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4501Y1 -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4501Y1
KR200164501Y1 KR2019970016564U KR19970016564U KR200164501Y1 KR 200164501 Y1 KR200164501 Y1 KR 200164501Y1 KR 2019970016564 U KR2019970016564 U KR 2019970016564U KR 19970016564 U KR19970016564 U KR 19970016564U KR 200164501 Y1 KR200164501 Y1 KR 200164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main switch
switch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972U (ko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16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450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9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9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4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4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밧데리(1)가 충전될 수 있도록 릴레이에 의해 온/오프되는 메인 스위치(2)가 밧데리(1)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메인 스위치(2)가 릴레이에 의해 온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3)가 메인 스위치(2)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충전기(3)의 내측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코드(4)가 끼워지는 충전소켓(5)이 구비되고, 상기 충전소켓(5)에 끼워지는 충전코드(4)의 신호를 받아 접속되면서 상기 메인 스위치(2)를 온시킴과 더불어 키이 박스(6)의 접속 스위치(6a)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작동 스위치(7)가 충전소켓(5)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 충전시에 일어날 수 있는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하여 오조작으로 인한 충전기의 파손이나 충전 시스템의 훼손을 사전에 막아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A battery charger of an electric car)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 충전시에 일어날 수 있는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하여 오조작으로 인한 충전기의 파손이나 충전 시스템의 훼손을 사전에 막아줄 수 있도록 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의 공해에 대한 대비책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는 바, 상기 전기 자동차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밧데리, 제어기, 전동기, 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밧데리는 가솔린 자동차와는 달리 차체를 직접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되기 때문에 밧데리의 보호와 관리는 매우 중요한 일의 하나이고, 또한 밧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장치는 가솔린 자동차의 연료장치와 같은 것이기 때문에 항상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것이다.
즉, 상기의 밧데리를 충전시키는 종래의 충전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101)에 연결되어 밧데리(101)가 충전될 수 있도록 온/오프되는 메인 스위치(102)와, 이 메인 스위치(102)가 릴레이에 의해 온 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103)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장치에는 직류 전력을 교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inverter, 104)가 연결되고, 또한 이 인버터(104)에는 키이 박스(105)의 접속 스위치가 연결설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101)에 충전을 시키기 위하여 우선, 운전자가 스위치 조작에 의해 상기 메인 스위치(102)의 릴레이를 구동시켜 메인 스위치(102)를 온시키고, 상기 충전기(103)에 구비된 충전소켓에 충전용 코드를 삽입시켜 전원을 인가받아 충전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충전장치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메인 스위치(102)를 온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을 하게 되면 충전기(103)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밧데리(101)에 충전을 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상기 키이 박스(105)에 시동키를 삽입하여 시동을 걸게 되면, 키이 박스(105)의 접속 스위치가 온되면서 상기 충전기(103)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역시 충전기(103)를 파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충전기의 충전소켓에 충전코드가 삽입될 때 내부의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메인 스위치를 온시킴과 더불어 키이 박스의 접속 스위치를 오프시키도록하여 운전자의 오조작으로 인한 충전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에 연결되어 밧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릴레이에 의해 온/오프되는 메인 스위치와, 이 메인 스위치가 릴레이에 의해 온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 이 충전기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코드가 끼워지도록 된 충전소켓 및, 이 충전소켓에 끼워지는 충전코드의 신호를 받아 접속되면서 상기 메인 스위치를 온시킴과 더불어 키이 박스의 접속 스위치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도록 된 작동 스위치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소켓에 삽입되는 충전코드의 단자부분은 각기 길이가 다르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충전코드에 대응되는 충전소켓 또한 다른 깊이의 접속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전소켓의 깊은쪽 접속홈에는 내측으로 센서가 설치되어 이 센서의 작동으로 상기 작동 스위치를 온시키도록 된 구조이다.
즉, 상기 충전소켓에 충전코드를 끼우게 되면 우선, 길이가 긴 단자가 깊은쪽 접속홈에 끼워지면서 센서를 작동시켜 상기 메인 스위치를 온시킴과 더불어 상기 키이 박스의 접속 스위치를 오프시킨 후, 이와 동시에 충전코드의 짧은 단자가 충전소켓의 얕은 접속홈에 끼워지면서 외부전원을 충전기로 인가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충전장치에 의해 밧데리를 충전시키기 전에 미리 운전자의 오작동에 대한 여지를 없애기 때문에 운전자의 오작동으로 인한 충전기의 파손을 막아 줄 수 있는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b는 도 1a의 충전소켓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밧데리 2 : 메인 스위치
3 : 충전기 4 : 충전코드
4a : 단자 5 : 충전소켓
5a : 접속홈 5b : 센서
6 : 키이 박스 6a : 접속 스위치
7 : 작동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1)가 충전될 수 있도록 릴레이에 의해 온/오프되는 메인 스위치(2)가 밧데리(1)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메인 스위치(2)가 릴레이에 의해 온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3)가 메인 스위치(2)에 연결설치되며, 상기 충전기(3)의 내측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코드(4)가 끼워지는 충전소켓(5)이 구비되고, 상기 충전소켓(5)에 끼워지는 충전코드(4)의 신호를 받아 접속되면서 상기 메인 스위치(2)를 온시킴과 더불어 키이 박스(6)의 접속 스위치(6a)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는 작동 스위치(7)가 충전소켓(5)에 연결된 구조이다.
