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2612Y1 - 정형 바인드 - Google Patents

정형 바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2612Y1
KR200162612Y1 KR2019970030188U KR19970030188U KR200162612Y1 KR 200162612 Y1 KR200162612 Y1 KR 200162612Y1 KR 2019970030188 U KR2019970030188 U KR 2019970030188U KR 19970030188 U KR19970030188 U KR 19970030188U KR 200162612 Y1 KR200162612 Y1 KR 2001626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sulator
bind
binding
jump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23U (ko
Inventor
박상식
Original Assignee
박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식 filed Critical 박상식
Priority to KR2019970030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61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6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6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natural or synthetic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or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의 상측에서 애자에 고정되어 전선과 전선을 이어주는 피복된 전선(Jumper Wire : 이하 점퍼선이라 약칭함)을 애자와 동시에 상호 결속하기 위한 정형 바인드(Preformed Bin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퍼선이나 또는 전선절연커버가 감싸진 상태의 점퍼선을 애자와 동시에 일체로 결속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심재를 이용하여 사전에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화 됨과 동시에 결속후에도 유도전류의 발생이 방지되어 까치집 소재로 사용되는 철선 등에 의한 단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정형 바인드(Preformed Bind)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주의 애자(4)에 고정되어 전선과 전선을 이어주는 점퍼선(3) 또는 전선절연커버(2)가 감합된 상태의 점퍼선과 애자(4)를 상호 동시에 결속하기 위하여 고무커버(12)로 보호되는 플라스틱 심재(11)를 이용하여 사전에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화된 바인드(1)를 압출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바인드(1)의 대략 중앙으로는 상기 애자(4) 및 전선절연커버(2)를 동시에 결속기 위한 상단부(13C)와 하단부(13A)(13B)로 이루어진 감압부(13)가 구비되고, 상기 감압부(13)의 양측으로는 하단부(13A)(13B)의 일단과 연결되어져 상기 전선절연커버(2)만을 결속하기 위한 적정폭의 나선구간을 갖는 나선부(14A)(14B)가 일체로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정형 바인드
본 고안은 전주의 상측에서 애자에 고정되어 전선과 전선을 이어주는 피복된 전선(Jumper Wire : 이하 점퍼선이라 약칭함)을 애자와 동시에 상호 결속하기 위한 정형 바인드(Preformed Bin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퍼선이나 또는 전선절연커버가 감싸진 상태의 점퍼선을 애자와 동시에 일체로 결속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심재를 이용하여 사전에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화 됨과 동시에 결속후에도 유도전류의 발생이 방지되어 까치집 소재로 사용되는 철선 등에 의한 단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한 정형 바인드(Preformed Bin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의 상측에는 애자를 이용하여 전선과 전선을 피복상태의 점퍼선으로서 상호 연결하고 있는바, 이 경우 고압이 흐르는 점퍼선은 안정적인 설치상태의 유지를 위해 애자에 단단히 고정해 주어야만 한다.
이렇게 점퍼선을 애자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일방향이 분할된 원통형의 커버체로 점퍼선을 감싼 다음, 만곡이 용이한 별도의 피복철선을 작업자의 임의대로 감아 점퍼선을 애자에 상호 일체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일직선 상의 철선 예컨대 알루미늄 심재가 내장된 와이어로서 애자와 커버체로 감싸진 점프선을 고정할 경우에는 특히 작업자가 임의의 압력으로 감아 고정하기 때문에 항상 적정한 고정력으로 조임하기가 곤란하여 결속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결속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점퍼선에는 고압이 흐르게되는데 이를 감싸고 있는 커버체를 알루미늄 심재가 내장된 와이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도전류가 흐르게되는바, 이때 까치와 같은 조류 등이 애자부위를 중심으로 둥지를 지을 경우에는 까치집의 소재를 이루는 가느다란 금속물질(철사)등이 포함되는 경우가 종종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알루미늄 심재의 와이어와 철선이 상호 접촉됨으로써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단전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복상태의 점퍼선과 애자 또는 절연커버가 커버된 상태의 점퍼선과 애자를 동시에 결속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재의 심재를 이용하여 사전에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화 시켜 줌으로써 별도의 결속 공구없이도 결속 작업이 신속 용이하여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유도전류가 방지되어 단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정형 바인드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정형 바인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II-II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제3도에서의 정형 바인드의 취부상태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형 바인드 2 : 전선절연커버
