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964Y1 - 제품 보호용 완충물 - Google Patents

제품 보호용 완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964Y1
KR200164964Y1 KR2019970018035U KR19970018035U KR200164964Y1 KR 200164964 Y1 KR200164964 Y1 KR 200164964Y1 KR 2019970018035 U KR2019970018035 U KR 2019970018035U KR 19970018035 U KR19970018035 U KR 19970018035U KR 200164964 Y1 KR200164964 Y1 KR 200164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ide reinforcement
seating portion
sea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804U (ko
Inventor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8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9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9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품을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보관할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판상 부재를 절첩하여 형성되는 제품 보호용 완충물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소정의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일측은 상기 안착부의 좌,우측에 연장되고, 타측은 한 개의 결합 수단을 매개로 상기 안착부상에 소정 위치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한쌍의 측면 보강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후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 보강부의 양내측면에 결합되어 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 보강부가 상기 안착부의 양단과 직각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측면 보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별도의 소정 물품이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품 보호용 완충물{BUFFER OBJECTS FOR MANUFACTURED GOODS PROTECT}
본 고안은 제품 보호용 완충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을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보관할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제품을 보관하거나 운반하기 위해서는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이 보통인데, 제품과 포장박스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제품 보호용 완충물을 개재하였다.
상기의 제품 보호용 완충물로는 발포성 재질의 스티로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제품 보호용 완충물로 사용되었던 스티로폼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어느 정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의 스티로폼은 이사 등을 하는 경우에 제품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포장박스와 함께 재사용하기 위해 보관해두기도 한다.
그러나, 이 스티로폼은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그 빈도가 아주 낮기 때문에 버려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버려진 스티로폼은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도 썩지 않아 환경 오염의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제품을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보관할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전개도.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이 완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전개도에서 측면 보강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지지부를 조립하기 위해 본 고안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지지부 및 보관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착부 11,12,24 : 절첩선 20 : 측면 보강부
21 : 결합부 22 : 삽입편 23,33 : 고정공
30 : 지지부 31 : 지지편 32 : 삽입편
40 : 포장박스 50 : 제품 60 : 보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은 판상 부재를 절첩하여 형성되는 제품 보호용 완충물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소정의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일측은 상기 안착부의 좌, 우측에 연장되고, 타측은 두 개의 결합 수단을 매개로 상기 안착부상에 소정 위치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한 쌍의 측면 보강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후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 보강부의 양내측면에 결합되어 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 보강부가 상기 안착부의 양단과 직각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측면 보강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별도의 소정 물품이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전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은 소정의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부(10)와, 일측은 안착부(10)의 양측에 연장되고 타측은 한 개의 결합부(21)를 매개로 안착부(10)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 결합되어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한쌍의 측면 보강부(20)와, 안착부(20)의 전,후측에 연장 형성되고 측면 보강부(20)의 전,후측에 해당되는 양내측면에 결합되어 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면 보강부(20)가 안착부(10)의 양측과 직각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한쌍의 지지부(30)와, 측면 보강부(2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별도의 소정 물품이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부(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10), 측면 보강부(20), 지지부(30) 및 보관부(60)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의 재질은 골판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그 이유는 재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함이다.
안착부(10)는 제품이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사각 형상으로 예를 들었다.
이 안착부(10)의 좌,우측에는 측면 보강부(20)가 절첩선(11)을 매개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는 데, 이 측면 보강부(2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전,후로 배열된 세 개의 절첩선(24)을 매개로 네 개의 절첩면(25)이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절첩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제품에 가해지는 소정의 충격을 흡수하여 제품이 입는 손상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측면 보강부(20)의 단면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하지 않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절첩선(24)을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하여 단면이 삼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으로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결합부(21)는 측면 보강부(20)와 안착부(10) 사이의 절첩선(11)을 기준으로 측면 보강부(20) 내부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고정공(23)과, 측면 보강부(20)의 자유단측에 형성되어 고정공(23)에 삽입되는 삽입편(22)으로 구성되는 데, 측면 보강부(20)가 소정의 형상, 즉 단면을 사각형으로 절첩된 후에 이 형상이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안착부(20)의 전,후측 및 측면 보강부(20)의 절첩면(25)중에서 안착부(20)에 인접한 절첩면(25)에 지지부(30)가 형성되는 바, 이 지지부(30)는 안착부(20)의 전,후측에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편(31)과, 측면 보강부(20)의 절첩면(25)에 형성되는 고정공(33)과, 지지편(31)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고정공(33)에 삽입되는 삽입편(32)으로 구성된다.
보관부(60)는 한쌍의 측면 보강부(20)를 이루는 절첩면(25)중의 전,후 일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안착부(10) 좌,우측을 기준으로 하여 세 번째에 해당되는 접철면(25)에 형성되고, 접첩선(61)을 접첩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접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이 완성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전개도에서 측면 보강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지지부를 조립하기 위해 본 고안을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 지지부 및 보관부가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처럼, 안착부(10) 상부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절첩선(24)을 절첩하여 각각의 절첩면(25)이 소정의 각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이후, 도 3에서처럼, 측면 보강부(20)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 되도록 절첩한 다음, 결합부(21)를 구성하는 요소중의 하나인 삽입편(22)을 고정공(23)에 삽입시켜, 측면 보강부(20)가 단면이 완전한 사각형이 되도록 한다.
다음 조립과정으로 도 4에서처럼, 도 3에서 부분 조립된 보 고안을 조립자의 시야가 배면 부위를 볼 수 있도록 뒤집는다.
이후, 도 5는 도 4의 조립도에서 안착부(10)의 배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첩선(12)을 절첩하여 지지부(30)를 구성하는 지지편(31)이 안착부(10)와 직각이 되도록 한다.
다음 조립단계로 도 6은 지지편(3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삽입편(32)을 측면 보강부(20)에 형성된 고정공(33)에 삽입시켜 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측면 보강부(20)가 안착부(10)의 양단과 직각 상태로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후, 측면 보강부(20)를 이루는 절첩면(25)의 전,후측에 형성된 보관부(60)를 지지부(30)를 이루는 지지편(31)측으로 접첩선(61)을 절첩하여 절첩면(25)과 직각이 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포장 박스(40) 내부에 도 6에서 조립 완료된 본 고안의 완충물을 삽입시킨 다음, 제품(50)을 완충물의 측면 보강부(20)와 지지부(30)의 이루어진 소정의 공간부 사이에 삽입시킨다.
이후, 포장 박스(40)의 뚜껑(41)을 닫는 것으로, 포장박스에 제품을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포장박스(40)의 내벽면(42)과 보관부(6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이, 이 공간 사이로 별도의 소정의 물품(70)을 수납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물품(70)은 제품(50)의 사용 설명서를 예로 들을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제품 보호용 완충물에 의하면, 종래에서처럼 발포성 재질의 스티로폼을 사용하지 않고, 골판지등 재질이 종이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제품을 포장박스에 수납하여 보관할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제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판상 부재를 절첩하여 형성되는 제품 보호용 완충물에 있어서,
    상기 판상 부재는 소정의 제품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일측은 상기 안착부의 좌,우측에 연장되고, 타측은 한 개의 결합 수단을 매개로 상기 안착부상에 소정 위치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제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한쌍의 측면 보강부와; 상기 측면 보강부의 양내측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고정공과, 상기 안착부의 전,후측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삽입편을 갖는 한쌍의 지지편을 구비하여, 제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 보강부가 상기 안착부의 양단과 직각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한쌍의 지지부와; 상기 측면 보강부의 일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돌출형성되어 별도의 물품이 보관되도록 하는 보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보호용 완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보강부는 상기 안착부재의 양측으로부터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절첩선을 구비하여 단면이 다각형인 절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보호용 완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측면 보강부와 안착부의 절첩선상에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측면 보강부의 자유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보호용 완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측면 보강부, 지지부 및 보관부의 재질은 골판지인 것을 특징으로 제품 보호용 완충물.
KR2019970018035U 1997-07-09 1997-07-09 제품 보호용 완충물 KR200164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035U KR200164964Y1 (ko) 1997-07-09 1997-07-09 제품 보호용 완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035U KR200164964Y1 (ko) 1997-07-09 1997-07-09 제품 보호용 완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04U KR19990004804U (ko) 1999-02-05
KR200164964Y1 true KR200164964Y1 (ko) 2000-01-15

