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512U -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 Google Patents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512U
KR19980020512U KR2019960033743U KR19960033743U KR19980020512U KR 19980020512 U KR19980020512 U KR 19980020512U KR 2019960033743 U KR2019960033743 U KR 2019960033743U KR 19960033743 U KR19960033743 U KR 19960033743U KR 19980020512 U KR19980020512 U KR 199800205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vehicle
plug
outle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철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33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512U/ko
Publication of KR19980020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512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충전용 케이블을 구비한 자동차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차량의 내부에 배터리 충전용 케이블과 그 콘센트를 마련하므로써 비상시에 케이블을 구하러 다니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블은 권취기를 마련하여 다루기 쉬우면서도 멀리 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고, 또한 사기한 케이블은 콘센트를 겸한 플러그를 구비하도록 하여 +,-를 올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일측 끝단에는 차량 배터리의 +,- 단자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플러그가 연결된 케이블, 상기한 케이블의 중단을 권취한 채 보관하고,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기구, 상기한 케이블 권취기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를 갖는 운전석 하부의 보관함, 상대측 자동차의 케이블 콘센트를 꽂을 수 있도록 하되, 역시 차량 배터리와 연결된 콘센트를 각각 구비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어 차량 운행에 필요한 모든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이 배터리에는 차량의 동력원에 연결된 발전장치로써 계속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예기치 않은 실수로 인하여 차량이 운행하지 않는 동안 상기한 배터리의 전기가 모두 방전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차량이 이동할 수 없으므로 또 다른 배터리를 옮겨와 교체하던가 이것이 여의치 않을 때는 다른 차량의 배터리로 부터 문제 차량의 배터리까지 케이블을 연결하여 임시로 전기를 공급받아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한 작업은 문제 차량의 가장 근접된 위치(대개 차량의 전방끼리 마주하는 위치)로 도움 차량을 이동하고, 이어서 양측 배터리의 동일한 전극끼리 케이블로 연결한 다음, 도움 차량의 시동을 걸어 발전을 유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양측 차량의 위치를 필히 근접된 위치로 옮겨야 할 뿐만 아니라 양측 차량의 본넷트(Bonnet)를 열어야 하며, +,- 전극을 올바로 따져서 케이블을 연결하고, 또 시동을 걸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양측 배터리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즉석에서 구해야 하는 등 큰 불편이 따르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차량의 내부에 배터리 충전용 케이블과 그 콘센트를 마련하므로써 비상시에 케이블을 구하러 다니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한 상기 케이블은 권취기를 마련하여 다루기 쉬우면서도 멀리 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고, 또한 사기한 케이블은 콘센트를 겸한 플러그를 구비하도록 하여 +,-를 올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일측 끝단에는 차량 배터리의 +,- 단자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플러그가 연결된 케이블, 상기한 케이블의 중단을 권취한 채 보관하고,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기구, 상기한 케이블 권취기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를 갖는 운전석 하부의 보관함, 상대측 자동차의 케이블 콘센트를 꽂을 수 있도록 하되, 역시 차량 배터리와 연결된 콘센트를 각각 구비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자동차의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플러그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터리 (2) : 케이블
(3) : 권취기구 (4) : 플러그
(5) : 보관함 (6) : 콘센트
(41) : 단자 (42) : 단자 구멍
(51) : 개폐도어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상세한 요부 사시도인 바, 일측 끝단이 배터리(1)의 +,- 단자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플러그(4)로 이루어진 케이블(2)을 볼 수 있으며, 이때의 케이블(2)은 보관및 취급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2 에서와 같이 그 대부분을 권취기구(3)에 감아두고, 필요시에만 풀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차량 운전석의 아래에는 상기한 케이블(2)을 포함한 권취기구(3)를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51)를 가진 보관함(5)을 마련하고, 그 보관함(5)의 위에는 상대 차량의 콘센트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6)를 구비하되, 이 역시 배터리(1)와 연결시켜 둔다.
한편, 상기한 플러그(4)는 그 접속 단자(41)의 모양을 비대칭형으로 형성하여 +,- 를 바꿔 끼우지 않도록 배려하고, 또 플러그(4)의 일측면에는 다른 차량의 플러그(4)를 끼울 수 있도록 역시 비대칭형인 단자 구멍(42)을 형성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A는 문제 차량, B는 도움차량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문제 차량(A)의 배터리가 방전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차량간 거리가 가까우면 문제 차량의 케이블(2) 즉, 권취기구(3)를 보관함(5)으로 부터 꺼내어 케이블(2)을 충분히 풀어 낸다.
