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626Y1 -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626Y1
KR200163626Y1 KR2019970028464U KR19970028464U KR200163626Y1 KR 200163626 Y1 KR200163626 Y1 KR 200163626Y1 KR 2019970028464 U KR2019970028464 U KR 2019970028464U KR 19970028464 U KR19970028464 U KR 19970028464U KR 200163626 Y1 KR200163626 Y1 KR 200163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hutter
back cover
focal plane
plane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235U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70028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626Y1/ko
Priority to US09/012,217 priority patent/US5984537A/en
Priority to JP10011470A priority patent/JPH10228047A/ja
Priority to CN98208433U priority patent/CN2386465Y/zh
Publication of KR19990015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백커버를 열기 위한 백커버 스위치(S1)와, 필름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필름 장착 여부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와,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에 의해 기계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백커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백커버 감지부(1)와,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와 상기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의 온 신호를 판단하여 포컬 플레인 셔터의 막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백커버 감지부(1)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정상적인 포컬 플레인 셔터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고, 온 시키는 셔터 구동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촬영자가 백커버를 열고 필름을 장착할 때,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고, 후막은 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부주의로 포컬 플레인 셔터쪽으로 손이 가도 포컬 플레인 셔터에 손이 닿지 않도록 셔터 개방 상태로 만들어줌으로써 셔터 막 이탈에 의한 촬영 금지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에 따라 카메라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이 고안은 포컬 플레인(focal plane) 셔터(shutter) 막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필름 장착중에 포컬 플레인 셔터 의 막이 이탈되지 않도록 선막을 오프시키고, 후막을 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컬 플레인 셔터는 필름면 바로 앞에 설치되어 있으며, 선막과 후막이라고 부르는 2개의 천이나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셔터이다.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는 선막과 후막의 간격이 어떤 속도로 진행되는가에 따라 셔터 속도가 결정되며, 상기 셔터 속도는 선막과 후막의 진행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막 사이의 간격을 달리함으로써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포컬 플레인 셔터는 렌즈(lens) 셔터에 비해 고속의 셔터 속도를 내기 쉽고 설치하기 쉬우나 초기의 막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화면전체의 노광량이 달라져서 노광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진 포컬 플레인 셔터를 사용하는 종래의 카메라는 상기 셔터 막 이탈에 의해 촬영 동작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셔터 막 이탈 현상은 촬영 중에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필름을 장전시 촬영자의 부주의에 의해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 막을 누르므로써, 셔터 막이 이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기 셔터 막 이탈 방지의 경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포컬 플레인 셔터를 가진 카메라에 필름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촬영자가 카메라의 백커버를 오픈시키면,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12)이 드러난다.
상기와 같이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12)이 드러난 상태에서, 촬영자는 도 1과 같이 필름을 필름실(11)에 장착하고, 장착된 필름에서 일부의 필름을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12) 위를 지나 스풀실(13)에 감기도록 한 다음에 백커버를 닫는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도 1과 같이 장착된 필름통에서 일부의 필름을 스풀실(13)에 감을 때, 부주의로 손가락으로 선막(12)을 건드리게되어 선막(12)이 초기상태에서 이탈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12)이 초기 상태에서 이탈되면, 이탈된 선막(12)은 동작되지 않거나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아 촬영자가 의도하는 상태로 사진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포컬 플레인 셔터의 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컬 플레인 셔터를 가진 카메라의 사용설명서에 촬영자의 손이 포컬 플레인 셔터의 막에 닿지 않도록 필름을 장착하는 방법을 기재하여 포컬 플레인 셔터 막이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포컬 플레인 셔터의 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카메라는 포컬 플레인 셔터에 센서를 부착하여 포컬 플레인 셔터 막이 이탈하면, 상기 센서에서 막이탈을 감지하여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릴리즈 스위치를 락(lock)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종래의 방법은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없다.
