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878Y1 -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878Y1
KR200162878Y1 KR2019970014789U KR19970014789U KR200162878Y1 KR 200162878 Y1 KR200162878 Y1 KR 200162878Y1 KR 2019970014789 U KR2019970014789 U KR 2019970014789U KR 19970014789 U KR19970014789 U KR 19970014789U KR 200162878 Y1 KR200162878 Y1 KR 200162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oundary
video signal
passband
dump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342U (ko
Inventor
옥상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14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87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8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신호 재생에 있어서, 특히 방송국에서 송신되어온 영상신호의 주파수 대역제한 및 수신기에서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특성열화에 따른 영상신호의 경계부 특성이 나빠진 것을 보상하고, 고역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영상신호 재생에 관한 영상신호의 경계부 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신호 재생장치는 휘도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칼라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 제한되어서 영상신호의 경계부를 날카롭게 재생하지 못하고, 또는 휘도신호와 칼라신호의 대역폭 차이로 인하여 휘도와 칼라신호의 과도시간(Transient Timing)이 일치하지 않아 영상경계부의 과도특성 및 칼라재현이 특성이 좋지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 영상신호의 재생장치에 있어 미분된 원신호를 적분하여 보정할수 있도록 하여 대역제한된 색신호의 과도특성을 휘도신호의 과도특성과 차이나는 것을 보상하도록 영상신호를 통과대역 선택필터에 의해 선택 필터링하여 출력할수 있도록 하고, 선택되어 필터링된 영상신호를 미분하여 미분된 영상신호를 적분하여 원신호와 동일한 파형으로 보정신호로 하고, 필터링되어 출력된 영상신호를 보정신호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할수 있도록 지연되어 가산되므로서 날카로운 경계를 갖는 영상신호를 얻을수 있도록 하여 영상신호의 경계부는 경계부대로 날카롭게 세울수 있도록 하므로서, 휘도와 칼라신호의 전송특성을 강화하여 영상신호의 경계부 특성 강화로 고역노이즈는 역으로 줄일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본 고안은 영상신호의 재생에 있어서, 특히 방송국에서 송신되어온 영상신호의 주파수 대역제한 및 수신기에서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특성열화에의해 영상신호의 경계부 특성이 나빠지는 것을 보상하고, 고역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영상신호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상신호의 재생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로서, 복합영상신호(Y/C)을 칼라신호(C)와 휘도신호(Y)로 분리하여 휘도신호(Y)를 휘도신호 특성조절부(2)에 인가하면서 칼라신호(C)를 색 복조부(3)로 인가하는 Y/C분리부(1)와, 상기 휘도신호(Y)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여 색 메트릭스(4)에 인가하는 휘도신호 특성 조절부(2)와, 상기 칼라신호를 색차신호(R-Y, B-Y)로 복조하여 색 메트릭스(4)에 인가하는 색 복조부(3)와, 상기 색차신호(R-Y, B-Y)와 휘도신호(Y)를 인가받아 가감산하여 원색신호(R.G.B)를 영상증폭기(5)에 출력하는 색 메트릭스(4)와, 상기 원색신호(R.G.B)를 입력으로 하여 브라운관(6)을 구동할수 있도록 증폭하여 인가하는 영상증폭기(5)와, 상기 증폭된 원색신호(R.G.B)의 영상을 재현하는 브라운관(6)으로 구성되며,
도 3, 도 5 및 도 7은 휘도신호 특성조절부(4)의 구성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3은 휘도신호(Y)의 고역을 강조하는 하이패스 필터(7)로 구성되며,
도 5는 휘도신호(Y)를 소정시간 지연하는 딜레이(Delay)(8)와 3차 고조파(3rd Harmonics)를 발생하는 3차 고조파 발생기(9)를 통과시켜 가산기(10)에 의해 가산하도록 구성되며,
도 7는 휘도신호의 최소 및 최대값을 검출하는 MIN값 검출기(11), MAX값 검출기(12)를 통과하도록 하고, 이 값을 휘도신호(y)를 2차 미분하는 2차 미분기(13)를 통과한 휘도신호의 값에 따라 스위치(14)에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영상신호 재생장치에 대하여 도 1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합영상신호(Y/C)의 휘도신호(Y)와 칼라신호(C)는 도 2와 같이 4.2MHz와 1.5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고 더해져 Y/C분리부(1)에 입력되어 휘도신호(Y)와 칼라신호(C)를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휘도신호(Y)는 휘도신호 특성조절부(2)에 인가되고, 칼라신호(C)는 색 복조부(3)에 인가된다.
