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611Y1 - 알루미늄제 새시용 경첩 - Google Patents
알루미늄제 새시용 경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65611Y1 KR200165611Y1 KR2019990015947U KR19990015947U KR200165611Y1 KR 200165611 Y1 KR200165611 Y1 KR 200165611Y1 KR 2019990015947 U KR2019990015947 U KR 2019990015947U KR 19990015947 U KR19990015947 U KR 19990015947U KR 200165611 Y1 KR200165611 Y1 KR 20016561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piece
- aluminum
- hinge
- chassis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제 새시와 알루미늄제 문을 회동되게 연결할때 사용하는 알루미늄제 경첩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경첩의 축부와 연결편 사이에 보조연결편을 직각으로 형성하되 문과 접하는 연결편에는 문의 내측돌부가 삽입되게 삽입홈을 만들어 그 외벽을 얇게 하고 새시와 접하는 연결편의 연결부에는 두께가 얇은 연결부를 단턱이 형성되게 만들어서 보조 연결편과 연결편의 연결부가 탄력성을 갖일수 있게한 구성으로서, 다른 부분보다 탄력성이 크게 되므로 경첩을 부착할때 연결편과 보조연결편 연결부가 유연하여 새시와 문에 밀착하도록 부착할수 있어서 부착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킬수 있으며 완충력이 커서 쉽게 파열되지 않아 수명이 오래가는 등의 이점을 얻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알루미늄제 새시와 알루미늄제 문을 회동되게 연결할때 사용하는 알루미늄제 경첩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경첩의 축부와 연결편 사이에 보조연결편을 직각으로 형성하되 문과 접하는 연결편에는 문의 내측돌부가 삽입되게 삽입홈을 만들어 그 외벽을 얇게 하고 새시와 접하는 연결편의 연결부에는 두께가 얇은 연결부를 단턱이 형성되게 만들어서 보조 연결편과 연결편의 연결부가 탄력성을 갖일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알루미늄제 경첩은 축부와 연결되는 연결편의 외측에 직각 방향으로 보조연결편을 형성하여 문과 새시의 모서리 부분을 양면에서 포용할수 있게 경첩을 만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편은 연결편과 보조 연결편의 접속부 두꼐가 일정두께로 두텁게 획일화 되어 있어서 경첩을 부착할때 탄성이 없어 충격을 받으면 곡각부가 쉽게 파열되는 결점이 있고 탄력성이 없어 경첩을 부착할때 밀착성이 떨어지는 등 작업성이 힘들게 된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일를 상세히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도3은 본 고안의 상용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알루미늄제 새시 2 : 알루미늄제 도어
3 : 알류미늄제 경첩 30 : 축부
31,32 : 연결편 31a : 보조연결편
31b : 요입홈 31c : 연결부
32b : 단턱
알루미늄제 새시(1)와 알루미늄제 도어(2)의 연결부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제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축부(30)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편(31)(32)에 직각 방향으로 보조연결편(31a)(32a)을 형성하되 도어(2)과 접속하는 짧은 연결편(31)에는 보조연결편(31a)이 부착되는 내측에 요입홈(31b)을 형성하여 그 돌출외벽을 경첩본래의 두께보다 절반정도가 되게 얇은 연결부(31c)로 형성시키고 새시(1)와 접하는 길이가 긴 연결편(32)에는 보조연결편(32a)이 형성되는 반대측 면에 단턱(32b)이 형성되게 얇은 연결부(32c)를 형성하여 단턱(32b)부분에 돌출외벽의 연결부(31c)가 대면되도록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알루미늄제 경첩(3)의 연결편(31)(32)과 보조연결편(31a)(32a)이 연결되는 곳에 두꼐가 얇은 연결부(31c)(32c)가 형성되어서 다른 부분보다 탄력성이 증가하므로 경첩을 부착할때 경첩의 연결편과 보조연결편을 새시와 문에 밀착하도록 부착할수 있어서 부착작업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부착시킬수 있으며 완충력이 커서 쉽게 파열되지 않아 수명이 오래가는 등의 이점을 얻는 것이다.
Claims (1)
- 알루미늄제 새시(1)와 알루미늄제 도어(2)의 연결부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제 경첩을 구성함에 있어서 축부(30)에 힌지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편(31)(32)에 직각 방향으로 보조연결편(31a)(32a)을 형성하되 문(4)과 접속하는 짧은 연결편(31)에는 보조연결편(31a)이 부착되는 내측에 요입홈(31b)을 형성하여 그 돌출외벽을 경첩본래의 두께보다 절반정도가 되게 얇은 연결부(31c)로 형성하고 새시와 접하는 길이가 긴 연결편(32)에는 보조연결편(32a)이 형성되는 반대측 면에 단턱(32b)이 형성되게 얇은 연결부(32c)를 형성하여 단턱(32d)부분에 돌출외벽의 연결부(31c)가 대면되도록구성한 알루미늄제 새시용 경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5947U KR200165611Y1 (ko) | 1999-08-05 | 1999-08-05 | 알루미늄제 새시용 경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15947U KR200165611Y1 (ko) | 1999-08-05 | 1999-08-05 | 알루미늄제 새시용 경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5611Y1 true KR200165611Y1 (ko) | 2000-02-15 |
Family
ID=1958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5947U KR200165611Y1 (ko) | 1999-08-05 | 1999-08-05 | 알루미늄제 새시용 경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5611Y1 (ko) |
-
1999
- 1999-08-05 KR KR2019990015947U patent/KR20016561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FR2762348B1 (fr) | Charniere extensible extra-plate | |
TR200400672T4 (tr) | Çapraz girintili bir oyuncak yapı elemanı | |
US4574425A (en) | Flexible hinge assembly having a substrate supporting portion | |
KR200165611Y1 (ko) | 알루미늄제 새시용 경첩 | |
JP2000314496A (ja) | 配線用線樋の接続部材 | |
KR200183394Y1 (ko) | 끼움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브라켓트의 상호 체결구조 | |
KR200341882Y1 (ko) | 샌드위치패널 | |
JPS594111Y2 (ja) | 入角間隙部における閉寒板体の固定部の構造 | |
JPH0697675A (ja) | 開閉装置 | |
KR200312137Y1 (ko) | 문틀 연결구조 | |
JP2532288Y2 (ja) | パネル固定構造 | |
JPH10212871A (ja) | ガラス板の取付構造 | |
KR870002459Y1 (ko) | 미닫이 창문의 외기 차단장치 | |
JP2003140093A (ja) | 蝶 番 | |
JP4059439B2 (ja) | 建物外部開口用半外付けサッシの枠組み構造 | |
KR200341316Y1 (ko) | 판유리 지지용 프레임 구조 | |
JPH0640847Y2 (ja) | キャビネット扉取付用ヒンジ | |
JPH0540214Y2 (ko) | ||
KR200319622Y1 (ko) | 탄성 협지구를 갖는 파티션 본체지지부재 | |
JPH0715986Y2 (ja) | 樹脂製バネ蝶番および樹脂製バネ蝶番を用いたケース | |
JPS6334946B2 (ko) | ||
JPH11173008A (ja) | ドア枠構造 | |
JPH0524876U (ja) | 両開き戸 | |
KR200144161Y1 (ko) | 창호용 라운딩 코너바 | |
KR20060005077A (ko) | 결합성이 양호한 더미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102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