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328B1 -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328B1
KR0138328B1 KR1019940001918A KR19940001918A KR0138328B1 KR 0138328 B1 KR0138328 B1 KR 0138328B1 KR 1019940001918 A KR1019940001918 A KR 1019940001918A KR 19940001918 A KR19940001918 A KR 19940001918A KR 0138328 B1 KR0138328 B1 KR 013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signal
output
tsc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734A (ko
Inventor
이효승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328B1/ko
Publication of KR950025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18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 G11B20/10027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analog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dur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variable gain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공유회로에서는 기록시 디테일 엔핸서/윤곽보정기와 재생시 노이즈 캔슬러에 해당하는 블럭을 공유하여 절환스위치로 절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하드웨어를 감소시킬수 있을 뿐 아니라 HI 알고리즘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노이즈 캔슬러에서의 문제점인 얼라이어스, 이득 저하, 에지의 뭉개짐 등을 해결할 수 있고, TSC 알고리즘을 채용함으로써 대신호부근의 미소신호를 충실히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종래의 노이즈 캔슬러(Noise Canceller;N/C)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a 내지 3E도는 제2도에 있어서 각부의 동작파형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 종래의 노이즈 캔슬러(N/C)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5a 내지 5d도는 제4도에 있어서 각부의 동작파형도이다.
제6도는 종래의 윤곽보정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7a 내지 제 7d도는 제6도에 있어서 각부의 동작파형도이다.
제8도는 제1도에 있어서 종래의 디테일 엔핸서(D/E)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9도는 제1도에 있어서 종래의 디테일 엔핸서(D/E)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0도는 제8도 또는 제9에 도시된 디테일 엔핸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와 일반 출력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제11도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공유회로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러를 추출한 블럭도이다.
제13도는 제11도에 있어서 디테일 엔핸서와 윤곽보정기를 추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지연부 52 : HPF
53 : 감산기 54, 56, 60, 62 : 가산기
55 : 코아링부 57 : TSC
58, 63 : 멀티플렉서 59, 61 : 이득제어기
64 : 자기리미터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이즈 캔슬러와 디테일 엔핸서와 윤곽보정기를 공유함으로써 하드웨어의 크기를 줄이고, 화질을 개서시키기 위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기록계 및 재생계에서의 디테일 엔핸서(D/E;2)와 노이즈 캔슬러(N/C;11)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YNR(3, 10)은 휘도신호 수직처리부를 나타내고, CNR(11)은 색신호 수직처리부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디테일 엔핸서(2)는 기록시 Y/C 분리부(1)와 YNR(3) 사이에 위치하고, 노이즈 캔슬러(11)는 재생시 YNR(10) 다음단에 위치한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종래의 노이즈 캔슬러(Noise Canceller;N/C)(11)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3a 내지 3E도는 제2도에 있어서 각부의 동작파형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고역통과필터(HPF;17)는 잡음신호가 편승한 입력신호(제3a도)에서 잡음 신호를 포함한 고역부분(제3b도)를 검출한다. 제3b도에서 잡음신호가 큰 부분 즉, 원래의 고역부분만을 슬라이서(18)로서 분리하여 제3c도와 같은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저역통과필터(LPF;19)를 통과한 신호(제3d도)는 고역부분이 소멸되어 각도가 둥글게 되어 있으므로 이 신호에 제3c도의 신호를 합성하여 잡음신호가 없는 출력신호(제3E도)를 만든다.
제4도는 제1도에서 있어서 종래의 노이즈 캔슬러(N/C;11)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 도면이고, 제5a 내지 5d도는 제4도에 있어서 각부의 동작파형도이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입력신호(제5a도)가 고역통과필터(HPF;21)를 통과하는 단계까지는 제2도에서와 동일하다.
한편, 리미터(22)는 신호의 고역성분(제5b도) 안에서 잡음신호보다 큰 부분을 차단한다. 리미터(22)의 출력신호(제5c도) 중에는 대부분 잡음신호가 없으므로 이를 극성반전부(23)에서 반전시킨 후 가변저항(VR1)에서 레벨을 조정하여 합성부(24)에서 입력신호(제5a도)와 가산함으로써 잡음신호가 없는 출력신호(제5d도)를 만든다.
제6도는 종래의 윤곽보정(Sharpness)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7a 내지 7d도는 제6도에 있어서 각부의 동작파형도이다.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1차 미분부(26)에서 입력신호(제7a도)를 1차 미분하고, 2차 미분부(27)에서 1차 미분된 신호(제7b도)를 2차 미분한다. 한편, 감산기(28)에서는 시간일치 딜레이부(25)에서 입력신호(제7a도)를 소정시간 지연시킨 신호에 2차 미분된 신호(제7c도)를 감산함으로써 윤곽을 보정시킨 신호(제7d도)를 만든다.