여기서, 분리된 휘도신호(Y)를 인가받아 상기 휘도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제어하는 휘도신호 특성조절부(2)의 구성 예를 도 3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 3은 도 4의 (가)와 같은 입력 휘도신호(Y)를 하이패스 필터(HPF)(7)를 통과시켜 도 4의 (나)와 같이 고역쪽의 휘도신호(Y') 경계부의 날카로움을 올리도록 하게되는데, 링잉(Ringing)이 발생하거나 고역 노이즈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5는 도 6의 (가)와 같은 휘도신호(Y)는 지연부(8) 및 3차 고조파 발생기에 인가되어 상기 지연기(8)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지연되고, 3차 고조파 발생기(9)에서 도 6의 (나)와 같은 파형으로 하여 가산기(10)에 입력되면, 상기 가산기(10)은 지연된 휘도신호에 상기 3차 고조파 발생기를 통과한 3차 하모닉스(Harmonics) 성분을 가산하여 도 6의(다)와 같은 중대역 휘도신호(Y')의 경계부에만 특히 효과가 있을뿐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8의 (가)와 같은 휘도신호(Y)를 수 탭(tap)의 지연선을 통과시키면서 MIN검출기(11) 및 MAX검출기(12)를 통과시켜 도 8의 (나)(다)와 같은 MIN 및 MAX값을 계산해두고, 상기 휘도신호(Y)의 2차 미분기(13)를 통과한 도 8의 (마)와 같은 값이 정극성인지 부극성인지에 따라 정극성이면 MIN값을, 부극성이면 MAX 값을 스위치부(14)에서 선택하여 도 8의 (라)와 같이 휘도신호(Y')의 경계부를 강화하게 되는데, 완만히 변화하는 과도현상에 대해서 여전히 경계부가 날카롭지 못한 특성이 있고 고역 노이즈가 역시 남아있는 문제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휘도특성 조절부(6)는 휘도신호(Y)의 특성을 조절한 후 상기 휘도신호(Y)를 색 메트릭스(4)에 인가되도록 한다.
한편, 복합영상신호(Y/C)로 부터 분리된 칼라신호(C)는 색 복조부(3)에서 색차신호(R-Y,B-Y)로 복조되어 색 메트릭스(4)로 입력된다.