3 : 점퍼선 4 : 애자
11 : 플라스틱소재의 심재 12 : 고무커버
13 : 감합부 13A, 13B : 애자감합용 하단부위
13C : 점퍼선 감합용 상단부위 14A, 14B : 나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정형 바인드의 특징은, 전주의 애자에 고정되어 전선과 전선을 이어주는 점퍼선 또는 전선절연커버가 감합된 상태의 점퍼선과 애자를 상호 동시에 결속하기 위하여 고무커버로 보호되는 플라스틱소재의 심재를 이용하여 사전에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화된 바인드를 압출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바인드의 대략 중앙으로는 상기 애자 및 전선절연커버를 동시에 결속기 위한 상단부와 하단부로 이루어진 감압부 구비되고, 상기 감압부의 양 측으로는 하단부의 일단과 연결되어져 상기 전선절연커버만을 연속적으로 결속하기 위한 적정폭의 나선구간을 갖는 나선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진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바인드(1)의 사시도인바, 전선절연커버(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이 흐르는 점퍼선(3)에 감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은 절개된 일 측면을 벌려서 점퍼선(3)을 감싸 커버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형 바인드(1)는 전주(도시하지 않았음)의 애자(4)에 고정되어 있는 전선과 전선을 상호 이어주는 점퍼선(3) 또는 이를 감싸주는 별도의 전선절연커버(2)와 애자(4)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서 소정 길이의 플라스틱 심재(11) 및 고무커버(12)(도 2참조)로 피복되게 사출 성형된다. 즉 정형 바인드(1)는 상기한 점퍼선(3)이나 점퍼선을 커버하는 전선절연커버(2)를 필요에 따라 이를 안전적으로 받침하기 위한 애자(3)와 동시에 일체로 결속 가능하도록 사전에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화 되어지는 것으로서, 그 정형화된 바인드(1)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편의상 점퍼선과 애자의 결속상태는 제외하고 점퍼선에 절연커버(2)가 커버되어 있는 상태의 결속상태만을 설명한다.
도1에서와 같이 정형 바인드(1)의 대략 중앙으로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애자(4) 및 점퍼선을 감싸고 있는 전선절연커버(2)를 상호 감압하기 위한 감압부(13)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감압부(13)에 있어서, 하단부위(13A)(13B)는 도4에서와 같이 애자(4)의 받침 하단 양측에 탄력적으로 걸어져 감압하게 되고, 상단부위(13C)는 이들 하단부위(13A)(13B)의 양단과 상호 연결되게 형성되어져 전선절연커버(2)의 상측 외주면을 가압하는 상태로 가로질러 결속하게 된다.
그리고, 감압부(13)의 양 측에는 전선절연커버(2)만을 감압하기 위한 나선부(14A)(14B)가 각각 하단부위(13A)(13B)의 일단과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전선절연커버(2)와 점퍼선(3)을 단단히 감압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나선부(14A)(14B)는 사출 성형시 전선절연커버(2)를 감압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이는 일차적으로 감합부(13)를 이용하여 애자(4)와 점퍼선(2)을 커버하고 있는 전선절연커버(2)를 동시에 결혹한 후 나선방향으로 돌려주면 내측의 나선부부터 서서히 전선절연커버를 순차적으로 결속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나선구간은 통상적으로 점퍼선(3)이나 이를 커버하는 전선절연커버(2)의 굵기에 대응하여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돌려 용이하게 감싸 결속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갖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이는 애자(4)나 점퍼선(3) 및 이를 커버하는 전선절연커버(2)가 대부분 규격품이기 때문에 사전에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정확한 설계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정형화된 바인드(1)는 심재(11)가 프라스틱소재(PBT)를 이용하여 고무커버(12)와 함께 사전에 설계된 형상으로 압축 성형되기 때문에 사용도중 그 형태가 전혀 변형되지 않고 항상 도1과 같은 형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종래 금속심재와는 달리 유도전류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정형 바인드(1)는 도 4에서와 같이 점퍼선(3)을 감압한 전선절연커버(2)를 애자(4)에 먼저 결속함과 동시에 전선절연커버(2)와 점퍼선(3)을 단단히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상단부위(13C)로서 전선절연커버(2)의 상측을 가압하는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하단부위(13A)(13B)가 애자(4)의 홈부위(참조번호 미표시)양 측 하단부에 상호 걸려지는 상태로 당겨 설치한다. 그러면 이때 애자(4)와 전선절연커버(2)는 상기한 감압부(13)의 탄성력에 따른 적정한 압착력을 받으면서 상호 일체로 단단히 결속되어지는 것이다.