여기서 윤곽보정의 시각적인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2차 미분형의 위상보정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제8도는 제1도에 있어서 종래의 디테일 엔핸서(Detail Enhancer;D/E)(2)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노이즈 캔슬러(N/C)를 역으로 기록계에 도입한 일본의 도시바사에 제공한 DPE(다이나믹 픽쳐 엔핸서)이다.
제9도는 제1도에 있어서 디테일 엔핸서(D/E;2)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6도에 도시된 윤곽보정회로를 기록계에 도입한 것이다.
제10도는 제8도 또는 제9에 도시된 디테일 엔핸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와 일반 출력신호의 주파수특성을 비교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윤곽보정회로, 노이즈 캔슬러, 디테일 엔핸서가 각각 별도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하드웨어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노이즈 캔슬러에서는 잡음이 저감되어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 대 잡음(S/N)비는 양호하나, 고역의 미소신호안에 포함되어 있는 화상의 미세(Detail) 부분을 나타내는 신호의 일부도 잡음신호와 같이 제한되어 고주파신호의 이득이 감소되므로 화면의 미세한 부분이 다소 찌그러진다.
또한, 종래의 노이즈 캔슬러에서는 잡음신호를 리미팅할때 재생영상신호가 함께 리미팅되므로 화상의 윤곽 부분에 해당하는 재생영상신호의 상승과 하강에지의 경사가 완만해져서 화상의 윤곽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지탈 회로 구현시 얼라이어스(Alias)를 발생시킨다.
또한, 종래의 윤곽보정회로는 휘도신호의 고역성분을 강조함으로써 선예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고역에 많은 잡음성분도 크게 되므로 S/N비가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디테일 엔핸서는 선예도가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대진폭성분의 대부분은 강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러와 디테일 엔핸서와 윤곽보정기를 공유함으로써 하드웨어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키고, 화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기능공유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기능공유방법을 실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회로를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절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공유방법은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소정 대역으로 고역통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단계;
상기 필터링단계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상기 입력신호에서 감산하여 에지가 뭉게진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감산단계;
상기 필터링단계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소정의 코아레벨에 대하여 코아링하기 위한 코아링단계;
상기 코아링단계에서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제거된 경우에는 고주파신호가 제거된 입력신호에 상기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절환하고,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고주파신호가 제거된 입력신호에 상기 코아링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절환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절환단계; 및
상기 코아링단계에서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제거된 경우에는 고주파신호가 제거된 입력신호에 상기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가산한 신호와 이득조정된 상기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절환하고,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고주파신호가 제거된 입력신호에 상기 코아링신호를 가산한 신호와 이득조정된 상기 코아링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절환하여 윤곽보정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절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공유회로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에 대하여 고역통과필터링하기 위한 고역통과필터;
상기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상기 입력신호에서 감산하여 에지가 뭉게진 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감산기;
상기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코아레벨에 대하여 코아링하기 위한 코아링부;
상기 코아링부의 코아링 과정에서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제거된 경우에는 TSC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TSC 신호를 출력하는 TSC 검출기;
상기 감산기의 출력신호에 상기 코아링부의 출력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제1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감산기 출력신호에 상기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제2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TSC검출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 및
상기 코아링부의 출력신호의 이득을 제1이득값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1멀티플렉서의 제1입력신호와 가산한 신호를 제1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의 이득을 제2이득값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1멀티플렉서의 제2입력신호와 가산한 신호를 제2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TSC 검출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윤곽보정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1도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공유회로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제11도에 도시된 블럭도의 구성은, 크게 노이즈 캔슬러와 디테일 엔핸서/윤곽보정기로 이루어진다. 이 노이즈 캔슬러와 디테일 엔핸서/윤곽보정기는 각각 제12도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제12도와 제13도에서 하기로 한다.