Family

ID=1950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035U KR200164964Y1 (ko) 1997-07-09 1997-07-09 제품 보호용 완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9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7482A (zh) * 2016-12-02 2017-05-24 杭州中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7482A (zh) * 2016-12-02 2017-05-24 杭州中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件
CN106697482B (zh) * 2016-12-02 2019-08-06 杭州中亚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04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1147A (en) Double panel boxes
KR102088108B1 (ko)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 기능을 갖는 포장상자
EP1874641B1 (en) Support device
US5769309A (en) Cushioned boxes
KR101211934B1 (ko) 완충케이스를 구비한 포장상자
JP2002347842A (ja) 長尺状物の収納函
KR200164964Y1 (ko) 제품 보호용 완충물
KR200164963Y1 (ko) 제품 보호용 완충물
EP4001146B1 (en) Packaging structure with resilient positioning flaps
KR20200079728A (ko) 조립이 간편한 포장용 박스
JP3112352U (ja) 包装箱
JP2020100430A (ja) 梱包材
JP2559174Y2 (ja) 被梱包物の梱包構造
JPH09301351A (ja) 包装箱
JP7245114B2 (ja) 商品包装箱
JP3438782B2 (ja) 梱包箱の構造
JP3041500B2 (ja) 梱包箱用組立式緩衝体
JP2005231641A (ja) ダンボール緩衝材
KR100237701B1 (ko) 세탁기의 포장용 하부완충재
JP2576386Y2 (ja) コーナー保護材
KR200301954Y1 (ko) 접철식 포장용 완충재
KR200307478Y1 (ko) 포장박스용 완충재
JPH08258835A (ja) 化粧箱内の緩衝用具
JP2821069B2 (ja) 段ボール製商品装着用緩衝体
KR101018252B1 (ko) 종이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