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696Y1 -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 Google Patents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696Y1
KR200161696Y1 KR2019970039921U KR19970039921U KR200161696Y1 KR 200161696 Y1 KR200161696 Y1 KR 200161696Y1 KR 2019970039921 U KR2019970039921 U KR 2019970039921U KR 19970039921 U KR19970039921 U KR 19970039921U KR 200161696 Y1 KR200161696 Y1 KR 200161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ruise
actuator
vibration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7331U (ko
Inventor
이종욱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9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69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7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6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23Purpose; Design features prote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종래의 구조하에서는 차체의 진동이 크루즈 브래킷을 거쳐 직접 액추에이터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차체의 진동이 액추에이터와 연결된 ECU에 전달되어 ECU에 충격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추에이터에서 스로틀 바디로 연결되는 자동속도조정케이블에도 진동이 전달되어 자동차 속도조정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나,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브래킷의 내측에 또 하나의 브래킷을 설치하고 양 브래킷 사이에 완충고무를 설치함으로써, 액추에이터 등 정속주행장치로 전달되는 차체의 진동을 완화시켜 정속주행장치의 ECU 등 구성품들을 보호하고 정확한 속도조정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를 지지하는 크루즈 브래킷의 구조를 개선시켜 차체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브래킷이 진동을 흡수하도록하여 자동차의 정속주행장치(CRUISE CONTROL SYSTEM)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은 자동속도 조정장치라고도 하며 가속폐달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차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시키는 장치로, 피드백 장치로서 차량속도센서,컨트롤유닛,액추에이터,컨트롤스위치,해제스위치 등으로 되어 있다.
특히,액추에이터는 ECU에서 신호를 받아 자동속도조정케이블로 스로틀 밸브의 열림을 조정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차체진동이 직접 액추에이터로 전달될 경우 ECU에 충격을 줄 수 있고 스로틀 바디에 연결되는 자동속도조정케이블의 정밀도를 떨어뜨려 액추에이터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의 크루즈 브래킷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크루즈 브래킷(2')은 차체에 크루즈 브래킷(2')을 고정시키고 완충장치 없이 직접 액추에이터(1')를 상기 크루즈 브래킷에 볼트로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종래의 구조하에서는 차체의 진동이 크루즈 브래킷(2')을 거쳐 직접 액추에이터(1')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상기 차체의 진동이 액추에이터(1')와 연결된 ECU에 전달되어 ECU에 충격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추에이터(1')에서 스로틀 바디로 연결되는 자동속도조정케이블(8')에도 진동이 전달되어 자동차 속도조정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내측브래킷과 외측브래킷 두 개를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 사이에 완충장치를 위치시켜 차체의 진동이 액추에이터 등 정속주행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정속주행장치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키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의 구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제조비용도 저렴한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은 내측브래킷과 외측브래킷 사이에 완충장치를 구비한 본 고안에 의해 해결되는 바,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크루즈 브래킷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크루즈 브래킷의 주요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크루즈 브래킷의 주요부분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크루즈 브래킷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액추에이터 2.외측브래킷
3.내측브래킷 4.완충고무
5.스페이서
도 1은 본 고안 크루즈 브래킷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도 2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의 분해사시도이며,도 4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의 종단면도이다.
자동차 정속주행장치의 액추에이터(1)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통상의 크루즈 브래킷에 있어서,본 고안의 크루즈 브래킷의 충격흡수구조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외측브래킷(2)과, 상기 액추에이터(1)를 고정시키는 내측브래킷(3)과, 상기 내측브래킷(3)과 외측브래킷(2)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중공원통형의 완충고무(4)와, 상기 완충고무(4)의 관통공에 삽착되는 중공원통형의 스페이서(5)와, 상기 내외측브래킷(3,2)과 상기 완충고무(4)의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조립상태를 살펴보면,상기 외측브래킷(2)을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액추에이터(1)를 상기 내측브래킷(3)에 볼트(7)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스페이서(5)가 삽착된 완충고무(4)를 상기 내측브래킷(3)과 외측브래킷(2)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내외측브래킷(3,2)을 볼트(6) 등으로 체결시키면 된다.