그리고, 도 1b는 도 1a의 충전소켓(5)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충전소켓(5)에 삽입되는 충전코드(4)의 단자(4a)부분은 각기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충전코드(4)에 대응되는 충전소켓(5) 또한 다른 깊이의 접속홈(5a)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전소켓(5)의 깊은쪽 접속홈(5a)에는 내측으로 센서(5b)가 설치되어 이 센서(5b)의 작동으로 상기 작동 스위치(7)를 온시키도록 된 구조이다.
예컨대, 작업자가 밧데리(1)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충전소켓(5)에 충전코드(4)를 끼우게 되면, 상기 충전코드(4)의 길이가 긴 단자(4a)가 충전소켓(5)의 깊은쪽 접속홈(5a)에 끼워지고, 이에 따라 상기 충전소켓(5)의 내측에 설치된 센서(5b)가 작동되어 상기 메인 스위치(2)를 온시킴과 더불어 상기 키이 박스(6)의 접속 스위치(6a)를 오프시키며, 이와 동시에 충전코드(4)의 짧은 단자(4a)가 충전소켓(5)의 얕은 접속홈(5a)에 끼워지면서 외부전원을 충전기(3)로 인가시킴에 따라 밧데리(1)의 충전이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충전시에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충전기(3)의 파손을 미리 막아 줄 수 있게 되어, 충전기(3)를 포함한 충전장치를 보호함으로써 충전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 충전시에 일어날 수 있는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하여 오조작으로 인한 충전기의 파손이나 충전 시스템의 훼손을 사전에 막아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전기 자동차의 밧데리(1)에 연결되어 밧데리(1)가 충전될 수 있도록 릴레이에 의해 온/오프되는 메인 스위치(2)와, 이 메인 스위치(2)가 릴레이에 의해 온된 상태에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충전기(3), 이 충전기(3)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충전코드(4)가 끼워지도록 된 충전소켓(5) 및, 이 충전소켓(5)에 끼워지는 충전코드(4)의 신호를 받아 접속되면서 상기 메인 스위치(2)를 온시킴과 더불어 키이 박스(6)의 접속 스위치(6a)를 자동으로 오프시키도록 된 작동 스위치(7)로 이루어진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켓(5)에 삽입되는 충전코드(4)의 단자(4a)부분은 각기 길이가 다르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충전코드(4)에 대응되는 충전소켓(5) 또한 다른 깊이의 접속홈(5a)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전소켓(5)의 깊은쪽 접속홈(5a)에는 내측으로 센서(5b)가 설치되어 이 센서(5b)의 작동으로 상기 작동 스위치(7)를 온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KR2019970016564U 1997-06-30 1997-06-30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KR200164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64U KR200164501Y1 (ko) 1997-06-30 1997-06-30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64U KR200164501Y1 (ko) 1997-06-30 1997-06-30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72U KR19990002972U (ko) 1999-01-25
KR200164501Y1 true KR200164501Y1 (ko) 2000-01-15

Family

ID=1950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564U KR200164501Y1 (ko) 1997-06-30 1997-06-30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45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575B1 (ko) * 2000-06-08 2002-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점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72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9114B1 (en) Connection detecting circuit
BR9812225A (pt) Bateria, sistema de bateria, sistema elétrico de veìculo, e, processo de manter a carga de uma bateria de arranque
JPH05328619A (ja) 充電装置
US20210104851A1 (en) Electrified vehicle with electrical power outlet
CN103826925B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电力连接盒
US6840813B2 (en) Connecting apparatus for three phase induction motor of electric vehicle
KR200164501Y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JP3147620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JPH06284512A (ja) 電気自動車用給電装置
JPH05328532A (ja) 懸垂式充電機
KR200233779Y1 (ko) 자동차의 시동용 보조충전기
KR100273517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중 시동 제어방법
KR100559311B1 (ko) 전기 자동차의 전원 충전 포트
CN216290424U (zh) 一种汽车电动助力转向系统双轴电机
KR19980020512U (ko)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KR200156940Y1 (ko) 간편 충전장치
KR19990050735A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용 커넥터
JPH07106025A (ja) バッテリ充電用コネクタ
JP2000004506A (ja) バッテリ搭載型電気式産業車両の充電器接続装置
KR20010059086A (ko) 전기 자동차의 전원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86672A (ja) 電動車の充電方式
JP2013106425A (ja) 車両用充電器
KR19980064312U (ko) 자동차의 비상용 전력 공급 장치
KR200180576Y1 (ko) 비상 시동용 전원단자 연결구조
JP3580835B2 (ja) 車両の外部表示灯点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