제12도는 제11도에 있어서 노이즈 캔슬러를 추출한 블럭도로서, 입력신호에 대하여 고역통과필터하기 위한 고역통과필터(52)와, 고역통과필터(52)의 처리시간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입력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51)와,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지연부(51)의 출력신호에서 감산하여 에지와 뭉게진 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감산기(53)와,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코아레벨에 대하여 코아링하기 위한 코아링부(55)와, 코아링부(55)의 코아링 과정에서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제거된 경우에는 TSC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TSC 신호를 출력하는 TSC 검출기(57)와, 감산기(53)의 출력신호에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1가산기(54)와, 감산기(53)의 출력신호에 코아링부(55)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2가산기(56)와, 제2가산기(56)의 출력신호를 제1입력신호로 하고, 제1가산기(54)의 출력신호를 제2입력신호로 하여 TSC 검출기(57)의 출력신호에 따라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58)로 구성된다
제13도는 제11도에 있어서 디테일 엔핸서와 윤곽보정기를 추출한 블럭도로서, 입력신호에 대하여 고역통과필터링하기 위한 고역통과필터(52)와 고역통과필터(52)의 처리시간에 해당하는 시간만큼 입력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51)와,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지연부(51)의 출력신호에서 감산하여 에지가 뭉게진 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감산기(53)와,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코아레벨에 대하여 코아링하기 위한 코아링부(55)와, 코아링부(55)의 코아링 과정에서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제거된 경우에는 TSC 신호를 출력하지않고,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TSC 신호를 출력하는 TSC 검출기(57)와, 감산기(53)의 출력신호에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1가산기(54)와, 감산기(53)의 출력신호에 코아링부(55)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2가산가(56)와, 코아링부(57)의 출력신호의 이득을 제1이득값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1이득제어기(59)와 제2가산기(56)의 출력신호와 제1이득제어기(59)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3가산기(60)와,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의 이득을 제2이득값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2이득제어기(61)와, 제1가산기(54)의 출력신호와 제2등제어기(61)의 출력신호를 가산하기 위한 제4가산기(62)와, 제3가산기(60)의 출력신호를 제1입력신호로 하고, 제4가산기(62)의 출력신호를 제2입력신호로 하여 TSC 검출기(57)의 출력신호에 따라 윤곽보정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63)와, 제2멀티플렉서(63)의 출력신호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로 리미트하기 위한 자기 리미터(64)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공유회로는 전단과 후단에 제1절환스위치(도시되지 않음)와 제2절환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재생시에는 제2YNR(제1도의 10)과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노이즈 캔슬러(N/C)로 동작하도록 절환하고, 기록시에는 Y/C 분리부(제1도의 1)와 제1YNR(제1도의 3) 사이에 접속되어 디테일 엔핸서와 윤곽보정기(D/E)로 동작하도록 절환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공유회로와 제2절환스위치 사이에 제3절환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사용자 옵션에 따라 그 출력을 절환한다. 여기서 사용자 옵션은 재생시에는 디폴트(Default)로서 그 출력을 노이즈 캔슬러의 출력을 절환하고, 기록시에는 디폴트로서 그 출력을 디테일 엔핸서/윤곽보정기의 출력으로 절환한다.
먼저, 노이즈 캔슬러의 동작에 대하여 제11도와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되는 휘도신호(Y)는 고역통과필터(52)로 인가되어 고역통과필터되어 감산기(53), 제1가산기(54)와 코아링부(55)로 각각 출력하고, 지연부(51)에서는 고역통과필터(52)의 신호처리시간에 해당하는 기간만큼 휘도신호를 지연시켜 감산기(53)로 출력한다.
감산기(53)에서는 지연부(51)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제1가산기(54)와, 제2가산기(56)로 각각 출력한다.
제1가산기(54)에서는 감산기(53)의 출력신호와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다시 원신호를 만들어 제1멀티플렉서(58)의 제1입력신호로 출력한다.
코아링부(55)에서는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코아링하여 제2가산기(56)와 TSC 검출기(57)로 각각 출력한다.
제2가산기(56)에서는 감산기(53)의 출력신호와 코아링부(55)의 출력신호를 가산함으로써 미소 고주파 노이즈를 분리하여 제1멀티플렉서(58)의 제2입력신호로 출력한다.
TSC 검출기(57)에서는 코아링부(55)에서 코아링를 수행하는 도중 TSC 신호를 검출하여 제1멀티플렉서(58)의 선택신호로 출력한다.
제1멀티플렉서(58)에서는 제1가산기(54)와 제2가산기(56)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TSC 검출기(57)의 출력신호를 선택신호로 하여 미소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한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디테일 엔핸서/윤곽보정기의 동작에 대하여 제11도와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력되는 휘도신호(Y)는 고역통과필터(52)로 인가되어 고역통과필터링되어 감산기(53), 제1가산기(54), 코아링부(55)와 제2이득제어기(61)로 각각 출력하고, 지연부(51)에서는 고역통과필터(52)의 신호처리시간에 해당하는 기간만큼 휘도신호를 지연시켜 감산기(53)로 출력한다.
감산기(53)에서는 지연부(51)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제1가산기(54)와 제2가산기(56)로 각각 출력한다.
