의공기유도장치
CN205754929U (zh) 风道组件及微波烹饪器具
CN106924769A (zh) 消毒柜
JP2007044314A (ja) 炊飯器及び蒸気排出用のノズル体
JP2013026167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401346B1 (ko) 구이용 조리 기기
CN211432424U (zh) 一种散热效果好的空气炸锅
KR102386810B1 (ko) 전기그릴
KR200361381Y1 (ko) 인덕션 낮은 렌지
CN205107405U (zh) 一种改良散热结构的电热烹调器
CN213850014U (zh) 防溢电饭煲
KR19990022151U (ko) 전기수유식튀김기의냉각장치
KR102374585B1 (ko) 공기 순환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구이기
KR200220119Y1 (ko) 육류구이용 화덕의 연기 배출장치
KR20080001970U (ko) 석쇠
KR0179451B1 (ko) 음식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압력솥
KR102603608B1 (ko) 이중 에어 커튼형 듀얼 공기 정화 순환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구이기
US20060068068A1 (en) Accelerated steam generation method for convection steam cooking device
CN219479876U (zh) 一种多功能空气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