상기 복조된 색차신호(R-Y,B-Y)와 주파수 특성이 조절된 휘도신호(Y)를 인가받은 색 메트릭스(4)에서 가감산하여 원색신호(R.G.B)를 영상증폭기(5)로 입력하면, 상기 영상증폭기(5)는 입력된 원색신호(R.G.B)의 진폭이 브라운관(6)을 구동하기에 부족하여 상기 영상증폭기(5)에서 R,G,B신호 각각을 200배 정도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영상신호는 브라운관(6)에 인가되어 영상이 재현되도록 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 영상신호 재생장치에서는 도 2와 같이 휘도신호(Y)의 주파수 특성이 대역제한되어 있어 휘도신호의 변화부가 날카롭지 못하게 됨과 아울러 칼라신호(C)의 주파수 특성이 1.5MHz정도로 휘도신호에 비해 더욱 좁으므로서 영상의 경계부에 휘도신호의 과도시 동시에 나타나는 칼라신호의 과도현상이 완만하게 변하므로서 영상경계부의 과도특성 및 칼라재현 특성이 좋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그리고, 휘도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제어하는 휘도신호 특성조절부(6)를 보면 하이패스 필터(7)에서는 도 4의 (나)와 같이 링잉발생 및 고역노이즈가 발생하게 되고, 도 5의 지연기(8) 및 3차 고조파 발생기(9)를 통과하여 가산기(10)에서 출력된 휘도신호(Y')가 도 6의 (다)와 같이 중대역(1.5MHz)에만 특히 효과가 있고, 도 7과 같은 휘도신호의 특성을 조절함에 있어 도 8과 같이 휘도신호의 경계부를 강화하고 있으나 완만히 변하는 과도현상에 대해 경계부가 날카롭지 못한 특성이 있어 고역노이즈가 남아있어 휘도신호의 과도특성을 강화시키지 못하고 고역 노이즈가 남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영상신호의 경계부 강화장치를 구성시켜 영상신호를 통과대역 선택필터에 의해 선택 필터링하여 출력할수 있도록 하고, 선택되어 필터링된 영상신호를 미분하여 미분된 영상신호를 적분하여 원신호와 동일한 파형으로 보정신호로 하고, 필터링되어 출력된 영상신호를 보정신호와 동일한 타이밍으로 할수 있도록 지연되어 가산되므로서 날카로운 경계를 갖는 영상신호를 얻을수 있도록 하여 영상신호의 경계부는 경계부대로 날카롭게 세울수 있도록 하며 노이즈는 노이즈대로 줄일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영상신호 재생장치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영상신호 재생장치에서의 휘도 및 칼라신호 주파수 특성도
도 3내지 도 8은 종래 영상신호 재생장치에 있어서,
휘도신호 특성 조절부의 예를 보인 구성도 및 그 파형도
도 9은 본 고안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의 각부 파형도
도 11은 본 고안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에 있어서,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의 회로구성 및 그 파형도
도 12는 본 고안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에 있어서,
통과대역 선택필터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고안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에 있어서, 3채널을 독립적으로 보인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의 제 1실시예를 보인 블럭구성도
도 14은 본 고안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에 있어서, 독립 1채널과 종속 2채널로 구성된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의 제 2실시예를 보인 블럭구성도
도 15는 본 고안 독립1채널과 종속2채널로 구성된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의 각부 파형도
본 고안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한 개 이상의 채널로 구성된 영상신호의 경계부 강화장치의 기본 블럭구성도로서,
휘도신호(Y) 또는 색신호(C)의 고역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통과 필터(LPF) 또는 필터링없이 통과시키는 올 패스(ALL-PASS)필터(APF)로 구성된 제 1통과대역 필터(21)로 입력되도록 하고, 그 출력이 저역통과 필터(LPF) 또는 올 패스 필터(APF)로 구성된 제 2통과 대역필터(22)와 미분하는 미분기(25)에 입력되도록 하고, 제 2통과 대역필터(22)의 출력이 보정신호와 타이밍을 맞추기 위하여 소정시간 지연하는 지연기(23)로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지연기(23)의 출력이 가산기(24)의 정(+) 입력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미분기(25)의 출력은 미분된 출력에 따라 펄스를 발생하는 인버팅 구형화회로(26)와 적분하여 원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만드는 덤프 스위치내장 적분기(27)의 입력으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인버팅 구형화 회로(26)의 출력은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의 덤프스위치 구동입력으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의 출력이 상기 가산기(24)의 부(-) 입력이 되도록 하고, 상기 가산기(24)에 의해 가산된 출력은 경계부 강화된 영상신호의 출력이 되도록 하며,
그리고 통과대역 선택필터(21)(22)는 도 10과 같이, 고역 노이즈를 제거하는 로우패스 필터(LPF) 및 필터링없이 통과시키는 올 패스 필터(APF)중의 한가지로 구성되고,
그리고,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는 도11과 같이, OP증폭기(26A)와 입력저항(R1), 충방전 콘덴서(C1), 온/오프되는 덤프스위치(SW1)로 구성되며, 또는 입력 저항(R2)과 충방전 콘덴서(C2), 온/오프되는 덤프스위치(SW2)로 구성할수 있다.
