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63Y1 - 보일러의 상판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상판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663Y1
KR200165663Y1 KR2019970035987U KR19970035987U KR200165663Y1 KR 200165663 Y1 KR200165663 Y1 KR 200165663Y1 KR 2019970035987 U KR2019970035987 U KR 2019970035987U KR 19970035987 U KR19970035987 U KR 19970035987U KR 200165663 Y1 KR200165663 Y1 KR 200165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boiler
coupled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090U (ko
Inventor
최진민
Original Assignee
최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민 filed Critical 최진민
Priority to KR2019970035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663Y1/ko
Publication of KR9800040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0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6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36Arrangements for sheathing or casing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보일러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케이스(20)를 이루는 본체(4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체(40)의 전면으로 형성된 개구부(41)의 안착면(42)에 나사(56)결합되도록 양측 면에 체결공(54)이 형성된 보강판(53)과 상기 본체(40)의 상단면(43)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4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51)이 구비된 상판(50)이 본체(40)의 상부에 결합된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로써, 보일러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고 본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을 상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작업자가 보일러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시 보강판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활한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
본 고안은 보일러의 외관을 형성하는 보일러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보일러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케이스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를 구성하는 내부부품이 안착되어 지면에 면접촉되도록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2)과, 상기 바닥판(2)에 안착되는 내부부품의 외측을 감싸도록 바닥판(2)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3)와, 상기 본체(3)의 상부에 나사(12)결합되는 상판(7)과, 상기 본체(3)의 개폐를 이루도록 볼트(9)결합되는 전면판(8)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3)의 전면으로는 상기 바닥판(2)에 안착되어 있는 보일러의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을 용이하도록 개구부(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의 상단면(5)으로는 상기 상판(7)이 나사(12)체결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체결공(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4)의 상부에는 본체(3)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보강판(10)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10)에는 상기 본체(3)의 전면으로 볼트(9)결합되어 본체(3)의 개폐를 이루도록 결합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보일러는, 보일러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케이스(1)를 조립하기 위하여 먼저, 바닥판(2)에 보일러의 내부부품들을 안착시키고, 상기 바닥판(2)의 상부로 바닥판(2)에 안착된 보일러의 내부부품을 감싸도록 본체(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3)의 상부로는 본체(3)의 상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나사(12)결합에 의해 상판(7)을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본체(3)의 전면으로는 본체(3)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비틀리거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개구부(4)의 전면에 안착되도록 보강판(10)을 고착한 후, 전면판(8)을 개구부(4)에 안착시키 후 상기 보강판(10)의 결합공(11)에 볼트(9)를 결합하여 전면판(8)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보일러의 가동중 내부부품의 이상이 발생하거나 보일러의 점검 시에는 작업자가 본체(3)의 전면에 볼트(9)결합되는 전면판(8)을 탈착한 후 작업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본체에서 전면판을 탈착한 후에 보일러의 내부부품을 점검하고자 할때, 상기 보강판이 본체에 고착되어 있어 보강판의 후면에 위치한 내부부품의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이 나사체결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부품수가 많아 조립공정이 복잡하였다.