케이블(2)을 풀어 낸 후, 그 끝단의 플러그(4)를 도움 차량(B)의 운전석 보관함 위에 있는 콘센트(6)에 꽂아 도움 차량(B)의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움 차량(B)의 시동을 걸어 문제 차량(A)에 전원이 공급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차량간의 거리가 매우 멀 경우에는 도움 차량(B)의 케이블(2)도 보관함(5)으로 부터 꺼내어 길게 풀어 주고, 이들 양측의 플러그(4)를 상호, 접속시킨다.
즉, 일측 플러그(4)의 측면에 형성된 비대칭형 단자 구멍(42)에 상대측 플러그(4)의 비대칭형 단자(41)를 꽂아 넣으므로써 역시 양측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단자 구멍(42)과 단자(41)가 비대칭형으로써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의 +,- 가 바뀌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문제 차량(A)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운전석 아래에서 권취기구(3)에 감긴 케이블(2)을 풀어내 도움 차량(B)의 콘센트에 꽂아 주면 간단히 충전작업 준비가 끝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케이블을 구하러 다닌 다거나, 케이블을 구한 후, 양측 차량의 본넷트를 열어 두고, 케이블을 양측 배터리에 연결 한다거나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며, 양측 차량의 케이블(2)을 모두 사용할 경우 비교적 거리가 멀어도 차량의 이동없이 연결이 가능하며, 특히 미숙련자라 할지라도 플러그(4)의 단자(41)와 단자 구멍(42)이 비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 를 바꾸어 접속할 염려가 없는 등 여러가지 면에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터리 충전용 케이블을 구비한 자동차에 대한 것으로 특히 방전된 배터리에 비상 충전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콘센트와 플러그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일측 끝단에는 차량 배터리(1)의 +,- 단자에 연결되고, 그 타측은 플러그(4)가 연결된 케이블(2),상기한 케이블(2)의 중단을 권취한 채 보관하고, 필요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케이블 권취기구(3),상기한 케이블 권취기구(3)를 보관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51)를 갖는 운전석 하부의 보관함(5),상대측 자동차의 케이블 콘센트를 꽂을 수 있도록 하되, 역시 차량 배터리(1)와 연결된 콘센트(6)를 각각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케이블(2) 끝단의 플러그(4)는 두개의 단자(41)를 비대칭형으로 구성하여 +,- 가 바뀌지 않게 꽂을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러그(4)는 비대칭형인 단자(41)를 꽂을 수 있도록 일측면에 비대칭형 단자 구멍(42)을 형성하여 +,- 가 바뀌지 않게 꽂을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KR2019960033743U 1996-10-14 1996-10-14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KR199800205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743U KR19980020512U (ko) 1996-10-14 1996-10-14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743U KR19980020512U (ko) 1996-10-14 1996-10-14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512U true KR19980020512U (ko) 1998-07-15

Family

ID=5397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743U KR19980020512U (ko) 1996-10-14 1996-10-14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5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66B1 (ko) * 2010-06-18 2012-06-18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케이블 자동 권취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66B1 (ko) * 2010-06-18 2012-06-18 한국전력공사 충전기 케이블 자동 권취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2226B2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AU709769B2 (en) Portable booster battery
US5971801A (en) Service plug having a lever mechanism for positioning circuit terminals and short-circuiting terminals
JP5853225B2 (ja) 給電制御装置
JP5387024B2 (ja) 車両用充電ケーブル
US20090197456A1 (en) Service plug
US11046196B2 (en) Charge port covering assembly and method
JP6750307B2 (ja) 車外給電装置
JP5103221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構造
JPH02265162A (ja) 無線操縦走行玩具の電池収納部
US9975440B1 (en) Charge port covering assembly and method
CN109983600A (zh) 电池组模块连接器筒
US9463701B2 (en) Electrified vehicle charger
KR19980020512U (ko) 비상용 배터리 충전 케이블이 구비된 자동차
KR102128324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렛부용 이물질 유입 방지 커버
JPH06284512A (ja) 電気自動車用給電装置
ES2077506R (ko)
JPH04299029A (ja) 電気自動車
US6737190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164501Y1 (ko) 전기 자동차의 충전장치
KR200225206Y1 (ko)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JP2017126493A (ja) サービスプラグを備えた車載用バッテリユニット
JP3901598B2 (ja) 電気自動車の外部電力源接続装置
KR19980031195U (ko) 자동차용 밧데리 충전장치
KR100195055B1 (ko) 점프케이블감김대를 갖는 자동차용 밧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