도 13은 3개의 영상신호에 독립적으로 적용되는 경계부 보강장치의 제 1실시예로서,
영상신호가 원색신호(R,G,B)이거나 색차신호(Y) 2개일 때 적용하고, 그 구성은 도 9의 기본 블록도를 3개 병렬로 구성되도록 한다.
도 14는 독립채널 1개와 종속채널 2개로 구성된 경계부 보강장치의 제 2실시예로 입력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차신호 2개인 경우 적용하도록 하고, 그 구성은 도 9의 기본 블록 구성도에서 휘도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인버팅 구형화 회로(27)의 출력이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6)로 출력하면서 제 1색차신호, 제 2색차신호 블록의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6)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영상신호 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9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과 같은 기본 블록구성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 영상신호는 도 12의 (가)와 같은 신호로 제 1통과 대역필터(21)에 입력되면, 통과대역 선택필터(21,2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우패스 필터 (LPF)및 올 패스필터(APF)중 하나로 구성되는데,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의 로우패스 필터(LPF)에 의해 고역 노이즈가 제거되어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에서는 올 패스 필터(APF)에 의해 그대로 통과하거나, 또는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에서 그대로 통과하고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에서 고역 노이즈가 제거되거나, 아니면 고역 노이즈 제거를 하지 않기위해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와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를 통과하도록 하게된다.
여기서, 고역 노이즈 성분은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 또는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에서 제거되는데, 어느쪽에서 필터링되느냐에 따라 다소차이는 있다. 즉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에서 필터링되면 보정신호의 형태가 가산기(24)의 입력의 신호 경계부와 같아서 최종신호는 더욱 날카로워지고, 상기 제 2통과 대역 필터(22)에서 필터링하면 가산기(24)의 입력 경계부 형태가 조금 달라져 특성이 떨어질수 있다.
상기 제 1통과 대역 필터(21)의 출력은 미분기(25)에서 도 12의 (나)와 같이 미분된 파형으로 하여 인버팅 구형화 회로(26) 및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에 입력되는데,
상기 인버팅 구형화 회로(26)는 도 12의 (라)와 같이 입력된 미분신호의 펄스가 있으면 로우(LOW), 없으면 하이(HIGH)가 되는 역의 펄스를 발생하여 덤프스위치 내장적분기(27)의 구동입력으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미분된 영상신호는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의 도 11의 (가) 또는 (나)와 같이 OP증폭기(OP1), 저항(R1) 및 콘덴서(C1) 또는 저항(R2) 및 콘덴서(C2)로 구성된 적분기에서 시정수(I=RC)에 의한 충전후 방전 순간에 인버팅 구형화 회로(26)의 하이신호(H)에 의해 덤프스위치(SW1)(SW2)를 온 하므로서 도 11의 (다)와 같이 영상의 경계부에서만 존재하는 원신호와 동일한 보정신호가 만들어 진다.
여기서, 도 12의 (다)와 같이 소정시간(t2)에서는 미분파형을 적분시키고, 적분된 파형의 방전시간(t3)에서 덤프스위치(SW1)(SW2)를 온 동작시키므로서 완전한 보정신호를 얻을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입력되는 미분된 신호를 다시 적분하므로서 원신호와 동일한 형태의 신호가 얻을수 있도록 하여 가산기(24)의 부(-)입력으로 인가하게 된다.
한편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를 출력신호를 인가받은 지연기(23)는 입력된 원신호를 미분기(25), 덤프스위치 내장적분기(27)를 거쳐 나오는 보정신호와 동일한 타이밍을 갖기위해 필요한 지연을 제공하여 가산기(24)의 정(+)입력으로 인가하게 된다.
상기 가산기(24)는 정극성으로 입력된 원신호에 대하여 부극성으로 인가된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의 보정신호로 가산하므로서, 도 12의 (마)와 같은 날카로운 경계를 갖는 영상신호가 얻어진다.