본 고안의 완충고무(4)는 진동을 흡수하기에 적정한 재질로 구성되며 제조비용을 고려해 모양이 간단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고무(4)에 삽착되는 스페이서(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크루즈 브래킷을 볼트(6)로 체결시킬 때 지나치게 볼트(6)를 죄어 양 브래킷 사이에 위치한 완충고무(4)가 지나치게 압축되어 완충고무(4)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것으로 완충고무(4)의 길이보다 그 길이가 짧아야 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1)와 상기 내측브래킷(3)을 고정시키는 볼트(7) 등의 고정수단에도 상기의 완충고무(4)를 장착시키면,차체의 진동이 1차적으로 상기 내측브래킷(3)과 상기 외측 브래킷(2) 사이의 완충고무(4)에서 흡수되고 2차적으로 상기 액추에이터(1)와 상기 내측브래킷(3) 사이의 완충고무(4)에서 흡수되므로 보다 강력하게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하, 본고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동차의 주행 등으로 발생하는 차체의 진동이 1차적으로 상기 차체에 고정된 외측브래킷(2)에 전달되지만 상기 내측브래킷(3)과 외측브래킷(2) 사이에 완충고무(4)가 위치하기 때문에 외측브래킷(2)에 전달된 진동은 상기 완충고무(4)의 변형에너지로 흡수되어 상기 내측브래킷(3)에 고정된 액추에이터(1)로는 거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상기 액추에이터(1)와 연결된 ECU와 스로틀 바디로 연결되는 자동속도조정케이블(8)에도 진동이 영향을 미치지 않아 차체의 진동하에서도 안정적인 정속주행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브래킷의 내측에 또 하나의 브래킷을 설치하고 양 브래킷 사이에 완충고무를 설치함으로써, 액추에이터 등 정속주행장치로 전달되는 차체의 진동을 완화시켜 정속주행장치의 ECU 등 구성품들을 보호하고 정확한 속도조정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매우 실용적인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 정속주행장치의 액추에이터(1)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크루즈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외측브래킷(2)과, 상기 액추에이터(1)를 고정시키는 내측브래킷(3)과, 상기 내측브래킷(3)과 외측브래킷(2) 사이에 위치하는 수 개의 중공원통형의 완충고무(4)와, 상기 완충고무(4)의 관통공에 삽착되는 중공원통형의 스페이서(5)와, 상기 내외측브래킷(3,2)과 상기 완충고무(4)의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루즈 브래킷의 충격흡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1)와 상기 내측브래킷(3)의 고정수단(7)에도 상기 완충고무(4)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루즈 브래킷의 충격흡수구조.
KR2019970039921U 1997-12-23 1997-12-23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KR200161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921U KR200161696Y1 (ko) 1997-12-23 1997-12-23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921U KR200161696Y1 (ko) 1997-12-23 1997-12-23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31U KR19990027331U (ko) 1999-07-15
KR200161696Y1 true KR200161696Y1 (ko) 1999-12-01

Family

ID=1951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921U KR200161696Y1 (ko) 1997-12-23 1997-12-23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6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331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9781A (en) Isolated bumper for damping vibrations in vehicles
KR200161696Y1 (ko) 크루즈 브래킷의 진동흡수구조
KR100488743B1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KR950017323A (ko) 자동차 엔진의 롤 스톱퍼 마운팅 구조
KR100472533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0185345B1 (ko) 엔진롤 제어 기능을 갖는 엔진 마운트 브래킷
KR100499774B1 (ko) 엔진 지지구조
KR0173752B1 (ko) 차속 감응형 엔진마운팅 인슐레이터의 경도조정장치
KR0126784Y1 (ko) 자동차 엔진의 롤 제어장치
KR1001922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장착구조
KR0177965B1 (ko) 자동차 엔진 마운트의 완충장치
KR100302731B1 (ko) 수동 변속 레버장치
JP3891694B2 (ja) 防振装置
KR0126057Y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00283325B1 (ko) 자동차의 가변형 엔진 마운트
JPH02256519A (ja) エンジンマウント装置
KR100240151B1 (ko) 승객 좌석용 서스펜션 구조
JPH0454334Y2 (ko)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143968Y1 (ko) 다이나믹 댐퍼구조를 갖는 엔진 서포트 브라켓
KR970036337A (ko) 전기자동차 구동모터 진동 흡수장치
KR20010009242A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KR19980012595U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트
KR970041070A (ko) 진동감쇄를 위한 자동차의 타이로드 구조
KR19980049079U (ko) 트랜스미션의 댐퍼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