즉, 본체에 고착된 보강판의 후면에 위치한 내부부품의 작업에 어려움이 많아 작업성이 저하하고,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이 나사체결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부품수의 증가로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조립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나사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나사에 녹이스는등 보일러의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보일러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와 상판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고 본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을 상판에 일체로 형성하여 작업자가 보일러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점점이 보강판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할한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보일러의 상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보일러의 케이스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판을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의 케이스를 도시한 발췌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의 상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0:케이스 30:바닥판
40:본체 41:개구부
42:안착면 43:상단면
44:삽입홈 50:상판
51:고정수단 52:걸림턱
53:보강판 54:체결공
55:결합공 56:나사
60:전면판 61:볼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는, 보일러를 구성하는 내부부품이 안착되어 지면에 면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안착되는 내부부품을 감싸도록 바닥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과, 상기 본체의 개폐를 이루도록 본체의 전면에 볼트 결합되는 전면판으로 이루어진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체의 전면으로 형성된 개구부의 안착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양측면에 체결공이 형성된 보강판과, 상기 본체의 상단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구비된 상판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에 의하면, 보일러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상판과 본체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을 상판에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작업자가 보강판의 방해를 받지 않고 보일러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인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판을 도시한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의 케이스를 도시한 발췌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의 상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 (20)는 보일러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시키는 케이스로써, 상기 보일러의 내부부품이 안착되어 지면에 면접촉되도록 하부에 설치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바닥판(30)에 안착되는 내부부품의 외측을 감싸도록 바닥판(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40)의 상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50)과, 상기 본체(40)의 개폐를 이루도록 본체의 전면에 볼트(61)결합되는 전면판(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40)의 전면으로는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바닥판(30)에 안착되는 보일러의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개구부(4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40)의 개구부(41)에는 본체(40)의 내측부로 소정깊이 절곡되어 전면판(60)이 안착되도록 평면을 이루는 안착면(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40)의 상단면(43)으로는 소정의 폭을 갖는 다수개의 삽입홈(4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50)에는 하측면으로 상기 상판(50)이 본체(40)의 삽입홈(4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5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51)은 상기 본체(40)의 전면으로 구비된 개구부(41)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소정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걸림턱(52)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상판(50)의 하측면으로 구비된 걸림턱(52)이 상기 본체(40)의 삽입홈(44)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써 상판(50)이 본체(4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50)은 상기 본체(40)의 전면으로 구비된 개구부(41)의 안착면(42)에 나사(56)결합되어 상기 본체(40)의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보강판(5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보강판(53)은 상기 본체(40)의 전면으로 구비된 개구부(41)의 안착면(42)에 안착된 보강판(53)이 나사(56)결합되어 본체(40)를 지지하도록 양측면에 체결공(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53)은 상기 본체(4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판(60)이 볼트(61)결합에 의해 본체(40)의 개폐를 이루도록 중앙부의 소정위치로 결합공(5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상판(50)을 상기 본체(40)의 상부로 고정수단(51)에 의해 고정시키고 상판(50)의 보강판(53)을 본체(40)의 전면으로 구비된 개구부(41)의 안착면(42)에 안착시켜 나사(56)결합하므로써 상기 상판(50)의 보강판(53)이 본체(40)의 강성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일러의 케이스(2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바닥판(30)에 보일러의 내부구성부품들을 안착시키고, 상기 바닥판(30)의 상부로 본체(40)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30)과 본체(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본체(40)의 상부로 상판(50)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상판(50)의 하측면으로 형성된 고정수단(51)을 상기 본체(40)의 삽입홈(44)에 삽입하고 상판(50)을 본체(40)의 후방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밀게되면 고정수단(51)의 걸림턱(52)이 삽입홈(44)의 내부에서 일정거리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삽입홈(44)의 내부에 고정되어 지고, 이와 동시에 상판(50)의 보강판(53)은 본체(40)의 전면으로 구비된 개구부(41)의 안착면(42)에 안착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상판(50)의 보강판(53)을 본체(40)의 전면으로 형성된 개구부(41)의 안착면(42)에 나사(56)결합하므로써 상판(50)과 본체(40)의 결합이 완료된다.
즉, 상기 상판(50)의 고정수단(51)인 걸림턱(52)을 상기 본체(40)의 상단면(43)에 형성된 삽입홈(44)에 삽입하여 상판(50)을 본체(40)에 고정시키고 이와 동시에 본체(40)의 개구부(41)에 형성된 안착면(42)에 보강판(53)을 나사(56)1결합하므로써 상판(50)과 본체(40)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판(50)과 본체(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판(50)의 보강판(53)에 전면판(60)을 볼트(61)결합하므로써 보일러의 케이스(20)가 조립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는 상기 상판(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강판(53)이 상기 본체(40)의 전면으로 구비된 개구부(41)에 나사(56)결합되어 본체(40)의 강성을 보강하므로써 외부의 힘에 의해 본체(40)가 비틀리거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53)이 상판(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일러의 가동 중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보일러의 점검시, 본체(4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판(60)을 분리한 후, 상판(50)을 본체(40)에서 분리하면 본체(4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53)도 동시에 분리되어 작업자가 보일러의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종래 상판(50)과 본체(40)의 결합을 나사체결에 의한 결합이 아니라 고정수단(51)에 의해 상판(50)과 본체(40)의 결합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부품수의 절감으로 인하여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도록 한 것이다.
