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166Y1 -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Bead Inductor) - Google Patents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Bead Indu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166Y1
KR970007166Y1 KR2019940028173U KR19940028173U KR970007166Y1 KR 970007166 Y1 KR970007166 Y1 KR 970007166Y1 KR 2019940028173 U KR2019940028173 U KR 2019940028173U KR 19940028173 U KR19940028173 U KR 19940028173U KR 970007166 Y1 KR970007166 Y1 KR 9700071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ite core
bead inductor
bead
clamp
termi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512U (ko
Inventor
김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이형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이형도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8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166Y1/ko
Publication of KR960015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1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030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characterised by unspecified or heterogeneous hardness or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hardness transitions
    • H01F1/0311Compounds
    • H01F1/0313Oxidic compounds
    • H01F1/0315Ferr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드 인덕터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가)도는 페라이트 코어를 감싸도록 절연케이스와 고정후크를 이용한 방식
나)도는 페라이트 코어를 절연케이스내부에 내장한 방식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드인덕터의 외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드인덕터의 제조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서
가)도는 페라이트코어에 U형 단자선을 끼우는 상태도
나)도는 페라이트코어에 탄성절연 클램프를 고정하는 상태도
다)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페라이트코어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절연클램프의 고정부 상세도로서
가)도는 후크가 형성된 단면도
나)도는 원형절곡부가 형성된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드인덕터(Bead Inductor)10 : 탄성절연클램프
12 : 페라이트코어(Ferrite Core)14a,14b : 오목요홈
17 : 단자선112 : 후크부
120 : 외장절연케이스
본 고안은 전자장치의 신호선 등에 사용되는 비드인덕터(Bead Induc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성체인 페라이트코어(Ferrite Core)와 단자선(Lead Wire)의 고정에 있어서 접착제 및 외장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탄성절연클램프를 사용함으로서, 간단한 구성에 의한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비드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드인덕터(10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U자형 단자선(102)을 페라이트코어(105)의 관통 구멍(107)으로 끼우고, 상기 페라이트코어(105)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외장절연케이스(110)와, 그 하부의 고정후크(112)를 이용하여 상기 페라이트코어(105)와 단자선(107)을 고정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실개평 4-92609호에는 상기 고정후크(112)를 장착한 외장절연케이스(110)대신에 상기 페라이트코어(105)를 외측에서 완전히 감싸서 내장시키는 박스형 외장케이스(120)을 갖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前者)의 경우는 페라이트코어(105)에 대하여 외장절연케이스(110)가 측방에서 삽입되고, 고정후크부(112)가 탄력적으로 상기 페라이트코어(105)와 단자선(102)을 결합시키는 구조로서 절연케이스(110)를 이용함으로서 완제품의 절연성을 확보시킬수는 있으나, 고정후크부(112)의 외측돌출로 인하여 그 외표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도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자(後者)의 경우는 외장절연케이스(120)에 사용되는 부품원가도 크게되어 전반적인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것이며, 외장절연(120)의 두께증가로 인하여 완제품의 소형화가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페라이트코어와 단자선의 결합을 용이하게 이룸으로서 완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제품원가의 절감을 이룰수 있으며, 페라이트코어의 전자기적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인덕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페라이트코어의 관통구멍으로 단자선이 끼워져서 결합된 비드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코어의 외측면에는형의 탄성절연클램프가 결합되어 상기 페라이트코어와 단자선을 일체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인덕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은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비드인덕터(1)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비드인덕터(1)는 탄성절연클램프(10)가 페라이트코어(Ferrite Core)(12)와형 단자선(17)을 일체로 고정하고 있다. 상기 페라이트코어(12)는 양외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오목요홈(14a)(14b)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요홈(14a)(14b)은 탄성절연클램프(10)가 끼워지는 안내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탄성절연클램프(10)의 하부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후크부(10a) 또는 원형 절곡부(10b)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10a)와 원형절곡부(10b)는 페라이트코어(12)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결합홈(12a)내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미설명부호(12b)는 페라이트코어의 관통구멍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페라이트코어(12)의 관통구멍(12b)으로형의 단자선(17)이 상부로부터 끼워지고, 상기 단자선(17)의 상부로부터형의 탄성절연클램프(10)가 페라이트코어(12)의 오목요홈(14a)(14b)을 따라서 끼워지며, 상기 탄성절연클램프(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후크부(10a) 또는 절곡부(10b)가 오목결합홈(12a)으로 탄력적으로 끼워짐으로서 탄성절연클램프(10)의 결합력에 의해서 상기형 단자선(17)과 페라이트코어(12)가 일체로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절연클램프(10)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페라이트코어(12)의 전기적 특성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폴리머(Polyer) 계통의 절연수지물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페라이트코어와 단자선이 간단한 구조의형 탄성절연클램프에 의해서 결합되기 때문에, 완제품의 두께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서 그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에 의한 제품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탄성절연클램프가 절연성을 유지시킴으로서 페라이트코어의 전기적 특성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5)

  1. 페라이트코어(12)의 관통구멍(12b)으로 단자선(17)이 끼워져서 결합된 비드인덕터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코어(12)의 외측면에는형의 탄성절연클램프(10)가 결합되어 상기 페라이트코어(12)와 단자선(17)을 일체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인덕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코어(12)의 하부면 중앙에는 상기 탄성절연클램프(10)의 하단부에 형성된 후크부(10a)가 끼워지는 오목결합홈(12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인덕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절연클램프(10)는 폴리머(polymer)계통의 절연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인덕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코어(12)의 양외측면에는 탄성절연클램프(10)가 끼워져서 안내되는 오목요홈(14a)(14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인덕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절연클램프(10)의 하단부에는 둥근 절곡부(10b)가 형성되어 페라이트코어(12)의 오목결합홈(12a)에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인덕터.
KR2019940028173U 1994-10-27 1994-10-27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Bead Inductor) KR9700071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173U KR970007166Y1 (ko) 1994-10-27 1994-10-27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Bead Indu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173U KR970007166Y1 (ko) 1994-10-27 1994-10-27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Bead Indu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12U KR960015512U (ko) 1996-05-17
KR970007166Y1 true KR970007166Y1 (ko) 1997-07-19

Family

ID=1939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173U KR970007166Y1 (ko) 1994-10-27 1994-10-27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Bead Indu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1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512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166Y1 (ko) 탄성 절연클램프를 갖춘 비드 인덕터(Bead Inductor)
JPH10189350A (ja) チョークコイル
US5778086A (en)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terminal
JPH04359411A (ja) 変成器用ボビン
JPS61121737A (ja) モ−タの端子装置
US4912448A (en) Coil device with coil and lead terminals
JPS62125610A (ja) 変成器
JPH0632761Y2 (ja) 固定子
JPS61133614A (ja) トランスフオ−マ−
JPS6220972Y2 (ko)
JPS61185906A (ja) チツプインダクタ−
JPH0236502A (ja) モールド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CA1061422A (en) Device for attaching leads to a transformer or the like
JP2535293Y2 (ja) 差込みプラグ
FI77337C (fi) En isolerskiva mellan lindning och kaernplaotpacke och drossel eller transformator foersedd med isolerskivan.
JP2001044050A (ja) リアクター
JPS6244512Y2 (ko)
JPH0749763Y2 (ja) コイル
JPH07230919A (ja) 巻線部品
JPH05234779A (ja) 扁平コイル
JPH0329764Y2 (ko)
JP2000134850A (ja) モータ巻線構造
JP2597436Y2 (ja) 端子付きベース
JPH09148147A (ja) トランス
JPS63424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