다시말해, 사용설명서에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을 방지하는 필름 장착 방법이 기재되어도 사용자의 부주의는 완전히 없어지는 것이 아니며, 셔터에 센서를 부착하여 셔터 막 이탈을 감지하여 촬영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촬영자가 의도하는 대로 촬영을 하고자 하나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써 촬영기회를 상실 할뿐 아니라 상기와 같은 사실을 미처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할 경우에는 카메라의 이상상태로 판단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로 발전될 수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사실을 알고 있는 사용자도 스트레스를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백커버 오픈되고 필름이 장착될 때,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을 오프상태로, 후막을 온 상태로 유지시켜 셔터 막에 손가락이 닿지 않도록 하여 막이탈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의 포컬 플레인 셔터를 가진 카메라에 필름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에서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하는 회로도이고,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시키는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6의 (a)와 (b)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에서 포컬 플레인 셔터의 초기 상태도와 백커버를 오픈시키고 필름을 장착했을 때의 포컬 플레인 셔터의 상태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백커버를 오픈시키기 위한 백커버 오픈 수단과;
상기 백커버 오픈 수단에 의한 기계적인 백커버 닫힘을 감지하는 백커버 닫힘 감지 수단과;
필름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필름 장착 감지 수단과;
상기 백커버 오픈 수단의 온 신호와, 상기 필름 장착 감지 수단의 온 신호를 입력받아 포컬 플레인 셔터의 막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백커버 닫힘 감지 수단에서 출력하는 오프신호에 따라 정상적인 셔터 구동 상태로 복귀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기 위해 구동하는 셔터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에서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하는 회로도이고,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시키는 장치의 일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6의 (a)와 (b)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에서 포컬 플레인 셔터의 초기 상태도와 백커버를 오픈시키고 필름을 장착했을 때의 포컬 플레인 셔터의 상태도이다.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는
백커버를 열기 위한 백커버 스위치(S1)와;
필름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필름 장착 여부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와;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에 의해 기계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백커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백커버 감지부(1)와;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와 상기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에서 출력하는 온 신호에 따라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고, 후막을 온시키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백커버 감지부(1)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정상적인 포컬 플레인 셔터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고, 온 시키는 셔터 구동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셔터 구동부(3)는 상기 제어부(2)의 일측 단자(b1)에서 출력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환되어 배터리 전압(VB)의 전류의 도통 상태가 제어되는 제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제1 콘덴서(C1)와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자계를 발생하며 제1 마그네트(magnet)(Mg1)에 감겨있는 제1 코일(41)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선막을 접거나 펴지도록 하는 선막 구동부(31)와, 상기 선막 구동부(31)와 동일한 작동을 하는 구성 즉, 제2 트랜지스터(Q2), 제2 콘덴서(C2), 제2 마그네트(Mg2)에 감겨있는 제2 코일(4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2)의 타측 단자(b2)에서 출력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후막을 접거나 펴지도록 하는 후막 구동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선막 구동부(31)는 끝측이 마그네트로 되어 있으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전달된 전류에 의해 자계를 발생하는 코일(41)이 감겨있다.
상기 코일(41)은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이 되고, 흡착현(10)과 아마츄어(40)가 부착되고, 이때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기구부가 선막과 후막을 초기 상태로 유지하고 있던 레버(lever)가 빠져나와 포컬 플레인 셔터는 초기 상태가 유지되고 도3의 제어부에 의해 선막과 후막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후막 구동부(32)는 상기 선막 구동부(31)와 마찬가지로 제2 흡착편(11)을 끌어당겨 상기 제2 흡착편(11)에 연결된 제2 셔터막 날개 구동 레버(21)가 이동되도록 한다.
첨부한 도 5를 참조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는
백커버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0)와;
필름이 카메라에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200)와;
상기 백커버가 오픈되고 필름이 장착되면,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고 후막을 온시키는 단계(S300)와;
상기 백커버가 닫혔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400)와;
셔터의 막을 정상적인 촬영 준비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S500)와;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단계(S600)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첨부한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듯이, 도 6의 (a)는 카메라의 백커버를 오픈시켰을 때 보이는 상태로서 점선으로 나타낸 후막(62)은 접혀져 있고 선막(61)은 펼쳐져 있다.