즉, 작업자가 보일러 케이스(20)의 본체(40)와 상판(50)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므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본체(4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53)을 상판(50)에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작업자가 작업시 보강판(53)에 방해를 받지 않고 보일러의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보일러 케이스의 상판과 본체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므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강판을 상판에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작업자가 보강판의 방해를 받지 않고 보일러 내부부품의 교환이나 점검을 용이하게 이루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보일러를 구성하는 내부부품이 안착되어 지면에 면접촉되도록 설치되는 바닥판(30)과, 상기 바닥판(30)에 안착되는 내부부품을 감싸도록 바닥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50)과, 상기 본체(40)의 개폐를 이루도록 본체의 전면에 볼트(61)결합되는 전면판(60)으로 이루어진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본체(4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체(40)의 전면으로 형성된 개구부(41)의 안착면(42)에 나사(56)결합되도록 양측면에 체결공(54)이 형성된 보강판(53)과, 상기 본체(40)의 상단면(43)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홈(4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고정수단(51)이 구비된 상판(50)이 본체(40)의 상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51)은 상기 상판(50)이 상기 본체(40)의 삽입홈(44)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걸림턱(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53)은 상기 본체(4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판(60)이 볼트(61)결합되어 본체(40)의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중앙부의 소정위치로 결합공(5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상판결합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52)은 상기 상판(50)이 상기 본체(4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본체(40)의 개구부(41)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상판구조.
KR2019970035987U 1997-12-08 1997-12-08 보일러의 상판 결합구조 KR200165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987U KR200165663Y1 (ko) 1997-12-08 1997-12-08 보일러의 상판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987U KR200165663Y1 (ko) 1997-12-08 1997-12-08 보일러의 상판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090U KR980004090U (ko) 1998-03-30
KR200165663Y1 true KR200165663Y1 (ko) 2000-01-15

Family

ID=1951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987U KR200165663Y1 (ko) 1997-12-08 1997-12-08 보일러의 상판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6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09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5663Y1 (ko) 보일러의 상판 결합구조
DE102020114406B4 (de) Abgasvorrichtung mit schalldämpfer und endabdeckung sowie damit versehenes fahrzeug vom spreitzsitztyp
KR20070105547A (ko) 변속기 레버유닛의 노브 조립체
KR0173613B1 (ko) 레인포스먼트 어샘블리 플레이트의 조립을 용이하게 안내돌출부가 형성된 프레임
JP4117000B2 (ja) 支柱の取付構造
KR200377459Y1 (ko)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KR200187946Y1 (ko) 프런트 스트러트 마운팅 구조
KR200375911Y1 (ko) 격자형 중문 조립체
KR0115882Y1 (ko) 차량도어용 인핸들의 취부구조
KR200165711Y1 (ko) 냉장고의 힌지고정구조
KR100527541B1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 조립체 및 그러한 클러치 마스터실린더 조립체의 조립 방법
KR100356869B1 (ko) 자동차의 이중패널 조립구조
JP2698531B2 (ja) 外壁パネル
KR20050038246A (ko) 자동차의 바디 프레임 마운팅부 지지 구조
KR940008367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결합장치
KR200364577Y1 (ko) 브라켓용 너트
KR100351762B1 (ko) 도어 스트라이커 마운팅부 리테이너
JP4283976B2 (ja) キャビネット等の扉構造
KR100415233B1 (ko) 차량의 카울그릴 조립용 클립스토퍼
KR200146653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아웃 케이스와 톱커버 체결구조
KR20020083328A (ko) 샤시의 조립구조
KR200158113Y1 (ko) 자동차의 범퍼 체결구조
KR200144228Y1 (ko) 자동차 프론트플로어와 티바의 체결구조
KR100198837B1 (ko) 화물차량의 등화 관제등 취부구조
KR0123493Y1 (ko) 자동차의 천장 패널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