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935Y1 -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935Y1
KR200164935Y1 KR2019990019706U KR19990019706U KR200164935Y1 KR 200164935 Y1 KR200164935 Y1 KR 200164935Y1 KR 2019990019706 U KR2019990019706 U KR 2019990019706U KR 19990019706 U KR19990019706 U KR 19990019706U KR 200164935 Y1 KR200164935 Y1 KR 200164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andle
shift lever
mounting member
intermit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돈
Original Assignee
이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돈 filed Critical 이상돈
Priority to KR2019990019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9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9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 본체와, 손잡이 본체와 변속레버를 결속시키기 위해 변속레버에는 봉체의 일 끝단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봉체가 삽입되는 장착부재가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진 연결부와, 상기 장착부재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손잡이 본체가 연결부에서 높이조절되면 이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단속부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체는 길이방향에서 보아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인 다면체로 형성되며, 봉체가 삽입되는 장착부재의 내주면은 봉체의 형태와 대응결합되도록 한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손잡이를 봉체 상에서 높이조절을 하고 고정시킬 때 특별한 공구 없이도 손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수행의 편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속부가 손잡이와 봉체에 가하던 가압력이 낮아져도 손잡이가 봉체 상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며, 가압력이 낮아진 단속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죄어줄 수 있도록 하여 전술된 운행도중 자동차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BJUSTING THE ALTITUDE OF GEARSHIFT GRIP FOR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이하, 조절장치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변속레버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손잡이가 변속레버상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변속레버에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잡기 편하도록 손잡이가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손잡이는 운전석의 우측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지만 대체로 한국인의 표준 신장에 맞추어 그 돌출되는 높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손잡이는 대개가 합성수지의 사출물로 제작되어 레버의 끝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손잡이는 변속레버 상에서 높이조절이 불가능하여 각기 다른 신체조건을 갖는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적합하지 못한 결점을 갖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기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 158941호(이하, 기 등록고안이라 함)와 같이 변속레버 상에서 손잡이가 상, 하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된 조절장치가 출현된 바 있다.
상기 기 등록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기 등록고안은 변속레버와 결합되는 둥근 봉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조절홈을 형성하고, 이 봉체가 삽입되는 손잡이의 하단부에 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봉체가 손잡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볼트가 관통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절장치는 봉체의 조절홈에 손잡이의 고정볼트가 가압되도록 하여 손잡이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며, 봉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소 형성된 조절홈을 선택하고 고정볼트를 죄어 손잡이가 봉체 상에서 결합되는 높이가 변화되도록 하므로써 결국 변속레버에서 손잡이가 돌출되는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 등록고안은 봉체 상에서 손잡이를 고정시킬 때 고정볼트를 죄어주기 위해 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자동차가 주행될 때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손잡이에서 고정볼트가 풀려버려 손잡이가 봉체 상에서 헛돌거나 유동되는 결점을 갖는데, 운전도중 이러한 결점이 발생되면 운전자의 운전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어 안전운전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를 정지시키고 풀려진 고정볼트를 다시죄고 운행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시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봉체 상에서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하고 고정시킬 때 렌치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가 없이도 수작업으로 작업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이를 제공하고, 손잡이가 봉체 상에서 유동되는 현상을 구조적으로 개선시켜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에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변속레버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변속레버 손잡이의 종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중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손잡이 본체 20: 장착부재 21: 삽입구멍
30: 봉체 31: 단속홈 40: 단속부
41: 결합관 44: 단속봉 46: 스프링
47: 노브 50: 연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손잡이 본체와, 손잡이 본체와 변속레버를 결속시키기 위해 변속레버에는 봉체의 일 끝단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봉체가 삽입되는 장착부재가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진 연결부와, 상기 장착부재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손잡이 본체가 연결부에서 높이조절되면 이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단속부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체는 길이방향에서 보아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인 다면체로 형성되며, 봉체가 삽입되는 장착부재의 내주면은 봉체의 형태와 대응결합되도록 한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속부는 장착부재의 내, 외면을 관통하여 장착부재의 내주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결합관; 상기 결합관의 장착부재 내주측에서 끼워져 봉체를 가압하기 위한 단속봉; 상기 단속봉과 결합관의 사이에서 양단이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결합관과 스프링을 관통하여 단속봉이 결합관의 외부로 돌출되면 이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며, 결합관의 끝단부에 형성된 돌출관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절장치의 조립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절장치의 조립된 내부 구성을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조절장치는 손잡이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부재(20)가 결합되고, 이 장착부재(20)의 내부에 변속레버(1)와 결합되는 봉체(30)가 삽입되어 연결부(50)가 이루어지며, 장착부재(20)의 하단부에 장착부재(20)에서 봉체(30)가 고정 또는 고정해제 될 수 있도록 하는 단속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재(20)는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삽입구멍(21)이 형성되며, 삽입구멍(21)의 내부면 형상과 봉체(30)의 외주면은 봉체(30)가 삽입되는 방향에서 보아 다각형태(도면에서는 6각 형태 도시)를 갖는 다면체로 형성된다.