그런 다음 나선부(14A)(14B)를 이용하여 나머지의 전선절연커버(2)를 결속하면 되는 바, 이는 각각의 끝단부를 잡고서 나선방향으로 돌려주면 자동적으로 전선절연커버(2)가 각 나선구간에 의해 순차적으로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정형 바인드(1)는 애자(4)와 전선절연커버(2)를 상호 단단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전선절연커버(2)와 점퍼선(3)을 단단히 결속하게 되는 것이어서 별도의 결속공구 없이도 현장에서 직접 작업자가 손쉽게 결속할 수 있어 그만큼 작업효율을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며, 심재(11)가 프라스틱소재임에 따라 설사 애자 주변에 까치집을 짓더라도 철선 등의 접촉에 의해서도 유도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단전 등의 사고가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정형 바인드(1)가 전선절연커버(2)가 감싸진 상태에서 점퍼선(3)과 애자(4)와의 결속 상태만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단순히 피복상태의 점퍼선과 애자만을 결속하는 경우에도 당연히 적용가능함을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점퍼선과 애자 또는 절연커버가 커버된 상태의 점퍼선을 동시에 결속하도록 심재를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소재를 이용하여 이들의 결속에 알맞는 형태로 사전에 정형화하여 줌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도 신속한 결속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플라스틱소재를 심재로 하여 점퍼선의 결속시에도 유도전류가 전혀 흐르지 않아 장애물에 의한 단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설계상의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

  1. 전주의 애자(4)에 고정되어 전선과 전선을 이어주는 점퍼선(3) 또는 전선절연커버(2)가 감합된 상태의 점퍼선과 애자(4)를 상호 동시에 결속하기 위하여 고무커버(12)로 보호되는 플라스틱 심재(11)를 이용하여 사전에 소정의 형상으로 정형화된 바인드(1)를 압출 성형함과 동시에 상기 바인드(1)의 대략 중앙으로는 상기 애자(4) 및 전선절연커버(2)를 동시에 결속기 위한 상단부(13C)와 하단부(13A)(13B)로 이루어진 감압부(13)가 구비되고, 상기 감압부(13)의 양측으로는 하단부(13A)(13B)의 일단과 연결되어져 상기 전선절연커버(2)만을 결속하기 위한 적정폭의 나선구간을 갖는 나선부(14A)(1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 바인드.
KR2019970030188U 1997-10-30 1997-10-30 정형 바인드 KR2001626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88U KR200162612Y1 (ko) 1997-10-30 1997-10-30 정형 바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88U KR200162612Y1 (ko) 1997-10-30 1997-10-30 정형 바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23U KR19990016723U (ko) 1999-05-25
KR200162612Y1 true KR200162612Y1 (ko) 1999-12-15

Family

ID=19512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188U KR200162612Y1 (ko) 1997-10-30 1997-10-30 정형 바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6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25B1 (ko) * 2006-09-27 2007-02-06 주식회사 서호기술단 전력선 이탈방지용 라인포스트애자 고정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308B1 (ko) * 2000-10-25 2003-02-19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의 전선지지용 애자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25B1 (ko) * 2006-09-27 2007-02-06 주식회사 서호기술단 전력선 이탈방지용 라인포스트애자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23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0107682D1 (de) Einrichtung zur übertragung elektrischen stroms zwischen zwei zueinander verdrehbaren bauelementen einer lenk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JPH03155321A (ja) 二つの終端位置間で送電を行うための装置
KR200162612Y1 (ko) 정형 바인드
CA227416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bead inductor and the bead inductor produced thereby
JPH10189350A (ja) チョークコイル
JP4831855B2 (ja) 絶縁電線用圧縮スリーブの水密機構
KR100345471B1 (ko)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내장클램프
JPH0763204B2 (ja) 高圧引下げ線の装柱方法及び保護管端末キャップ
JP2002093517A (ja) 高圧ケーブルの中間コネクタ
JP3152378B2 (ja) 圧縮型引留クランプおよびプレハブ電線
KR200233193Y1 (ko) 변압기용 부싱 터미널
CN209843482U (zh) 一种快装型内置式三相四线电压互感器
JP2006129539A (ja) 多相低圧ケーブル用接続スリーブ
JP2512253Y2 (ja) 低圧電線接続用分岐スリ―ブ
KR200188545Y1 (ko) 정형 바인드
KR0136615Y1 (ko) 와이어리스 유도전동기
KR200266052Y1 (ko) 주상변압기용 인하선의 피복 구조
JPH0329973Y2 (ko)
JP2574632Y2 (ja) 海底ケーブルの接続部
JPH0723851Y2 (ja) 絶縁保護チューブ
KR970007166Y1 (ko)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Bead Inductor)
JPS6011717Y2 (ja) 電力ケ−ブル接続部
KR20230117796A (ko) 커버 일체형 슬리브
JPH0869825A (ja) 電線の絶縁キヤップ
JPH01227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