도 6의 (b)는 상기 선막(61)이 오프되고 상기 후막(62)이 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점선으로 표시한 상기 선막(61)과 후막(62)이 모두 접혀져 있어 셔터가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첨부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촬영자가 새필름을 카메라에 장착하기 위해 백커버 스위치(S1)를 조작하면, 상기 백커버 스위치(S1)는 온 되어 온 신호를 제어부(2)로 출력한다.
상기 촬영자의 백커버 스위치(S1)의 조작에 의해 카메라의 백커버가 오픈된다.
상기에서 백커버가 오픈되면, 촬영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막(61)이 펼쳐져 있고, 후막(62)이 접혀있는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초기 상태가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선막(61)과 후막(62)은 초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는 차지 레버(charge lever)에 의해 지지되어져 있다.
촬영자가 새 필름을 필름실(11)에 장착하면,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는 필름 장착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는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의 온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의 온 신호를 입력받아 셔터 구동부(3)로 백커버 오픈에 따른 셔터막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100, S200)
상기 셔터 구동부(3)는 상기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백커버 오픈에 따른 제어 신호에 따라 셔터의 선막(61)을 오프시키고, 후막(62)을 온시킨다.
상기 선막(61)을 오프시키고, 후막(62)을 온시키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에서 선막(61)과 후막(62)은 초기상태에서 기구적인 차지레버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선막(61)과 후막(62)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서 기구적인 차지레버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차지레버를 이탈시켜 상기 선막(61)과 후막(62)이 상기 차지레버로부터 자유로워지게 하기 위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는 일측 단자(b1)와 타측 단자(b2)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Q1 및 Q2)를 구동시킨다.
상기 일측 단자(b1)에서 출력하는 구동 신호는 배터리 전압(VB)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제1 트랜지스터(Q1)를 제어하여 전류가 제1 콘덴서(C1)와 제1 코일(41)에 흐르도록 하여 상기 제1 코일(41)이 자화된다.
상기 코일(41)이 자화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계는 도전체의 제1 흡착편(10)을 끌어당겨 상기 제1 흡착편(10)과 연결된 제1 셔터막 날개 구동 레버(20)를 구동시켜 상기 제1 셔터막 날개 구동 레버(20)가 이동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제1 셔터막 날개 구동 레버(20)는 기구적인 차지레버를 대신하여 상기 선막(61)과 후막(62)을 지지한다.
상기 제어부(2)의 구동 신호에 따른 선막 구동부(31)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2)의 구동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후막 구동부(32)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셔터막 날개 구동 레버(20, 21)가 전자적으로 상기 선막(61)과 후막(62)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는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와 상기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의 온 신호를 판단하면, 셔터 구동부(3)의 선막 구동부(31)로 구동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셔터막 날개 구동 레버(21)가 상기 제1 마그네트(Mg1)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셔터막 날개 구동 레버(21)가 제1 마그네트(Mg1)에서 이탈되면, 상기 선막(61)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다.
상기에서 제어부(2)는 후막 구동부(32)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있어 상기 후막(62)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S300)
그러므로, 촬영자가 카메라의 백커버측에서 바라보면, 상기 선막(61)과 후막(62)이 모두 접혀진 개방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선막(61)과 후막(62)이 접혀져있는 상태가 되면, 촬영자가 필름을 필름실(11)에 장착하고 장착한 필름의 일부를 스풀실(13)에 감기도록 하는 과정에서 부주의를 하여도 포컬 플레인 셔터막을 건드리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선막(61)이 오프되고, 후막(62)이 온된 상태에서 촬영자는 필름을 장전하고서 백커버를 닫는다.
