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545Y1 - 정형 바인드 - Google Patents

정형 바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45Y1
KR200188545Y1 KR2020000002010U KR20000002010U KR200188545Y1 KR 200188545 Y1 KR200188545 Y1 KR 200188545Y1 KR 2020000002010 U KR2020000002010 U KR 2020000002010U KR 20000002010 U KR20000002010 U KR 20000002010U KR 200188545 Y1 KR200188545 Y1 KR 200188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bind
wire
fixed
orthoped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2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5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05Insul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built-in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에 고정된 애자(4)에 전선 케이블(5)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여 전선케이블(5)을 애자(4)에 고정시켰으나 장기간 사용시 이러한 별도의 고정용 전선이 끊어지기 쉬워 사용상의 결점이 있었던 것을 본 고안에서는 반 도전성 심재(11)의 표면에 고무로 된 피복층(12)을 압출 성형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반 도전성 심재(11)의 중심부에는 질긴 와이어(13)를 삽입함으로써 전주에 고정 설치된 애자(4)와 전선 케이블(5)을 용이하게 고정지지 할 수 있음과 함께 이러한 정형 바인드(1)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끊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형 바인드 {Set-form bind}
본 고안은 정형 바인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 도전성 심재 표면에 고무층이 피복되게 압출 성형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반 도전성 심재 중심부에는 질긴 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전주에 고정 설치된 애자와 전선을 용이하게 고정지지 할 수 있음과 함께 정형 바인드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끊어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주에 고정 설치된 애자에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전선을 사용하여 전선케이블과 애자를 고정시켰으나, 이는 두 전선 내부의 동성 상호간에 전류의 통전으로 인한 접촉저항의 발생으로 두 전선의 접지부가 쉽게 부식되어 송전효율이 떨어질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연결용 전선이 끊어지기 쉬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반 도전성 심재 표면에 고무층을 피복 성형하고, 중심에는 질긴 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전주에 고정 설치된 애자와 전선을 용이하게 고정지지 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장기간 사용하여도 끊어지지 않도록 한 정형 바인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형 바인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정형 바인드 2: 애자 협착부
3: 꼬임부 4: 애자
5: 전선 케이블 11:반도전성 심재
12:피복층 13:질긴 와이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반 도전성 심재의 표면에 부도체인 고무재질의 피복층이 형성됨과 함께 내부에는 질긴 와이어가 삽입되도록 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감합이 용이한 코일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중심부에는 애자를 끼울 수 있는 애자협착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형 바인드(1)의 전체적인 구성도로, 중심부에는 애자를 끼울 수 있도록 애자협착부(2)가 형성되고 이 애자 협착부(2)의 좌우측으로는 감합이 용이하도록 코일 형상의 꼬임부(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 반도전성 심재(11)의 중심부에 질긴 와이어(13)가 삽입되고, 상기 반도전성 심재(11)의 표면에는 부도체인 고무재질의 피복층(12)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다.
단, 상기 애자 협착부(2)의 형상은 도면과 같이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여러 형태로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4는 전주에 고정 설치된 애자, 5는 상기 애자(4)에 고정시키기 위한 전선 케이블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반도전성 심재(11)의 중심에 질긴 와이어(13)가 삽입됨과 함께 표면에 부도체인 고무 피복층(12)이 형성된 소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한다.
그리고 이 소재를 코일형태의 꼬임부(3)와 애자(4)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애자 협착부(2)를 가진 정형바인드(1)로 압출 성형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에 고정 설치된 애자(4)에 전선케이블(5)을 고정시킬 때 먼저, 애자(4)를 정형바인드(1) 중앙에 형성된 애자협착부(2)에 끼우고 그 양측의 꼬임부(3)를 전선케이블(5)에 감합한다.
이렇게 하면 전선케이블(5)이 정형바인드(1)에 의해 애자(4)에 견고하게 고정지지되며, 여기서 본 고안의 정형바인드(1)는 내부에 질긴 와이어(13)가 삽입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정형바인드(1)가 끊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그 형태가 변하지 않는 정형 바인드(1)로 전선케이블(5)을 전주에 고정시키므로서 애자(4)와 전선케이블(5) 간의 고정이 견고하게 되며, 작업이 용이한 형상으로 정형바인드(1)가 형성되어 있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정형바인드(1)의 재질이 반 도전성 심재(11)와 고무피복층(12)으로 되어 있어 정형바인드(1)와 전선케이블(5)의 접지지점에 부식이 발생되지 않아 송전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본 고안은 정형 바인드(1)의 내부에 질긴 와이어(13)가 삽입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하여도 이러한 질긴 와이어(13)에 의해 정형 바인드(1)가 끊어지지 않게 되므로 결국 전선 케이블(5)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반 도전성 심재의 표면에 부도체인 고무재질의 피복층을 형성함과 함께 내부에는 질긴 와이어가 삽입된 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감합이 용이한 코일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중심부에는 애자를 끼울 수 있는 애자협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 바인드.
KR2020000002010U 2000-01-25 2000-01-25 정형 바인드 KR200188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010U KR200188545Y1 (ko) 2000-01-25 2000-01-25 정형 바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010U KR200188545Y1 (ko) 2000-01-25 2000-01-25 정형 바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45Y1 true KR200188545Y1 (ko) 2000-07-15

Family

ID=1963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010U KR200188545Y1 (ko) 2000-01-25 2000-01-25 정형 바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5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25B1 (ko) * 2006-09-27 2007-02-06 주식회사 서호기술단 전력선 이탈방지용 라인포스트애자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925B1 (ko) * 2006-09-27 2007-02-06 주식회사 서호기술단 전력선 이탈방지용 라인포스트애자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229B1 (ko) 시간 지연 퓨즈
EP0962953A3 (en) Excess current interrupting structure
KR200188545Y1 (ko) 정형 바인드
CN108320870A (zh) 一种支柱绝缘子
EP0973175A3 (en) Electrical cable adaptated for high-voltage application
JPH11121053A (ja) 圧縮型電線接続管
JP6186384B2 (ja) 導体接続管
US2515897A (en) Spark plug cable
EA200000120A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ыва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провода и моментального нарушения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JP3281557B2 (ja) 電力ケーブルプレハブ形絶縁接続部
US4357487A (en) Cable fitting with slotted metallic housing
KR960016069A (ko) 온도 의존성 구성 요소를 구비한 전동기
KR200359005Y1 (ko) 접지용 케이블
KR200162612Y1 (ko) 정형 바인드
JP2008022629A (ja) 電線補強具、電線の補強構造、及び電線の補強方法
JP2001086632A (ja) 電力ケーブル用ゴムモールド式接続部構造
RU2298864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проводов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JPH069335U (ja) 電線付属品類の導体への取付け構造
KR200266052Y1 (ko) 주상변압기용 인하선의 피복 구조
JPH11289650A (ja) 電力ケーブル端末部のゴムモールド部品
KR200237241Y1 (ko) 전기 계량기용 도선의 터미널
JP3432421B2 (ja) 塩害防止用のブッシングカバー
JPS6131456Y2 (ko)
JPS629608Y2 (ko)
KR200332443Y1 (ko) 초고압케이블용조립형단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