제1가산기(54)에서는 감산기(53)의 출력신호와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다시 원신호를 만들어 제4가산기(62)로 출력한다.
코아링부(55)에서는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코아링하여 제2가산기(56)와 제1이득제어기(59)로 각각 출력한다.
제2가산기(56)에서는 감산기(53)의 출력신호와 코아링부(55)의 출력신호를 가산함으로써 미소 고주파 노이즈를 분리하여 제3가산기(60)로 출력한다.
TSC 검출기(57)에서는 코아링부(55)에서 코아링을 수행하는 도중 TSC 신호를 검출하여 멀티플렉서(63)의 선택신호로 출력한다.
제1이득제어기(59)에서는 코아링부(55)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이득제어를 하여 제3가산기(60)로 출력한다.
제3가산기(60)에서는 제2가산기(56)의 출력신호와 제1이득제어기(59)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디테일 엔핸서/윤곽보정기의 출력으로서 제2멀티플렉서(63)의 제1입력신호로 인가한다.
제2이득제어기(61)에서는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이득제어를 하여 제4가산기(62)로 출력한다.
제4가산기(62)에서는 제1가산기(54)의 출력신호와 제2이득제어기(61)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고주파영역이 증폭된 신호로서 제2멀티플렉서(63)의 제2입력신호로 인가한다.
제2멀티플레서(63)에서는 제3가산기(60)와 제4가산기(62)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TSC 검출기(57)의 출력신호를 선택신호로 하여 미소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여 기록 및 재생시 윤곽보정된 신호를 자기 리미터(64)로 출력한다.
자리 리미터(64)는 제2멀티플렉서(63)의 출력신호에 대하여 약정된 레벨로 자기 리미팅을 수행하여 오버 플로우(over flow)를 방지한다.
그리고, 제1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기능공유회로를 실시간논리회로(Real Time Logic)로 구현할 경우에는 각 구성요소들의 후단에 래치를 두어 구현할 수 있다.
그러면 제11도 내지 제13도에서 사용된 TSC(Time plus2, minus2Sample Correction) 검출기(57)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TSC 검출기(57)는 코아링부(55)에서 코아링를 수행하는 과정중에서 TSC 신호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우선 코아링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1) 미소 고주파신호가 코아링부(55)에 입력되면 코아레벨 이내의 미소 고주파신호가 제거되어 출력된다.
2) 미소 고주파 노이즈가 코아링부(55)에 입력되면 코아레벨 이내의 미소 고주파 노이즈가 제거되어 출력된다.
즉, 코아링부(55)를 구성하는 비교기(도시되지 않음)와 멀티플렉서(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코아링을 수행하면서 대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대신호의 제로(0) 레벨 부근의 미소신호가 코아링되면 약정된 값에서 코아레벨과 비교한 후 멀티플렉서를 제어하면서 TSC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미소 고주파 노이즈는 코아링되면서 TSC 신호를 생성하지 않게 된다. 각 TSC 신호는 오아게이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오아링되어 TSC 합성신호를 생성하여 제1,2멀티플렉서(58, 63)의 선택신호로 출력한다.
노이즈 캔슬러에서 채용한 H.I 알고리즘에서는 노이즈가 혼입된 입력신호를 고역통과필터(52)에 인가하고, 감산기(53)에서는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을 입력신호에서 감산함으로써 노이즈는 제거되었으나 에지가 모두 뭉개진 입력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코아링부(55)에서는 고역통과필터(52)의 출력신호를 코아링하여 미소 노이즈는 제거되었으나 미소신호성분이 살아 있는 신호를 제2가산기(56)에서 감산기(53)의 출력신호와 가산함으로써 입력신호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TSC 검출기(57)는 코아링부(55)에서 미소 노이즈는 제거되었으나 미소 신호성분이 남아있을 경우에만 TSC 신호를 발생하여 제1멀티플렉서(58)로 출력한다. 제1멀티플렉서(58)는 TSC 신호가 발생될 경우 제2가산기(56)의 출력신호를 절환하여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에서는 기록시 디테일 엔핸서/윤곽보정기와 재생시 노이즈 캔슬러에 해당하는 블럭을 공유하여 절환스위치로 절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인 하드웨어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HI 알고리즘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노이즈 캔슬러에서의 문제점인 얼라이어스, 이득 저하, 에지의 뭉개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TSC 알고리즘을 채용함으로써 대신호부근의 미소신호를 충실히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소정 대역으로 고역통과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단계;
    상기 필터링단계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상기 입력신호에서 감산하여 에지가 뭉게진 입력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감산단계;
    상기 필터링단계를 통해 생성된 신호를 소정의 코아레벨에 대하여 코아링하기 위한 코아링단계;
    상기 코아링단계에서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제거된 경우에는 고주파신호가 제거된 입력신호에 상기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절환하고,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고주파신호가 제거된 입력신호에 상기 코아링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절환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1절환단계; 및
    상기 코아링 단계에서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제거된 경우에는 고주파신호가 제거된 입력신호에 상기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가산한 신호와 이득조정된 상기 필터링된 고주파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절환하고, 상기 코아레벨 이내에 고주파 미소신호가 코아링신호를 가산한 신호와 이득조정된 상기 코아링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절환하여 윤곽보정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절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2.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입력신호에 대하여 고역통과필터링하기 위한 고역통과필터;
    상기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상기 입력신호에서 감산하여 에지가 뭉게진 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감산기;