상기 백커버가 닫히면, 백커버 감지부(1)는 백커버가 닫히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2)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는 상기 백커버 감지부(1)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필름 장착이 끝났음을 판단하여 정상적인 촬영 준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3)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400)
상기 셔터 구동부(3)는 상기 제어부(1)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선막(61) 오프를 온으로 바꾸어 촬영시 선막(61)과 후막(62)이 이동되도록 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00, S600)
이 고안은 촬영자가 백커버를 열고 필름을 장착할 때,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고, 후막은 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부주의로 포컬 플레인 셔터쪽으로 손이 가도 포컬 플레인 셔터에 손이 닿지 않도록 셔터 개방 상태로 만들어 줌으로써 셔터 막 이탈에 의한 촬영 금지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에 따라 카메라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Claims (6)

  1. 백커버를 열기 위한 백커버 스위치(S1)와;
    필름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여 필름 장착 여부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와;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에 의해 기계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백커버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백커버 감지부(1)와;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와 상기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의 출력 신호를 판단하여 포컬 플레인 셔터의 막을 제어하기 위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백커버 감지부(1)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정상적인 포컬 플레인 셔터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와;
    상기 제어부(2)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고, 온시키는 셔터 구동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2)는
    상기 백커버 스위치(S1)와 필름 장착 인식 스위치(S2)의 출력 신호를 판단하여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이 오프되고 후막이 온되도록 상기 셔터 구동부(3)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특징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2)는
    백커버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필름이 카메라에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백커버가 오픈되고 필름이 장착되면, 셔터의 선막을 오프시키고 후막을 온시키고, 상기 백커버가 닫혔는지를 판단하고, 셔터의 막을 정상적인 촬영 준비 상태로 복귀시켜 촬영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셔터 구동부(3)는
    상기 선막(61)을 구동시키는 선막 구동부(31)와, 후막을 구동시키는 후막 구동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선막 구동부(31)는
    상기 제어부(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하는 제1 스위치 수단(Q1)과, 상기 제1 스위칭 수단(Q1)의 동작 상태에 변화되는 전류의 소통 상태에 따라 해당 전압의 충/방전 동작이 제어되는 제1 콘덴서(C1)와, 상기 제1 콘덴서(C1)의 충/방전 상태에 따라 전류의 소통 상태가 변화되는 제1 코일(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후막 구동부(32)는
    상기 선막 구동부(31)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KR2019970028464U 1997-01-06 1997-10-14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KR200163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464U KR200163626Y1 (ko) 1997-10-14 1997-10-14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US09/012,217 US5984537A (en) 1997-01-15 1998-01-23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deviation of a focal plane shutter blade
JP10011470A JPH10228047A (ja) 1997-01-15 1998-01-23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ー膜離脱防止装置及びその方法
CN98208433U CN2386465Y (zh) 1997-01-06 1998-01-24 用于防止焦平面快门叶片偏离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464U KR200163626Y1 (ko) 1997-10-14 1997-10-14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35U KR19990015235U (ko) 1999-05-15
KR200163626Y1 true KR200163626Y1 (ko) 2000-01-15

Family

ID=1951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464U KR200163626Y1 (ko) 1997-01-06 1997-10-14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6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235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3626Y1 (ko)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JP2838296B2 (ja) 撮像装置の手振れ防止装置および手振れ警告装置
JPH10228047A (ja)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ー膜離脱防止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1318406A (ja) レンズカバー付きカメラ
JPH0723259A (ja) 電子カメラ
KR200160380Y1 (ko) 포컬 플레인 셔터 막 이탈 방지 장치
JP2001042421A (ja) フィルム撮影とデジタル撮影が可能な一眼レフカメラ
JP3843001B2 (ja) レンズ交換式一眼レフ型デジタルカメラ
JPH064756U (ja) カメラ
KR940008005Y1 (ko) 사진촬영중 백카바 열림방지장치
JPH0441661Y2 (ko)
KR0174489B1 (ko) 렌즈 덮개 개폐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JPH0610939U (ja) カメラ
JP2602358Y2 (ja) カメラ
JP4626010B2 (ja) カメラの駆動機構
JP2576303Y2 (ja) レンズシャッタカメラ
JP3123168B2 (ja) カメラ
JP3213967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3907328B2 (ja) ビデオカメラ
JPH11202401A (ja) 状態表示機能を備えるカメラ
JP3165002B2 (ja) カメラ
JPH11133482A (ja) シャッタ装置
JPH11326991A (ja) カメラ
JP4384543B2 (ja) カメラ及びカメラの消費電力制御方法
JPH07311401A (ja) 視線検出装置を備える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