상기 봉체(30)에는 길이방향 소정위치마다 다수개소의 단속홈(31)이 형성된다.
상기 단속부(40)는 장착부재(20)의 내, 외면을 관통하여 삽입구멍(2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결합관(41)이 장착되고, 결합관(41)의 내부에는 단속봉(44)이 끼워지며, 단속봉(44)이 결합관(41)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관(41)의 외부로 돌출된 단속봉(44)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단속봉(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노브(47)가 결합된다.
상기 단속봉(44)의 외주에는 단턱(45)이 형성되며, 결합관(41)의 내주에도 단턱(43)이 형성되어 단속봉(44)과 결합관(41)의 단턱(43, 41)의 사이에는스프링(46)이 양단지지되며 개재되고, 결합관(41)의 끝단에는 외면에 나사가 형성된 돌출관부(42)가 형성되며, 단속봉(44)과 결합된 노브(47)의 내주에도 나사가 형성되어 돌출관부(42)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봉체(30)의 변속레버(1)와 결합되는 끝단에는 결합부시(60)가 결합되고, 이 결합부시(60)의 외면에 지지부재(61)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시(60)의 내주면과 결합부시(60)에 결합된 봉체(30)의 끝단부에는 레버 결합부(62)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 결합부(62)는 나사부분으로 형성된 변속레버(1)의 끝단과 결합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레버 결합부(62)는 결합부시(69)의 내주면 직경이 가장크도록 하고 봉체(30)의 것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한 단턱부(63)가 형성되도록 하여 규격이 다른 변속레버(1)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61)와 장착부재(20)의 사이에는 수축커버(51)가 양단지지되며 구비되고, 이 수축커버(51)는 자바라관의 형태로 되어 봉체(30)를 은폐하여 수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절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및 이 때 발생되는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는 손잡이 본체가 봉체에서 상, 하로 위치이동되어 손잡이 본체의 높이가 조절되었을 때 단속부가 손잡이 본체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의 상태는 단속봉(44)이 봉체(30)의 단속홈(31)에 장착되고, 노브(47)가 결합관(41)의 돌출관부(42)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브(47)를 손으로 쥐고 도 3b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당겨주면 단속봉(44)은 봉체(30)의 단속홈(31)에서 이탈된다.