    상기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코아레벨에 대하여 코아링하기 위한 코아링부;
    상기 코아링부의 코아링 과정에서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제거된 경우에는 TSC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상기 코아레벨 이내의 고주파 미소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TSC 신호를 출력하는 TSC 검출기;
    상기 감산기의 출력신호에 상기 코아링부의 출력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제1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감산기 출력신호에 상기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가산한 신호를 제2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TSC 검출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멀티플렉서; 및
    상기 코아링부의 출력신호의 이득을 제1이득값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1멀티플렉서의 제1입력신호와 가산한 신호를 제1입력신호로 하고, 상기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의 이득을 제2이득값으로 조정하여 상기 제1멀티플렉서의 제2입력신호와 가산한 신호를 제2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TSC 검출기의 출력신호에 따라 윤곽보정된 입력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공유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멀티플렉서의 출력신호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레벨로 리미트하기 위한 자기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공유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멀티플렉서는 상기 TSC 검출기에서 TSC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입력신호를 선택하여 입력신호에서 노이즈가 저감된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TSC 검출기에서 TSC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제2입력신호를 선택하여 입력신호에서 노이즈가 저감된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공유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멀티플렉서는 상기 TSC 검출기에서 TSC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1입력신호를 선택하여 입력신호에서 윤곽보정된 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TSC 검출기에서 TSC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입력신호를 선택하여 입력신호에서 7된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공유회로.
  6. 제2항에 있어서,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전단과 후단에 제1절환스위치와 제2절환스위치를 구비하여 재생시에는 제2휘도신호 처리부와 출력단 사이에 접속되어 노이즈 캔슬러로 동작하도록 절환하고, 기록시에는 Y/N 분리부와, 제1휘도신호 처리부 사이에 접속되어 디테일 엔핸서와 윤곽보정기로 동작하도록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공유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공유회로와 상기 제2절환스위치 사이에 제3절환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 옵션에 따라 상기 회로의 출력을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공유회로.
KR1019940001918A 1994-02-02 1994-02-02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KR013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918A KR0138328B1 (ko) 1994-02-02 1994-02-02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918A KR0138328B1 (ko) 1994-02-02 1994-02-02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734A KR950025734A (ko) 1995-09-18
KR0138328B1 true KR0138328B1 (ko) 1998-05-15

Family

ID=1937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918A KR0138328B1 (ko) 1994-02-02 1994-02-02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3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734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3567B2 (ja) ダイナミックノイズリダクション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775419B2 (ja) 動作適応型のスペクトルフォールディング方法によるvtr画質改善方法及び回路
US5386235A (en) Motion signal detecting circuit
KR0138328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기능공유방법 및 회로
KR0178382B1 (ko) 콤필터를 사용한 휘도신호/칼라신호 분리회로 및 잡음 감소회로
JP2545168B2 (ja) ビデオ信号の記録システム及び再生システム
JP2545373B2 (ja) ノイズキヤンセル回路
JPH09312788A (ja) 雑音低減回路
US5287174A (en) Vertical resolution correcting circuit for video signal
JPS634753B2 (ko)
EP0482945B1 (en) De-emphasis and re-emphasis of high frequencies in a video signal
US5274464A (en) Spatial filter for improved VHS system
JP3052582B2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回路とテレビジョン受像機または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3021194B2 (ja) 映像機器におけるクシ型フィルタ
JPH0580867B2 (ko)
JP2635647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2239778A (ja) 雑音軽減回路
JPH0224308Y2 (ko)
JPH04320194A (ja) 映像信号処理回路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S59111482A (ja) 雑音抑圧回路
JPH0263283A (ja) ノイズ低減装置
JPH03232393A (ja) 再生映像信号処理回路
JPS6328183A (ja) ラインノイズ抑圧回路
JPH0153832B2 (ko)
JPS58179030A (ja) ノイズリダクシヨン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