도 13은 제 1실시예로 원색신호(R.G.B) 각각에 대해 경계부 보강하거나 휘도신호(Y), 제 1, 2색차신호(R-Y,B-Y)에 적용되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병렬 3채널 경계부 보강장치로서, 각각의 입력되는 색차신호(R-Y,B-Y) 및 휘도신호(Y)에 대해 경계부를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는 제 2실시예로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 1, 2(R-Y,B-Y)를 인터페이스 하는 경우로 독립 1채널과 종속 2채널로 구성된 경계부 보강장치에 적합한 것으로,
각 채널에 대해 노이즈를 필터링하고 경계부 미분신호를 만들고 적분하여 보강하는 원리는 도 6의 기본 블록과 동일하게 동작하게 되나,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의 덤프스위치의 구동입력을 색차신호 1,2(R-Y,B-Y)를 입력으로 하는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의 덤프스위치 구동입력으로 같이 인가하도록 하여 1.5MHz로 대역제한된 색 신호의 과도특성이 휘도신호의 과도특성과의 차이나는 것을 보상하는 것으로,
도 15의 (가)(나)(다)와 같이 입력되는 휘도신호(Y), 색차신호 1,2(R-Y,B-Y)가 일정부분에서 전압값이 V1,V2,V3이면, 이의 신호가 각각의 제 1통과대역 필터(21)를 통하여 상기 각각의 미분기(26)에 의한 미분신호는 도 15의 (라)(마)(바)와 같은 파형이 된다.
그리고, 인버팅 구형화회로(26)의 도 15의 (사)와 같은 파형이 색차신호 1,2(R-Y,B-Y)를 입력으로 하는 각각의 덤프스위치 내장적분기(27)의 덤프스위치 구동입력을 인가되고, 이의 출력이 도 15의 (아)(자)(차)와 같은 보정신호가 만들어 지며, 상기 각각의 보정신호는 각각의 가산기(24)의 부극성(-)으로 인가되면, 상기 가산기(24)는 정극성(+)으로 인가된 소정의 지연된 원신호에 대해 부극성으로 인가된 신호를 가산하여 도 15의 (카)(타)(파)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도 15의 출력파형에서 (타)(파)의 경계부가 (카)파형처럼 완전히 강화시키지 못하는 것은 경계부 보강 보정신호의 검출이 일정시간(t1)에 국한되어 있기 때문이며, 도 15의 (타)(파)의 파형에서 점선부분은 상기 채널의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7)의 구동입력을 인버팅 구형화회로(26)의 도 15의 (사)와 같은 파형을 획일적으로 인가하지 않고 각각의 미분된 파형을 입력으로 하며 각각의 인버팅 구형화회로(26)를 출력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영상신호에서 주파수 대역제한 및 수신기에서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특성열화에 의해 영상신호의 경계부특성이 나빠지는 것을 보상하여 경계부는 경계부대로 날카롭게 세우고, 노이즈는 노이즈대로 줄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한 개이상의 채널로 구성된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에 있어서,
    휘도신호 또는 색신호의 통과대역을 선택하여 필터링하는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와, 상기 제 1통과 대역 필터(21)에 의해 선택되어 필터링된 신호의 통과대역을 선택하여 필터링하는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와, 상기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의 출력을 지연시켜 가산기(24)의 부입력단(-)으로 인가된 신호와 타이밍이 일치되도록 하여 가산기(24)의 정입력단(+)으로 인가하는 지연기(23)와, 상기 지연기(24)로 부터 인가된 신호에 대해 부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보정신호를 가산하여 날카로운 경계를 갖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가산기(24)와, 상기 제 1통과 대역필터(21)로 부터 인가된 신호를 미분하여 덤프스위치 내장적분기(26) 및 인버팅 구형화 회로(27)에 인가하는 미분기(25)와, 상기 미분기(25)로 부터 인가된 신호를 적분하면서 인버팅 구형화회로(26)에 의해 영상의 경계부에서만 존재하는 보정신호를 출력하는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6)와, 상기 미분기(25)로 부터 인가된 신호의 역의 펄스를 발생하여 덤프스위치 내장적분기(26)의 덤프스위치 구동입력으로 인가하는 인버팅 구형화회로(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2. 세 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입력신호를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 1,2(R-Y,B-Y)를 가지는 영상신호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통과대역을 선택하여 필터링하는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와, 상기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의 통과대역을 선택하여 필터링하는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와, 상기 제 2통과대역 선택필터(22)로 부터 인가된 신호를 지연시켜 가산기(24)의 부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와 