이 때, 단속봉(44)의 단턱(45)과 결합관(41) 내부의 단턱(43) 사이의 간격은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단턱(43, 45)의 사이에서 양단이 지지된 스프링(46)은 탄성력이 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 본체(10)를 쥐고 봉체(30)에서 상, 하 위치이동시키고, 봉체(30)의 적정 높이에 형성된 단속홈(31)과 단속봉(44)이 돌출될 선상을 일치시킨 다음 노브(47)를 당기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력이 내재된 스프링(46)이 복원되며 단속봉(44)이 단속홈(31)으로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노브(47)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3c에서와 같이 노브(47)가 결합관(41)의 돌출관부(42)에 나사결합되며 단속봉(44)이 봉체(30)를 가압하여 결국 손잡이 본체(10)가 봉체(30)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된 손잡이 본체(10)에서 돌출관부(42)와 노브(47)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어도 단속봉(44)이 스프링(46)에 의해 봉체(30)의 단속홈(31)을 가압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단속봉(44)이 단속홈(31)에서 이탈되는 우려가 해소되고, 봉체(30)가 다면체로 형성되며 장착부재(20)의 삽입구멍(21)도 이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봉체(30) 상에서 손잡이 본체(10)가 유동되거나 헛도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조절장치의 레버 결합부(62)는 쇄선도시된 변속레버(1)의 여러 직경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단의 홈을 형성하여 직경이 다른 변속레버(1)의 규격에 대해 호환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손잡이를 봉체 상에서 높이조절을 하고 고정시킬 때 특별한 공구 없이도 손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수행의 편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속부가 손잡이와 봉체에 가하던 가압력이 낮아져도 손잡이가 봉체 상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며, 가압력이 낮아진 단속부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죄어줄 수 있도록 하여 전술된 운행도중 자동차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손잡이 본체와, 손잡이 본체와 변속레버를 결속시키기 위해 변속레버에는 봉체의 일 끝단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봉체가 삽입되는 장착부재가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진 연결부와, 상기 장착부재의 내, 외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손잡이 본체가 연결부에서 높이조절되면 이를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단속부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체는 길이방향에서 보아 원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인 다면체로 형성되며, 봉체가 삽입되는 장착부재의 내주면은 봉체의 형태와 대응결합되도록 한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장착부재의 내, 외면을 관통하여 장착부재의 내주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결합관;
    상기 결합관의 장착부재 내주측에서 끼워져 봉체를 가압하기 위한 단속봉;
    상기 단속봉과 결합관의 사이에서 양단이 지지되는 스프링;
    상기 결합관과 스프링을 관통하여 단속봉이 결합관의 외부로 돌출되면 이 돌출된 부분에 결합되며, 결합관의 끝단부에 형성된 돌출관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 높이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체의 하단부에 변속레버가 결합되기 위한 홈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규격이 여러 변속레버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 높이 조절장치.
KR2019990019706U 1999-09-14 1999-09-14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KR200164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706U KR200164935Y1 (ko) 1999-09-14 1999-09-14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706U KR200164935Y1 (ko) 1999-09-14 1999-09-14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4935Y1 true KR200164935Y1 (ko) 2000-02-15

Family

ID=1958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706U KR200164935Y1 (ko) 1999-09-14 1999-09-14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9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07B1 (ko) * 2007-04-30 2008-05-02 동 권 김 화물자동차의 안전운전 보조장치
CN113844257A (zh) * 2021-09-30 2021-12-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操纵杆总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07B1 (ko) * 2007-04-30 2008-05-02 동 권 김 화물자동차의 안전운전 보조장치
CN113844257A (zh) * 2021-09-30 2021-12-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操纵杆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7192A (en) 360d cable actuating lever
US5969891A (en) Multi-use articulation for external side view mirrors
KR200164935Y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 손잡이의 높이 조절장치
US7303240B2 (en) Fitting structure of vehicle wheel cover
US7069807B2 (en) Adjustable shift detent assembly
CA2225426A1 (en) Faucet handle assembly
EP1143321A3 (de) Handschal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0135622B1 (ko) 차량용 체인렌치
US6708536B1 (en) Anti-theft device for vehicles
EP1831069B1 (en) Setting screw for a control lever device
JP4501646B2 (ja) サイドハンドル及び携帯用工具
KR100555057B1 (ko) 차량 케이블용 방진구
US5941127A (en) Clutch cable control device
KR100452196B1 (ko) 차량용 악셀 케이블 연결구조
KR200287016Y1 (ko) 기어봉
KR20090082037A (ko)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변속 케이블의 연결구
KR100435285B1 (ko) 자동차용 변속레버와 노브의 결합구조
JPS6110010Y2 (ko)
KR100270534B1 (ko) 자동차의 변속레버
KR100192221B1 (ko) 자동차용 변속 레버 노브 조립 구조
KR100361815B1 (ko) 파킹 케이블의 장력조정 너트
KR100405496B1 (ko) 자동차용 케이블 어셈블리
KR200142283Y1 (ko) 변속기어의 디텐트 스프링 장력 조정장치
KR200227357Y1 (ko) 변속 레버
KR101152333B1 (ko) 자동차용 클러치 페달 유격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