타이밍이 일치되도록 하여 가산기(+)의 정입력단(+)으로 인가하는 지연기(23)와, 상기 지연기(23)로 부터 인가된 정입력단(+)으로 인가된 신호를 부입력단(-)으로 인가된 신호와 가산하여 영상신호의 경계부를 강화하여 출력하는 가산기(24)와, 상기 제 1통과대역 선택필터(21)로 부터 인가된 신호를 미분하는 미분기(25)와, 상기 미분된 신호를 적분하여 영상신호의 경계부를 강화한 원신호와 동일한 보정신호를 만들어 가산기(24)의 부입력단(-)으로 인가하는 덤프스위치 내장 적분기(26)로 하는 3개 채널이 공통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각 채널의 영상입력중에서 주파수 대역이 상대적으로 넓은신호의 영상신호 경계부 보강채널내의 미분기(25)의 출력을 인버팅 구형화회로(27)에 인가하고, 인버팅 구형화회로(27)의 출력을 세 개 채널들의 덤프스위치 내장적분기(26)의 덤프스위치 구동입력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2통과대역 선택필터(21)(22)는 입력신호를 필터링없이 패스시키는 올 패스필터(APF) 또는 고역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저역통과 필터(LPF)중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덤프스위치 내장적분기(26)는 입력저항(R1), 충방전하는 콘덴서(C1), OP증폭기(OP1) 및 온/오프되는 덤프스위치(SW1) 또는 입력저항(R2), 충방전하는 콘덴서(C2) 및 온/오프되는 덤프스위치(SW2)로 구성되면서 미분기(25)로 부터 미분된 영상신호를 적분하여 방전순간에 인버팅 구형화 회로(27)의 구동입력으로 덤프 스위치(SW1)(SW2)가 온 되므로 영상의 경계부에서만 존재하는 원신호와 동일한 파형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KR2019970014789U 1997-06-18 1997-06-18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KR200162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789U KR200162878Y1 (ko) 1997-06-18 1997-06-18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789U KR200162878Y1 (ko) 1997-06-18 1997-06-18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342U KR19990001342U (ko) 1999-01-15
KR200162878Y1 true KR200162878Y1 (ko) 1999-12-15

Family

ID=1950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789U KR200162878Y1 (ko) 1997-06-18 1997-06-18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8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731B1 (ko) * 2006-02-16 200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응적 이미지 신호의 천이 향상 방법 및 이를 위한 화질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342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7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EP0169035B1 (en) Color difference signal processing system
US5047840A (en) Luminance signal/chrominance signal separating circuit and a noise reduction circuit using a 3 line logical comb filter
KR200162878Y1 (ko) 영상신호 경계부 강화장치
JPS614668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36829B2 (ja) デイ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2584439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S6216064B2 (ko)
JPS58123292A (ja) 色ノイズ抑制回路
JPS634753B2 (ko)
KR0138328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RU2013026C1 (ru) Устройство разделения сигналов яркости и цветности в декодере системы секам
JPS59111482A (ja) 雑音抑圧回路
JP2635647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946632B2 (ja) Fm変調回路
KR950006859Y1 (ko) Y/c 분리장치
JP3526195B2 (ja) Secamクロマフィルタ回路
JPS63100877A (ja) ノイズキヤンセル回路
EP0456501A2 (en) Pilot signal eliminating circuit
JPH02194793A (ja) 色信号処理装置
JPH03218195A (ja) 再生クロマ信号のカラー補正装置
JPH0612134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内蔵カラー受像装置
JPH0410459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294989A (ja) 画質改善回路
JPH026299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